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 평가 방법에 대한 고찰

        조은일,정선철,최재훈 한국에너지학회 2021 한국에너지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21 No.4

        절연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 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s)는 AC/DC 모터, 주파수 변환기, 무정전 전원장치 등에 설치하여 스위칭 기능을 통해 직류 입력전압을 원하는 크기 및 주파수의 교류 출력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빠른 스위칭 속도와 전력손실이 적은 MOSFET과 구동 전류 용량이 큰 BJT의 장점을 조합한 것으로 MOSFET의Gate를 입력으로 하고, BJT의 Collector, Emitter를 출력으로 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고장모드 영향분석(FMEA - Failure Mode Effect Analysis)를 통하여 절연게이트양극성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도출하여 합리적인 평가 방법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IGBT의 고장모드로 단락(Short)와 개방(Open)이 있다. 물리적 또는 전기적 충격에 의해 트랜지스터 역병렬 다이오드의 출력단자가 단락 또는 개방되면 목표로 하는 제어동작을 수행할 수 없어 기기의 안전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위 고장모드를 검증하기 위해 스위칭 시간(Turn on, off times)을 시험해야 한다. 또한, 소자의 반복적인 동작이나 전기적 스트레스로 인해 열화되면 규정된 입력전압에서 오동작이 발생하여 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이 때문에 Collector-emitter saturation voltage (V<sub>CEsat</sub>), Gate-emitter threshold voltage(V<sub>GE(th)</sub>)와 Collector cut-off current(ICES)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 외에도 시험자의 판단에 따라 IEC 60747-9 6장의 다른 조항들을 선별적으로 적용 가능하다. 컬렉터-이미터 포화전압(V<sub>CEsat</sub>)은 IGBT의 컬렉터 전류가 게이트-이미터 전압에 독립적일 때, 컬렉터-이미터 전압곡선이 완만해지는 지점으로 IGBT 내부 저항에 의한 전압 손실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V<sub>GE(th)</sub>(Gate-emitter threshold voltage)는 일정 컬렉터-이미터간 전압에서 규정된 컬렉터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게이트-이미터간 전압으로Collector-emitter voltage V<sub>CE</sub>를 주어진 규정된 값에 고정시키고 Collector current I<sub>C</sub> 값에 도달할 때까지 gate-emitter voltage V<sub>GE</sub>를 증가하는 방법으로 측정이 필요하다. 컬렉터 차단전류(ICES, Collector cut-off current)는 게이트와 이미터가 단락된 상태에서 컬렉터에 규정된 전압을 인가했을 때 컬렉터 전류의 최대값으로 AC Method와 DC Method 두 가지시험방법이 가능하다. V<sub>CE</sub>를 규정된 값에 도달하도록 증가시켜 전류 프로브로 I<sub>CE</sub>가Saturation되는 값을 측정할 수 있다. 그 외 가능한 추가시험으로 Collector-emitter sustaining voltage (V<sub>CE</sub>*sus), Gate leakage current IGES, Input, Output, Reverse transfer capacitance, Turn on, off times 등이 있으며, 이를 측정함으로써 IGBT의 특성을 평가하는데 좋은 척도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미중 전략경쟁 시대의 한일 안보관계

        조은일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21 국제지역연구 Vol.30 No.2

        This paper examines the case of the General Security of Military Information Agreement (GSOMIA) and argues that the security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have developed within the framework of Korea-US-Japan cooperation. The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further increases the necessity of Korea-Japan security relations as Korea-US-Japan cooperation. But, the Korea-Japan relationship was dominated by conflict rather than cooperation. The case of GSOMIA first shows that the security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are experiencing ups and downs from 2012 until today, and second, reveal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United States in Korea-Japan security relations. In the era of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the US focuses on the geopolitical values of the Western Pacific as well as the Korean Peninsula, and emphasizes the ROK-US alliance, the US-Japan alliance, and Korea-US-Japan cooperation in creating a security architecture in the “Indo-Pacific region.” Unlike the Trump administration, the Biden administration is showing its willingness to engage in Korea-Japan relations, so both Korea and Japan will be able to alleviate the domestic and political burden on security cooperation. 본고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지소미아) 사례를 통해 한일 안보관계가 한미일 협력의 틀 속에서 발전해 왔음을 살펴보고, 미중 전략경쟁이 한미일 협력으로서의 한일 안보관계의 필요성을 더욱 높이고 있다고 주장한다. 미중 전략경쟁에 따른 구조적 변화가 어떠한 방향으로 전개될지 불확실한만큼 한일 양국 모두 다루기 어려운 문제가 되고 있다. 그 상황에서 한일 관계는 협력보다 갈등이 지배적이었다. 그렇게 부침을 겪고 있는 한일 안보관계를 보여주는 게 한일 지소미아 사례였다. 2012년 한일 지소미아 체결의 추진과 실패, 이후 미국의 대북정책 조정을 위한 한미일 협력의 추진과 한일 안보관계의 재설정, 2016년 한일 지소미아의 체결 그리고 2019년 한일 지소미아 연장을 둘러싼 갈등과 봉함까지의 과정은 한일 안보관계에 미국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이 중국과 경쟁하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안보 구상(architecture)을 만드는데 한반도뿐만 아니라 서태평양의 지정학적 가치에 주목하고 한미동맹, 미일동맹 그리고 한미일 협력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보면 한일 안보협력은 증진되어야 하고 그 협력의 범위가 중국과 경쟁하는 미국의 우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부담 분담(burden sharing)이 추진될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와 다르게 바이든 행정부는 한일 관계에 관여할 의지를 보여주고 있는 만큼 한일 양국 모두 안보협력에 대한 국내정치적 부담은 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한국 군비통제정책의 시대적 변화 연구

        조은일,이미숙 한국국방연구원 2020 국방정책연구 Vol.36 No.2

        This article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overnment policy on conventional arms control, ranging from the Roh Tae-woo government to the Moon Jae-in government. The article explains continuities and changes in conventional arms control policies in terms of conservative-liberal characteristics, inter-Korean relations, and North Korea’s provocation. In particular, conservative-liberal characteristics is a key factor in changing the conventional arms control policy. Inter-Korean relations and North Korea’s provocations as intervening variables affect each government’ perceptions of North Korea. Taken together, this article provides an opportunity to discuss shifts in Korea’s conventional arms control policy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본 연구는 정권변화라는 시기적 특징에 따라 한국의 군비통제정책의 변화와 연속을 탐색한다. 연구의 범위는 노태우 정부부터 문재인 정부까지의 30여 년간의 군비통제정책을 포함한다. 정권의 이념적 성격, 남북관계 그리고 북한 도발이라는 변수를 통해 군비통제정책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밝혀 보았다. 연구결과 역대 정부의 군비통제정책은 ‘대비 중심’에서 ‘대북정책(화해) 중심’으로 변화되었고, 그 과정에서 정권의 이념적 성격이 한국 군비통제정책의 변화에 결정적인 변수로 작용하였다. 남북관계와 북한의 군사도발은 정권의 정치적 성향과 남북관계개선 의지 등에서 비롯된 대북인식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수로 작용하였다. 이는 역대 정부의 변화 과정을 점진적으로 추적하여 통시적인 관점에서 향후 한국의 군비통제정책의 변화를 논의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 도교회화 김덕성(金德成) 그림 〈괴성도(魁星圖)〉의 고찰

        조은일 한국도교문화학회 2023 道敎文化硏究 Vol.59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Daoist painting Goe seong do魁星圖 by Kim Deok Seong (1729–1797), shedding light on the identity of its central figure and the importance of the work through philological analysis and iconographic comparison. The title of the work names the painting’s central figure as Goe Seong魁星 (Ch. Kui Xing, “Chief of Stars”), presenting the problem of the slippery iconographies of Goe seong and Mun chang (Ch. Wenchang 文昌), a deity whose jurisdiction is and literary achievement. In the Joseon period (1392–1897), the Illustrated Compendium of the Three Powers (Ch. Sancai tuhui 三才圖繪, 1609) that had arrived from China during the Ming dynasty (1368–1644) was used as an encyclopedia. Its illustration of the figure appearing in Kim Deok Seong’s painting. First, through iconographic comparisons, the figures of Mun chang je gun and Goe seong are differentiated. Next, Mun chang je gun/Wenchang Dijun in the Chinese context and Goe seong/Kui Xing are distinguished through an approach of philological analysis using the records of Joseon-period envoys to the Chinese capital, present-day Beijing(K. Yeon haeng Rok 燕行錄). In China, there were cases of statues of Kui Xing enshrined as a deity. The nomenclature for the buildings constructed to enshrine Kui Xing and Wenchang respectively is explored to shed light on their distinctions of divine status and how they were worshipped as astral deities. Next, the writings of the literatus Yi Gyu-gyeong李圭景(b. 1788) are explored to determine extent to which Goe Seong was known in Joseon-period society. Looking at his work Random Expiations of Oju (K. O ju yeon mun jang jeon san go 五洲衍文長箋散稿), Yi Gyu-gyeong mentions that a Goe seong do is used in some situation to the Imperial Examinations in Joseon. From this, we can understand that during the Joseon period, “Goe seong do” had been conventionalized as the title for this iconography. Records offering testimony of Goe seong do are very rare, heightening the importance of Kim Deok Seong’s work. On the other hand, if we compare Kim Deok Seong’s painting with the illustration from the Ming-dynasty Sancai tuhui,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orthodox iconography, th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legs are the most striking areas of distinction: the figure in the Kim Deok Seong painting has a leg lifted to the front, whereas the leg reaches out to the back in the Sancai tuhui illustration. Finally, considering various philosophic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painting and its subject, attention is paid to the dragon upon which Goe Seong rides in the painting by Kim Deok Seong. If we examine the painting’s depiction of the dragon, we can understand that the figure is in fact being depicted as an immortal. The inclusion of a dragon places this painting in the Daoist genre of immortal paintings.

      • KCI등재

        아베 시기 일본의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 지역전략

        조은일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20 한국과 국제정치 Vol.36 No.2

        This study addresses why and how Japan pursues the free and open Indo-Pacific regional strategy by examining narrative changes in the diplomatic bluebook. Facing challenges to the shifting balance of power between the US and China, Japan recognizes strategic significance of the Indo-Pacific region. In the 2010s, the Abe administration sought a regional strategy emphasizing cooperation among like-minded countries. Japan expanded its strategic horizon into the Indian Ocean in response to China’s rise while enhancing defense cooperation with the ASEAN countries. However, Japan had to reset its regional strategy because partner countries sought to avoid geopolitical confrontation with China diplomatically. To this end, Japan no longer calls the free and open Indo-Pacific a strategy and rather focuses on economic engagement and capacity building. Such change implies the likelihood that Japan faces a dilemma both in its US policy and China policy.

      • KCI등재

        부시 행정부 이후 미국의 미사일방어(MD)체계 연구: 분석과 전략적 함의

        조은일 세종연구소 2019 국가전략 Vol.25 No.1

        This article examines the U.S. missile defense system from Bush to Obama, to Trump administration in a case study research. This article finds that the U.S. missile defense system has improved and expanded by deploying an initial capability for homeland defense, by improving regional defense to address regional threats, and by formulating 'integrated, multi-layered' missile defense system to win its strategic competitors as well as missile threats. We closely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U.S. missile defense system for East Asian security, and then pursue a long-term strategy for missile defense. 본고는 부시 행정부 이후 미국의 MD체계의 변화와 연속성을 분석하고, 전략적 함의를 도출한다. MD체계의 변화과정은 시공간적 맥락에 따라 행정부 간에 유사성과 차이를 동시에 보여준다. 이에 본고는 행정부별 MD체계의 변화과정을 비교하는 사례연구를 진행한다. 미국의 MD체계는 변화하는 국제환경, 미국 국내정치, 기술 능력 등의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발전시켜왔다. 부시 행정부가 MD체계 초기 배치로 본토 방어를 강조한 반면, 오바마 행정부는 지역 미사일위협을 해소하는 지역 방어의 협력을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군사적 우위하에 어떠한 종류의 미사일위협에도 대응 가능한 다층적 MD체계를 지향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미국의 MD체계가 동아시아 안보에 갖는 함의를 살펴보고, ‘한국형 미사일 방어’에 대한 장기적인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