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기 남한 미술인의 전쟁 체험에 대한 연구 : 종군화가단과 유격대의 미술인을 중심으로

        조은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2 한국문화연구 Vol.3 No.-

        During the Korean War, a significant ideological disruption existed among the South Korean Artists. The ideology taken by the artists, whether it is right(Denmocracy-South Korea) or left(Socialism-North Korea), it is directly related with their life perse. Since much Korean territory was conquered by the U.N. troops and also by China over and over, most of the artists could not escape from treasonous felony. Therefore, the artists crossed the 38 Parallel and headed for South or North upon their ideology and became members of war-artists or volunteered for military service. During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Do-gang Pa, a group of artists who crossed the Han river and settled down in the South, assumed hegemony. This was a prelude for power games between groups of artists, a faction. Since then, the factionalism played a important role for competition of the Korean art contests.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there was no further development of art works but a structural change was witnessed in the factionalism. This was a pro-America art group in one side and a conservative art group leaded by Ko, Hee-dong in other side. Most ideological conflicts in the world of Korean arts, experienced after the Korean War, in fact began during the Korean War. Because anti-communist ideology also emerged in the world of Korean arts after the Korean War. This study examines artists’ activities based on the ideological perspective in the South during the Korean War. Also this study reveals that collective behavior among the artists dominates the world of Korean arts and patterns of the art works.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war, main art organization was the member of war-artists and irregular partisans and anti-communist military groups belonged to this organization. The reasons why the artists participated at the organization and the tasks what they did revealed the true nature of the Korean War. The member of war-artists participated at the organization to be shown as the right wing and fear against revenge from the Korean forces leaded the artists to become irregular partisans. This study showed for the first time the reality of art world of the irregular partisans artists who were taken advantage of psychological warfare. War experience of the Korean artists during the Korean War yielded no criticism for obedience and anti-communism against the hegemony which was the main stream to lead modernism. However, we witnessed a challenge against the taboo-subjects in the year of 1980s when new artists with no war-experience emerged in the world of art.

      • KCI등재

        OPVS PISANI PICTORIS: 피사넬로와 초기 르네상스 메달

        조은정 서양미술사학회 2006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25 No.-

        OPVS PISANI PICTORIS: Pisanello and the EarlyRenaissance Portrait MedalsCho, Eunjung _Seoul National University조은정OK 2006.8.21 8:44 AM 페이지34 g5 One fine example is the reverse of the portrait medal of Leonello to celebrate his marriage toMaria dAragon. A small putto holding a musical manuscript in front of a lion, which is a visualizationof the idea that the marriage between the Este family and the Aragon family would provide Leonellolove and power. Also the blindfolded Lynx, the sail on a mast fixed in the ground(festina lenteimpresa), and the three-faced putto images frequently found in the reverse of the Leonello medalsare the allegory of Prudence that Pisanello used to commemorate the virtue of this prince. Incomparison to the Leonello marriage medal, the large medal of Alfonso dAragon in 1449 emphasizesthe public image of king Alfonso as Triumphator et Pacificus as well as a provider of

      • SCOPUSKCI등재
      • KCI등재

        3·1운동 100년의 ‘봄·밤’에 ‘바람’―박찬승과 권보드래의 3·1운동 서사

        조은정 역사문제연구소 2019 역사비평 Vol.- No.129

        This paper examines the texts of Night on March 1st by Gwon Bodeurae and 1919 by Park Chan-seung. The two books are representative and symbolic contrasting writings on theme of March 1st Movement in terms of literature and history, as a result of long study. The two prominent writings, Marking the 100th anniversary of March 1st Movement, were reviewed, with attention drawn to the two texts’ narrative tension, and based on book review, meta-criticism was attempted to sound out the incident’s current position and prospect in the study of culture history. The two books are of different character and yet complementary to each other. For instance, the authors were compared regarding the text of ‘33 People Representatives’ and “Declaration of March 1st Independence”―which are deemed to be the representative symbol of March 1st Movement,―revealing this: Gwon Bodeurae discussed the various versions and multiple representatives, but Park Chan-seung reconfirmed the representation and symbols of the 33 Representatives and derived truthfulness of the text. Therefore,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world thoughts and cultures since 1910, various leaders based their interpretation of reality and their exploration of the future on the challenging mode of March 1st Movement. Thus, March 1st Movement became the origin of Korea’s democracy, encouraging Koreans to establish a provisional government so as to prepare the thought and political system of democratic republic system. The two books could derive a different historical interpretation of March 1st Movement, because the cultural and political methodology work while literary composition and empirical narration method also work. The commentary on the two books revealed the empirical limitations in Night on March 1st, and a lack of diverse interpretations in 1919. However, historical emissions could happen due to limitations of raw materials, and a critical review is required as to writing the textbook-like right theory differently for reading markets requiring popular historical description. Night on March 1st and 1919 present different methodologies and historical narration, enabling readers to form a critical knowledge of March 1st Movement, and further requiring re-understanding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s of the two books wherei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contrast historical narration. 이 글은 오랜 기간 3·1운동을 연구해온 문학/역사학의 결실이라는 대표성과 상징성을 갖는 동시에 문화사/정치사(운동사) 측면에서 대별되는 권보드래의 『3월 1일의 밤』과 박찬승의 『1919, 대한민국의 첫 번째 봄』을 고찰하였다. 100주년을 계기로 매듭지은 역작을 통해 3·1운동의 연구가 도착한 지점을 확인하고, 두 서술이 보여주는 서사적 긴장에 주목하며, 서평을 토대로 메타비평을 시도하여 문화사 연구의 현재적 위치와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했다. 두 논저는 성격이 매우 다르면서도 비교해서 함께 읽어볼 때 상보적 관계가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예컨대 3·1운동의 대표적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민족대표 33인’과 「기미독립선언서」에 대한 서술의 대비를 보면, 권보드래는 다양한 이본들과 다수의 대표들을 거론하지만 박찬승은 그들의 대표성과 상징성을 재확인하고 진본성을 추출한다. 이를 통해 각각 1910년대부터 이어지는 세계사적 사상·문화의 연속선상에서 다중의 주체들이 현실을 해석하고 미래를 모색하는 응전의 형식인 3·1운동이, 임시정부의 수립을 통해 ‘민주공화제’라는 사상과 정치체를 마련한 한국 민주주의의 기원인 3·1운동이 재현되었다. 두 저서가 3·1운동에 대한 다른 역사상을 도출해낼 수 있었던 바탕에는 문화론적, 정치사적 방법론이 작동하는 한편 ‘문학적 구성’과 ‘실증주의’라는 서술 방식도 작용하고 있다. 그런데 두 저서에 대한 서평을 살펴보면 『3월 1일의 밤』에서 실증의 한계를, 『1919』에서 다양한 해석이 없음을 아쉬워하는 양가적 입장이 확인된다. 그러나 자료의 한계로 실증할 수 없어서 누락되는 역사적 대상이 생기는 것은 온당한 일인지, 대중적 역사서술을 필요로 하는 독서시장에서 ‘교과서적’ ‘정설’을 다르게 쓴다는 것은 어떠한 방법으로 가능할 수 있을지 비판적으로 성찰해볼 필요가 있다. 『3월 1일의 밤』과 『1919』는 서로 다른 방법론과 역사서술의 상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3·1운동에 대한 비판적 앎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문학·문화사적 연구가 역사서술과 대결하는 상보적인 관계로 재인식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남도잡가 개고리타령의 음악적 변화양상

        조은정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3 No.-

        Gaegoritaryoeng is one of NamdoJapga epic chants that performs after YukjaBaeki, and it can be uniquely characterized into the song that borrows the epic chant of Pansori to compose the chant. As KyungkiIpchang has a identical song name of Gaegoritaryoeng, it infers the relationship between NamdoJapga and Kyungki Ipchang. In order to demonstrate the characters of Gaegoritaryoeng, the changing aspect of music will be examined to patternize the musical categorizes. The epic chant of Gaegoritaryoeng has been disentangled into three categories, the epic chant of Pansori, the epic chant of Minyo(folk song), and the rest epic chants related. As the result, the epic chant of Pansori has mainly been used in Gaegoritaryoeng, and the vocalist tends to choose particular epic chants that certain parts are classified. Moreover, the aspect of epic chant usage reflects the personal taste of modern people and the preference of vocalists. Therefore, some epic chants were diminished while others were used continually, however new epic chants were derived beside these situation. Batnun Sori (receiving sound) of Gaegoritaryoeng is 12 beats 2 rhythms, it can be divided into flat melodic line, ascending melodic line, and descending melodic line by the sound of beginning. It demonstrates that vocalists select particular part of epic chants choosingly, like as the selection of the epic chant. Moreover, the beginning part of Gaegoritaryoeng has been standardized into 12 beats and 6 rhythms, by the modification of receiving sound with the expansion of rhythms and the addition of epic chants since late 1970s Maeginun Sori (Notching sound) of Gaegoritaryoeng can be differentiated by the length of rhythms, there is 12 beats 4 rhythms shortly up to 13 rhythms. These notching sounds can be categorized into the regular beat, the irregular beat, and the fixed beat. Among others, <Seoul Samgak Sana>, the recording album in 1988, used Gaegoritaryoeng in the Jong-Ji (period) part. Later on, <Seoul Samgak Sana> was used for the last part of Gaegoritaryoeng and it was fixed into the homophonic vocal method and the length of 12 beats and 13 rhythms. However, it can be omitted by the length of performance, and it was used by the personal taste of vocalists. 개고리타령은 남도잡가의 한 곡으로 육자백이에 이어 연주되는 악곡 중 하나이며, 사설 구성에 있어 판소리 사설을 차용한 점이 독특한 형태로 파악된다. 또한 개고리타령은 경기입창의 악곡과 동일한 악곡명을 가지고 있어 남도잡가와 경기입창과의 관련성이 추정되기도 한다. 이러한 개고리타령이 어떠한 음악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사설과 음악적인 부분들을 유형화시켜 음악적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개고리타령에 사용된 사설은 판소리 계열의 사설, 민요 계열의 사설, 기타 사설로 그 유형을 구분해 보았다. 그 결과 주로 판소리 계열의 사설들을 사용하고 있으며, 일정 부분의 정해진 사설을 가지고 가창자가 선택하여 부른다. 한편 사설의 사용양상은 시대에 맞게 현대인들의 취향 및 애호도와 가창자의 선호도를 반영한 근거로 보인다.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사용되거나 사라지는 사설이 있는 반면, 새로운 사설이 생기는 경향이 보인다. 개고리타령의 받는 소리는 12박 2장단이며, 시작하는 음에 따라 평으로 내는 형, 숙여내는 형, 질러내는 형으로 유형화시켜 볼 수 있다. 이는 사설을 선택하는 경우와 같이 일정 부분의 정해진 선율을 가지고 가창자가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또한 개고리타령의 시작 부분은 받는 소리의 변형으로, 장단의 확대와 사설 추가로 1970년대 이후부터 12박 6장단으로 선율이 정형화 되었다. 개고리타령의 메기는 소리는 사설에 따라 장단의 길이가 다르며, 짧게는 12박 4장단에서 길게는 13장단까지 있다. 이러한 메기는 소리는 규칙장단, 불규칙장단, 고정화된 장단으로 나눠 볼 수 있다. 그 중 <서울삼각산아>는 1988년 녹음음반에서 개고리타령의 종지부분에 위치하였다. 이후 <서울삼각산아>는 개고리타령의 종지구로 활용되기 시작하였으며, 제창으로 부르는 가창 방식과 12박 13장단의 선율로 길이가 고정화 되었다. 그러나 공연시간이 부족할 경우 생략할 수 있고,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유동적으로 사용되는 현상이 보인다. 이러한 논의는 근대화 이후의 자료에 국한하여 살펴본 것이다. 학계에서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논의된 바 없지만 편의상 분류의 기준으로 삼아본 부분들이 있다. 그리고 가창자에 따라 개고리타령의 메기는 소리가 너무 다양하여 깊이 있게 살펴보지 못했다. 앞으로 공개되는 유성기음반의 음원자료나 더 다양한 현장자료를 통해 정밀한 분석으로 개고리타령의 총체적인 음악적 면모를 드러내는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볼 수 있겠다.

      • KCI등재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진로적응성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 요인의 매개효과

        조은정,이혜경 한국진로교육학회 2014 진로교육연구 Vol.27 No.4

        This article is aimed to prove mediating effect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perception toward college and career adaptability. In order to prove it, 746 male and female students in 1-year colleges in Gyeonggi-do were collec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Win 19.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egree of negative perception toward college was negatively related college life adjustment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college life adjustment had totally mediated career adaptability during negative perception. Based on the resul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intervention and review i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career adaptability and college life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들이 스스로 지각하는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진로적응성,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 부정적 인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 요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전문대학생들의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경기지역에 있는 전문대학교 3개 학교의 1학년 재학생이며, 총 746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 대학생활적응 요인, 진로적응성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관계와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대학생활적응 요인, 진로적응성에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대학생활적응 요인과 진로적응성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진로적응성과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 요인 모두가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즉 전문대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더라도 대학생활적응 요인인 학업능력, 학업흥미, 교육학문, 교육환경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면 진로적응성 정도는 높아진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전문대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력과 진로적응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영유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노동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조은정,신수경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6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on the Relationship BetweenSelf-leadership and Emotional Lab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Eunjung Cho & Sukyung Shi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lf-leadership and autonomy require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emotional labor and what mediating role autonomy play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leadership and emotional lab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on self-leadership, emotional labor, and teacher autonomy of 193 early childhood teachers located in the province of J.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earson's 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leadership and teacher autonomy on emotional labo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leadership, teacher autonomy, and emotional labor. Also, it was found that the self-leadership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autonomy and emotional labor, and that teacher autonomy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labor. Second, teacher autonomy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leadership and emotional labor. In order to improve the autonomy and self-leadership effici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n individual internal variable that can effectively control and manage the emotional labor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s requir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find various ways to train teachers that can be applied in the educational field. Key Words: Early Childhood Teacher, Self-leadership, Autonomy, Emotional Labor, Mediating Effect 영유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정서노동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조 은 정*ㆍ신 수 경** 연구 목적: 영유아 교사에게 요구되는 셀프리더십과 자율성이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과 영유아 교사들의 셀프리더십과 정서노동 간의 관계에서 자율성이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J도에 소재한 영유아 교사 193명을 대상으로 영유아 교사의 셀프리더십, 정서노동, 자율성에 관한 설문지 조사를 하였으며,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매개회귀분석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내용: 영유아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자율성, 정서노동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유아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자율성과 정서노동과 정적 영향을 자율성은 정서노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교사의 자율성은 셀프리더십과 정서노동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영유아 교사의 정서노동을 효과적으로 통제 및 관리할 수 있는 개인 내적 변인으로 영유아 교사의 자율성 및 셀프리더십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영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다양한 교수연수에 대한 다각적 방안 모색이 요구되어진다. 핵심어: 영유아 교사, 셀프리더십, 자율성, 정서노동, 매개효과 □ 접수일: 2022년 10월 20일, 수정일: 2022년 11월 18일, 게재확정일: 2022년 12월 20일* 주저자, 동아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Donga Univ. of Health, Email: eun007jung@hanmail.net)** 교신저자, 남부대학교 유아교육과 부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Nambu Univ., Email: sskdds@nambu.ac.kr)

      • KCI등재

        해방 후 도로 권력의 변화와 ‘지프차’ 표상

        조은정 수선사학회 2024 史林 Vol.- No.88

        . This article focuses on the railroad as a symbol of the advent of modernity and its speed, and proposes to rethink the road as a political space after liberation and examine governmentality as a ‘road manager’, just as it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colonial modernity. Unlike railroads and trams in the era of orbital transportation, the U.S. military ‘Jeep Car’, which can travel ‘off road’, represented the new ruling power in South Korea as a cutting-edge war weapon that led to the victory of the Allied Forces and formed a cultural and spiritual U.S. military representation. However, Jeep caused various traffic accidents as an occupation force on a road that sped relentlessly on unpaved roads with a hard and enormous body. Despite the rapid increase in automobiles,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roads were insufficient, and even during the US military regime or after the founding of the country, the government could not properly exercise the law and power to severely punish US military violations of traffic laws or unethical behavior. Therefore, U.S. military-related traffic accidents should be re-examined as social structural events that do not stop at accidental and unexpected accidents, and the situation in which the sovereignty of road control and management was layered and confusing suggests the multi-layered power of th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