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이익조정이 재무분석가의 허딩에 미치는 영향

        최수영 ( Su Young Choi ),조정은 ( Jung Eun Cho ),이상수 ( Sang Soo Lee ),고재민 ( Jai Min Goh ) 한국회계학회 2012 회계저널 Vol.21 No.6

        재무분석가는 이익 예측에 대한 확신이 없을 경우, 자신의 부족한 예측 능력을 노출하지 않기 위해 먼저 발표된 동료 재무분석가 혹은 베스트 재무분석가의 예측합의치에 근접한 예측치를 발표하는 허딩(herding) 경향을 가지게 된다. 반면 재무분석가는 자신의 동료 재무분석가 혹은 베스트 재무분석가와 차별화된 예측치를 발표하기 위해 허딩이 감소할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재무분석가의 허딩과 관련한 상반된 논의를 바탕으로, 경영자의 이익조정이 재무분석가의 허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발생액 이익조정은 재무분석가의 허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실제 이익조정은 시장의 예측합의치 및 베스트 재무분석가 합의치로의 허딩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는 불확실한 정보 환경에서 재무분석가들이 부정확한 예측치 발표에 대한 부담이 감소하여, 자신의 사적 정보를 바탕으로 예측하기 때문에 허딩 경향이 감소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나아가 적자회피를 위해 이익조정을 한 것으로 의심되는 기업의 경우, 실제 이익조정이 재무분석가의 허딩을 더 큰 폭으로 감소시켰다. 본 연구는 재무분석가의 허딩 경향을 통해 두 가지 이익조정 수단의 불확실성을 비교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비정상적인 영업 활동을 의미하는 실제 이익조정은 외부에서 관찰하거나 해석하기 어렵기 때문에, 단순히 장부상 이익을 가공하는 발생액 이익조정보다 불확실성이 더 크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이익조정으로 인한 정보의 불확실성이 재무분석가로 하여금 자신의 사적 정보를 반영한 소신 있는 예측치를 발표하게 만들었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When financial analysts are not certain of their earnings forecasts, they tend to make forecasts close to consensus of other analysts and/or best analysts in order to hide their incompetent forecasting ability. This behavior is so-called ``herding`` in analysts` forecasting behavior. On the other hand, analysts are more likely to decrease their herding behavior to release earnings forecasts that are differentiated from the consensus of the capital market and/or best analysts by using their private information. Based on these two conflicting opinions, we examine how two earnings management methods affect analysts` herding behavior. The results show that real earnings management significantly reduce herding behavior, whereas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i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herding behavior. This results suggest that in uncertain information environment, analysts are less worried about making inaccurate forecasts and release bold forecasts using their private information, resulting in decrease of herding behavior. In addition, for firms which are suspected to have managed earnings to avoid losses, real earnings management shows more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ship with herding behavior. This paper makes a direct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and comparing the degree of information uncertainty between the two earnings management methods by investigating analysts` herding behavior. Real earnings management implies abnormal operational activities and brings about higher information uncertainty than accrual-based earnings management, which merely manages accounting income, because it has lower probability of being detected or analyzed by external auditors and regulatory bodies. This study provides an empirical evidence that information uncertainty arisen from real earnings management influences financial analysts to make bold forecasts by using their private information.

      • KCI등재

        재무분석가 수가 수시공시의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

        고재민,조정은,김동하 한국회계정책학회 2012 회계와 정책연구 Vol.17 No.3

        Because analysts provide various earnings forecasts information to the markets' participants, they serve as external monitors to managers and control managers'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However, discretionary accruals that have been used to measure earnings management in prior studies have some potential problems in that the measure reflects auditors' opinions as well as managers' argumen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for discretionary accrual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analysts' forecasting activities effectively monitor managers'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by using ‘earnings correction’ (a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the audited income).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firms followed by more analysts have smaller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income and that they are less likely to violate regulations regarding preliminary earnings disclosure. This suggests that firms with high analyst coverage have stronger monitoring functions and effectively prevent managers'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behavior. In addition, we investigate whether stock market reaction for overstated or understated preliminary earnings differs according to the number of analysts following to understand the cause for managers' behavior. We find that the preliminary earnings have significantly negative market reactions when firms followed by more analysts have larger magnitude of overstated or understated preliminary earnings. This implies that analysts recognize firms' overstated or understated preliminary earnings, and penalize these firms by showing negative market reactions. This study has following contributions:we measure managers' argument by using preliminary earnings which do not include auditors' opinions, and empirically show that analysts serve as external monitors to managers by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preliminary earnings and audited income. Also, it suggests that analysts perform an important role in corporate governance by monitoring managers' financial reporting behavior. 재무분석가는 일반투자자들보다 상대적으로 우월한 정보수집 및 분석 능력을 바탕으로 기업에 대한 다양한 이익예측 정보를 산출하고 시장에 제공하기 때문에,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행위를 억제하는 효과적인 외부감시주체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이익조정의 측정치로 사용한 재량적 발생액은 감사 후의 재무제표를 이용하기 때문에 경영자의 주장 뿐 아니라 외부 감사인의 의견이 동시에 반영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재량적 발생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경영자의 주장만을 반영하는 수시공시의 잠정이익과 외부감사인의 의견이 반영된 결산이익의 차이를 통하여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 활동이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위를 효과적으로 감시하는지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할수록 잠정이익과 결산이익의 차이가 감소하였으며 수시공시 규정도 더욱 충실히 준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많은 재무분석가들이 이익예측치를 발표하는 기업일수록 해당 기업에 대한 모니터링 기능이 강화되어, 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 행위를 억제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영자의 행위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재무분석가 수에 따라 잠정이익과 결산이익간의 차이가 클 경우 잠정이익에 대한 주가 반응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재무분석가 수가 많은 기업이 잠정이익과 결산이익의 차이가 클수록 잠정이익에 대한 주가반응은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재무분석가의 수가 많은 기업이 잠정이익을 과대공시하거나 과소공시 할 경우 재무분석가들이 이를 인지하고 주가에 반영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재무분석가의 수가 많을수록 경영자는 재무분석가들의 강한 모니터링 기능을 의식하여 기회주의적 이익조정 행위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외부 감사의 결과가 반영되지 않은 수시공시의 잠정이익을 사용하여 경영자의 주장을 측정하였고, 잠정이익과 감사 후의 결산이익의 차이를 통하여 재무분석가가 경영자를 효율적으로 감시하고 통제하는지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재무분석가의 수가 증가할수록 경영자의 재무보고 행위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재무분석가가 기업의 지배구조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조세계획의 수단으로서의 영업외손익 항목 조정에 대한 연구

        최원욱,이현아,조정은 한국세무학회 2014 세무학 연구 Vol.31 No.3

        This study examines whether firms manage non-operating income for tax planning purposes. Since non-operating income has lower persistence and lower impact on stock price than operating income, companies with high tax burden have incentive to decrease tax expenses by reducing non-operating income. Also, firms are likely to decrease temporary non-operating income, which excludes non-operating income items with high persistence such as interest revenue, interest expense, rent revenue, and dividend income, in order to have lower tax expense. Thus, we investigate whether firms that have higher tax expenses reduce temporary non-operating income as well as non-operating income. We find following empirical results. First, increase in tax expenses results in decline in non-operating income and temporary non-operating income. This suggests that companies with high tax burden try to decrease taxable income by managing non-operating income which is known to have lower persistence than operating income. Further, as the difference for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between the past operating income and non-operating income increases, firms reduce more temporary non-operating income as well as non-operating income in order to reduce tax expenses. Since market perceives operating income to have relatively higher persistence, and non-operating income to have relatively lower persistence, firms with high tax burden are more likely to decrease non-operating income as the difference for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increases. This study makes a direct contribution to understanding the difference between operating income and non-operating income for tax planning purpose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evidences that companies can use non-operating income for their tax planning and that the degree of managing non-operating income for tax planning may differ in response to the market’s perceptions regarding the relative persistence of operating and non-operating income. 본 연구는 기업이 조세계획의 수단으로 영업외손익의 조정을 이용하는지 분석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회계이익과 과세소득 간의 정합성이 높고 적극적인 조세회피 수단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조세계획은 회계 선택을 통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러한 조세계획은 회계이익의 감소를 동반하여 주가의 하락과 같은 재무보고비용의 증가를 동반하게 되므로 조세부담이 큰 기업은 영업손익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속성이 낮고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영업외손익 항목을 조정하여 조세비용을 감소시킬 유인이 존재한다. 특히, 과거 영업손익과 영업외손익에 대한 이익반응계수의 차이가 큰 기업일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욱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11년도까지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조세비용과 영업외손익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영업외손익 중 세무 상 부인되어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항목은 제외하였다. 또한, 영업외손익 항목 중에서도 지속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 이자수익과 이자비용, 임대료 및 배당금수익을 제외한 일시적 영업외손익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세비용이 증가할수록 영업외손익 및 일시적 영업외손익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들이 조세부담의 해소를 위하여 영업외손익을 조정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거 영업손익과 영업외손익에 대한 이익반응계수의 차이가 클수록 조세비용에 따른 영업외손익 및 일시적 영업외손익은 더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시장에서 영업손익과 영업외손익 간의 지속성 차이를 크게 평가하는 기업일수록 영업외손익을 조세계획의 수단으로서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조세계획의 관점에서 영업손익과 영업외손익 항목이 지닌 차별성을 고찰하였다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세무보고와 재무보고의 산정체계가 밀접하고 적극적인 조세회피가 어려운 우리나라의 세무․회계 환경에서 영업외손익 항목이 조세계획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개별기업의 손익 항목의 지속성에 대한 시장의 평가에 따라 조세계획을 위한 영업외손익의 조정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공헌점을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예술고등학교 학생의 학교만족도 분석

        조정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9 음악교육공학 Vol.0 No.4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rt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using the data of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Ⅱ(KEEPⅡ) collected by th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analysis of art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variables were identified centering 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school facilities, friend recognition, self-consciousness reflecting the time of formation of ego-identity, and attitudes in clas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and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n each other were examined. As an analysis method, a structure equation model was set and the causal relationships appearing in art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through the LISREL progra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variables of satisfaction with art high schools, which are special-purpose high schools, and elements that have direct effects on art high school students’ school satisfaction were school facilities, friend recognition, self-consciousness, and attitudes in class, which showed effects. In addition, parameters for school satisfaction were self-consciousness and attitudes in class. Self-consciousness mediated between school facilities and friend recognition while attitudes in class played the role for mediation between private education expenses and school satisfaction. However, contrary to the expectation, private education expenses had no direct effect on school satisfaction but showed indirect effects through attitudes in cla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of art high schools, which are special-purpose high schools, and demander-oriented school operation were check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variables for school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직업능력 개발원에서 수집한 한국교육고용패널Ⅱ(KEEPⅡ)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예술고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학교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예술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 분석에서는 사교육비, 학교시설, 친구인식 그리고 자아정체감 형성시기를 반영하는 자아의식과 수업태도 등을 중심으로 구분하여 변수별로 그 특성과 변수 간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설정하고 LISREL 프로그램을 통하여 예술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에 나타나는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특수목적고인 예술고등학교의 학교만족도는 각 변인의 인과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며, 예술고등학생의 학교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학교시설, 친구인식, 자아의식, 수업태도가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학교만족도에 이르는 매개변수로는 자아의식과 수업태도이며, 자아의식은 학교시설, 친구인식를 매개하였고, 수업태도는 사교육비와 학교만족도에서 매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사교육비는 학교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으며, 수업태도를 통하여서 간접적인 영향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특수목적고등학교인 예술고등학교의 설립 목적과 수요자 중심의 학교운영을 점검하고, 학교만족도의 변수에 따르는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그 시사점을 논하는데 의의가 있다.

      • Selective isomer synthesis of isosorbide-based sulfonate anionic surfactants

        조정은,남석현,정노희,강호철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Two series of anionic surfactants (endo-5-Oalkyl isosorbide-2-O-propyl sulfonic acid sodium salt and exo-2-O-alkyl isosorbide-5-O-propyl sulfonic acid sodium salt) with straight alkyl chains (hexyl, octyl, decyl, and dodecyl) were synthesized from isosorbide derived from biomass, through steps of allylation, alkylation, and sulfonation. The selectivity and efficiency of the reactions were optimized by adjusting the solvent, catalyst, reactant molar ratio, and temperature. The product 2-O-allyl isosorbide was obtained with a yield of 81% and selectivity of 23:1 (endo:exo), and 2-O-alkyl isosorbide was obtained with a yield of 72% and selectivity of 24:1 (exo:endo). The synthesized anionic surfactants were characterized using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CMC), surface activity, emulsion stability, foaming height, and the Turbiscan Stability Index. The CMC decreased with increasing alkyl chain length. The properties of endo form and exo form were compared.

      • KCI등재

        유럽 문화도시의 축제 프로그램을 통한 예술교육 방향성 고찰

        조정은 유럽문화예술학회 2022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유럽 문화도시의 축제 프로그램에 나타난 다양한 예술표현 형태를 기반으로 지역문화와 예술교육의 역할 그리고 시민 문화예술 향유에 대하여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럽 문화도시로 지정된 글래스고, 아비뇽, 베를린 축제의 특징을 살펴보고, 시민들이 참여하는 예술교육의 분석을 통하여 예술교육의 방향성을 찾고자 한다. 또한 문화도시에서 축제 프로그램의 동향과 예술구 현 방법에서 나타난 시민예술 향유 및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가치를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도시의 대표적인 축제에서는 지역사회와 위원회를 중심으로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축제 프로 그램에서 예술표현은 예술가의 작품과 공연에서 공간적 자율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축제 프로그 램을 통한 예술교육은 지역적 인프라와 인적자원의 활용이 축제의 성공과 관련이 있으며, 공공성 있는 예술교육을 위해서는 소통과 예술단체의 내실 있는 운영이 필요하다. 그리고 축제 프로그램에서 는 일시적인 예술 공연보다는 양질의 예술교육에 가치를 두고 공공예술의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공동 체와 함께 개발해야하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In this study, we discuss the role of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local residents’ enjoyment of art and culture based on various forms of artistic expressions found in cultural festivals that take place in European cities. To this end, we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festivals in designated European cultural cities of Glasgow, Avignon, and Berlin,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that engages local residents. We also examine the value of local residents’ enjoyment of art and art education as manifested in the trend of art festival programs and the methods of artistic expressions. Our investigation shows that art festivals taking place in the European cultural cities encourag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driven by the local community and festival committees. And the art festival programs show that artistic expression contains spatial autonomy in terms of artists’ artwork and performance. Successful art education through art festival depends on utilization of local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and, to implement art education in a way that brings public benefit, it is important to ensure good communication and sound management of art organizations. As for art festival programs, it is important to work with the local community continuously to develop programs with an emphasis on quality art education to bring public benefit, instead of focusing on one-off performances.

      • KCI등재

        예비 음악교사의 학교현장 실습에 대한 만족도 조사 연구

        조정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4 음악교육공학 Vol.- No.59

        학교현장 실습은 미래를 준비하는 교사로서 현장의 이해와 교과적용에 대한 전문성 함양을 위해 중요한 과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음악교사들이 학교현장 실습에 참여할 때, 기존 4주의 실습과 학기제실습으로 구분하고 그 만족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현장 실습에 참여한 예비 음악교사들에게 수업실연, 수업참관, 생활지도, 학급운영 등 학교현장의 전반적인 내용을 4주 실습과 15주 실습으로 나누어 설문 조사하였으며, 만족도의 요인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학기제실습에서 예비교사들의 실습 만족도는 매우 높았으며, 학교생활과 교사의 업무에 관한 관심도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학기제실습에서는 기존 4주의 실습에서 경험할 수 없는 창의적 체험활동, 학생 오케스트라, 자유학기제 그리고 음악동아리 등을 통하여 현장에 필요한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경험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예비 음악교사의 현장실습을 보다 내실화하기 위해서는 학기제실습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도록 학교현장과 교육청 및 교원양성기관의 유기적인 연계가 필요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미래교육에 참여할 교사들의 학교현장 실습에 관한 효율성 제고를 위해서는 전공교과의 현장 적용을 고려해야 하며,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재구성과 실습 모니터링 및 환류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논하였다. Field training for pre-service teachers is an important process that helps future teachers understand the school environment and gain expertise in teaching the subje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levels of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undergone two types of field training in schools, namely, the existing four-week training and semester-based training.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urveyed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ither four-week or 15-week field training programs to examine the overall content of the training, including class demonstrations, class observations, guidance, and classroom management, and investigated the subjects’ satisfaction factors to draw implication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mester-based program had high satisfaction levels as well as a strong interest in school life and teachers’ work. In particular, the semester-based practice provided concrete and realistic experiences of teaching required in the actual field through creative activities, a student orchestra, the free-semester system, and music clubs, which were unavailable in the existing four-week program. The result implies that to further enhance the quality of the field training of pre-service music teachers, an organic linkage among schools, the Office of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is critical to enable the stable operation of semester-based training.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field training for teachers who will play a significant role in future education, the in-field teaching of major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and the curricula of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their continuous connections with partner schools should be systematically restructured.

      • KCI등재

        오케스트라 동호회 활동의 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조정은,이희영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1 음악교육공학 Vol.0 No.4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orchestra club participants. To this end, self-produc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centering on orchestra clubs in Gwangju and Jeonnam, and analyzed by t-test and variance analysis (ANOVA) using the SPSS program. As a result, first, in the satisfaction of orchestra clubs, women in sex and 60s were the highest. Second, the orchestra club showed high correlation in both the cognitiv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areas of subjective well-being. Thir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orchestra club satisfaction on subjective well-being, and significant results were shown on the cognitiv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of subjective well-being. These contents suggest that continuous interest in orchestra club activities is required as a result of the positive effect of orchestra club activities on subjective well-being. 이 연구의 목적은 오케스트라 동호회 참여자들의 일반적인 특징을 기반으로 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인과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광주·전남 지역에 거주하는 오케스트라 동호회 활동의 참여자와 일반 동호회(문학, 스포츠, 미술 등)의 참여자이며, 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에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및 변량분석(ANOVA)을 통해 동호회 활동의 만족도를 확인하였으며, 오케스트라 활동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오케스트라 동호회의 만족도에서 성별은 여성, 연령은 60대가 가장 높았다. 둘째, 오케스트라 동호회와 주관적 안녕감에서는 인지적, 정서적, 심리적 영역 모두 높은 상관을 보였다. 셋째, 오케스트라 동호회의 만족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주관적 안녕감의 인지적·정서적·심리적 요인에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내용은 오케스트라 동호회 활동이 주관적 안녕감에 긍정적인 영향의 결과로 오케스트라 동호회 활동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베를린 문화예술센터의 고찰을 통한 국내 복합문화공간의 예술교육프로그램 분석 연구

        조정은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인의 문화예술교육과 예술 향유에 대한 욕구의 증가로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복합문화공간의 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활용과 양상을 검토해보고 그 방향성 을 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유럽의 대표적 복합문화공간인 베를린 문화예술센터와 국내의 국립아 시아문화전당, 예술의전당을 중심으로 그 역할과 가치를 탐색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베를린의 복합문 화예술 센터에서 제공하는 예술교육은 시와 지역민의 참여도가 높고 유대관계 또한 매우 컸으며, 상주단체인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도 전문성을 기반으로 예술교육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었다. 둘째 아시아문화전당의 운영에서는 동시대 예술을 추구하는 설립목적의 정체성과 어린이 프로그램의 다양성이 돋보였으며, 전문인력 아카데미의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적인 인력을 자체적으로 양성하고 있었다. 셋째, 예술의전당에서는 장르별 실습 교육이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미술에 가장 높은 참여를 보였으며 전문인력 아카데미 프로그램은 공연기획과 전시기획 그리고 예술경영 등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한 시사점은 복합문화공간의 지역적 인프라와 인적자원의 활용이 공공성 있는 예술교육의 운영에 중요한 요소이며, 예술의 구현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 관점에 서 설계하고 예술교육의 지식정보와 교류에도 가치를 두어야 한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art education programs of multi-purpose art spaces are being used and discuss their future direction, considering the current situation where people pay greater attention to multi-purpose art spaces, following their increasing demands for culture/art education and art appreciation.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d the role and value of multi-purpose art spaces by focusing on Berlin Culture and Art Center,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multi-purpose art spaces in Europe, and Asia Culture Center and Seoul Arts Center in South Korea.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 education provided by the Berlin Culture and Art Center showed high participation from the city and local residents and deep bonding among the participants.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which is a permanent organization of the center, was also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art education based on the professionalism. Second, in the operation of the Asia Culture Center of South Korea, identity of the goal of foundation, which is a pursuit of contemporary art, and diversity of programs for children stood out. The organization was autonomously cultivating technical professionals through programs by the professional manpower academy. Third, in the Seoul Arts Center, practice education by each genre was being constantly implemented and the learners showed highest participation in painting, followed by music. The academy programs for expert workforce were divided into performance planning, exhibition planning, and art management. The results imply that the use of regional infrastructure and human resources of multi-purpose art spaces is an important element of implementing art education. For the realization of arts, art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values should be put on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well as exchange of ar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