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력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조정환(Cho Jung-hwan) 경기연구원 2011 GRI 연구논총 Vol.13 No.2

        Electricity is essential factor for production process as well as economic well being of peopl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ctricity sector on Korean economy for 2008 by applying input-output analysis. Moreover the results of the impact of rise in electricity rates on the prices of other products, electricity supply shortage effect, and the inter-industry linkage effect are reported. In doing so, this paper reveals that electricity sector has large effects on overall Korean economy. These results especially can be used by policy makers for the ongoing debate regarding the effect of rise in electricity rates and seasonal shortage of electricity supply on Korean national economy.

      • SCOPUSKCI등재

        속용성 정제간의 용출유사성에 대한 통계학적 고찰

        조정환(Jung Hwan Cho),이세희(Se Hee Lee),김희선(Hee Sun Kim),오승열(Seung Youl Oh) 한국약제학회 2000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Vol.30 No.2

        We have studied the dissolution kinetics of two fast releasing tablets in four media, and the similarity of dissolution profiles was compared using 3 methods. Two of the methods were introduced from statistical algorithm of distance methods, which are maximum distance and Mahalanobis distance. The dissolution kinetics were also analysed using FDA method for similarity evaluatio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using the distance methods.

      • KCI등재

        공적개발원조의 선택적 편의에 대한 거버넌스 영향 분석

        조정환 ( Jung Hwan Cho ),김태황 ( Tae Hwang Kim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8 국제통상연구 Vol.23 No.1

        본 논문은 수원국의 거버넌스(Governance)와 ODA 수준의 연관성을 검증하고 영향 정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6개의 거버넌스 지표와 OECD DAC의 28개 회원국들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148개 개발도상국에 원조한 ODA 자금 흐름을 실증분석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수원국의 거버넌스가 우수할수록 ODA를 받는 규모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수원국의 거버넌스와 관련하여 공여국의 ODA 배분이 선택적 편의를 가진다는 가설을 기각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수원국의 거버넌스와 공여국의 ODA 배분이 갖는 이러한 부(-)의 관계는 비록 원조 효과성에 대한 쟁점이 있다 하더라도 수원국의 빈곤 감소라는 목적에 충실하게 ODA가 배분되었음을 추론하게 한다. 또한 ‘수원국의 필요 정도’를 나타내는 1인당 GDP 변수는 ODA 수준에 부(-)의 효과를 유발시키고, ‘공여국의 필요 정도’를 나타내는 경제규모와 무역규모는 ODA에 대해 모두 정(+)의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수원국과 공여국사이의 거리변수는 모든 추정 모형에서 부(-)의 효과를 보임으로써 수원국은 공여국과 거리가 가까울수록 ODA 유입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여국에 대한 수원국의 식민지 피지배 경험과 언어 공유는 ODA 유입을 증가시키며, 수원국이 내륙 국가일 경우 ODA가 더 많이 유입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the governance in recipient countries play a role on th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We test whether or not ODA donor countries tend to select the recipient countries with good governance. For this purpose, we employ the governance index using the ODA data from 28 OECD DAC donor countries to the 148 recipient countries from 2000 to 2015. This study found that the governance has had a negative effect on ODA to the recipient countries. It implies that the hypothesis of so-called “selectivity” of ODA regarding governance could not be supported. We could conjecture that ODA has been distributed on its original purpose to reduce severe poverty in recipient countries. GDP per capita representing the needs of recipient countries, has a negative effect on ODA. And the GDP and trade volume as a ratio of GDP, representing ‘the interest of donor countries’, positively impact on the change of ODA. The distance variable between the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showed a negative impact on the ODA in all estimation models. Finally, for dummy variables, the colonial experience, language tie has positive effects on attracting ODA and the landlocked countries have more receiving ODA from donor countries.

      • KCI등재

        증거기반(evidence-based) 체육정책,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

        조정환(Jung Hwan Cho)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3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5 No.3

        스포츠 체육분야에서 국가나 학교단위 정책이나 실천 프로그램이 투입되고 있지만, 정책과 프로그램들이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할 때 경제적 교육적 경우에 따라서 사회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도 있다. 우리는 그동안 체육교육 신체 활동 증진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책들이 성과 없이 실패로 그치는 사례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해 오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프로그램 개입이나 정책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객관적인 근거정보 자료(data-driven policy making)들을 찾는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증거에 기반한 정책 또는 실천(evidence-based policy, practice)모형은 실질적인 정책 및 프로그램 개입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의료분야를 시작으로 다양한 학문영역에서 활용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의료보건, 교육, 사회, 행정 등의 영역에서 이해 실천되고 있는 증거기반 연구방법의 개념과 방법론 그리고 각 분야에서의 실천 경향을 소개함으로서 체육 스포츠 분야의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체계적 증거기반 수립 모형의 소개와 진실험(true experimental research), 준 또는 유사실험(quasi-experimental) 상황에서 증거기반의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계량적 방법론으로서 Rubin의 인과모형, 경향점수(propensity score) 적용 방법 등을 제시하였다. In the past, various policies or action plans related to the sport, physical education, an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have been applied in the national or school district levels. These policies or action plans, however, turned out no effect or failed often. To overcome the failures, ‘data-driven policy making’ can be employed and emphasized at the decision making level based on successful implementations of evidence-based policy and practice models in the medicine fields. In this article, it includes not only academic values, research method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but also how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effectiveness of the evidence-based policy and practice in the area of education, sociology, administration, medicine, and public health. This will help to make better decisions for developing and utilizing the policy and practice to the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fields. Furthermore, the application of the causality of Rubin and the propensity score in the true-experimental and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s are introduced as well as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models.

      • KCI등재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을 활용한 4차 산업혁명의 고용 영향 연구

        조정환(Cho, Jung-Hwan) 한국산업경제학회 2022 산업경제연구 Vol.35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을 대상으로 4차 산업혁명이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통계청의 2016년·2019년 「기업활동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도입·활용한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 고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첫째, 이중차분 분석 결과에 의하면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도입·활용한 기업은 기준 시점에 비해서 상용근로자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시·일용근로자 수는 중소기업과 대기업 모두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회귀모형을 이용한 분석 결과에서는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을 도입·활용한 중소기업의 임시·일용근로자 수의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 연구에서 제시하는 바와 같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자동화의 진전이 우리나라 고용의 순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그 효과는 주로 중소기업의 임시·일용근로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4차 산업혁명 관련 정책을 추진함에 있어서 우리나라 노동 시장의 양극화를 심화시키지 않고 소득 불평등을 확대하지 않는 정책 방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n employment. Using the firm data of ‘The Survey of Business Activity’ distributed by Statistics Korea in 2016 and 2019, this paper identified the significant impact on employment for Korean firm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in-Difference (DID) analysis, the number of regular workers in the firm that utiliz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decreased. However, the number of temporary workers was found to increase in both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MEs) and large enterprises. Second, using the regression model the paper also identifi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ly on the number of temporary workers in SM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ess in automation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may affect the net increase in employment in Korea, but the effect may happen to increase temporary workers in SMEs. Therefore, government policy direction related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the introduction and use of technologies do not increase income inequality.

      • KCI등재

        논문 : 해외 자본 유입과 GDP 간 인과관계 분석: 인도를 중심으로

        조정환 ( Jung Hwan Cho ),김대중 ( Dae Jung Kim ) 명지대학교 금융지식연구소 2011 금융지식연구 Vol.9 No.3

        본고에서는 1991년 인도의 경제개방 이후 자본 유입과 GDP 간의 인과관계를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 가지 형태의 자본 유입-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포트폴리오 투자(Portfolio investment), 해외 근로자 송금(Workers` remittances)-과 GDP는 단위근 검정 결과, 불안정변수로 판정되었기 때문에 먼저 이들 변수를 1차 차분 형태의 안정적인 변수로 만든 후 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하여 장·단기 Granger 인과관계를 검정하였다. 분석결과, 세 가지 형태의 자본은 GDP와 장기 균형 관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인도의 GDP가 자본 유입을 Granger cause 하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나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단기에서는 외국인직접투자와 인도의 GDP는 양방향 인과관계가 존재하고, 포트포리오 투자의 경우 인도의 GDP를 견인하는 일방향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해외근로자 송금은 인도의 GDP와 어떠한 인과관계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즉, 인도의 경우 자본 유입의 결정 요소 중 하나는 증가하는 인도의 시장 규모임이 분명하나, 자본 유입 자체는 장기적으로 인도의 GDP를 견인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본 유입이 생산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인도의 사회·경제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The current study tested the causality between capital inflow and GDP in India since 1991. Using the Granger causality test in the form of error-correction models, we found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portfolio investment, and workers` remittances were Granger-caused by the GDP, not vice versa. The finding that causality runs from GDP to capital inflows seems to be because of India`s limited capacity to reap the economic benefits that stem from capital inflow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