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존선 철도차량을 이용한 철도교의 상호작용해석

        조은상(Cho Eun Sang),김희주(Kim Hee Ju),황원섭(Hwang Won Sup) 대한토목학회 2009 대한토목학회논문집 A Vol.29 No.1A

        In this study, the numerical method is presented, which can consider the various train types and can solve the equations of motion for a vehicle-bridge interaction analysis by non-iteration procedure through formulating the coupled equations of motion. The coupled equations of motion for the vehicle-bridge interaction are solved by the Newmark β of a direct integration method, and by composing the effective stiffness matrix and the effective force vector according to a analysis step, those can be solved with the same manner of the solving procedure of equilibrium equations in static analysis. Also, the effective stiffness matrix is reconstructed by the Skyline method for increasing the analysis effectiveness. The Cholesky's matrix decomposition scheme is applied to the analysis procedure for minimizing the numerical errors that can be generated in directly calculating the inverse matrix. The equations of motion for the conventional trains are derived, and the numerical models of the conventional trains are idealized by a set of linear springs and dashpots with 16 degrees of freedom. The bridge models are simplified by the 3 dimensional space frame element which is based on the Euler-Bernoulli theory. The rail irregularities of vertical and lateral directions are generated by the PSD functions of the Federal Railroad Administration (FRA). The results of the vehicle-bridge interaction analysis are verified by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the railway plate girder bridges of a span length with 12 m, 18 m, and the experimental and analytical data are applied to the low pass filtering scheme, and the basis frequency of the filtering is a 2 times of the 1st fundamental frequency of a bridge bending.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차종의 영향을 반영할 수 있고, 차량과 교량의 연성 운동방정식을 구성하여 시간 단계별 직접해를 산정할 수 있는 수치해석기법을 제시하였다. 운동방정식의 해는 직접적분법인 Newmark β을 이용하여 해석 단계별로 구성된 유효강성행렬과 유효하중벡터를 바탕으로 정적평형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원리와 동일하게 산정하였다. 또한 해석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유효강성행렬은 Skyline 법에 의해 재구성하였으며. Cholesky의 행렬 분해기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직접적인 역행렬 계산에서 야기되는 오차의 발생을 최소화 하였다. 또한 기존선 철도차량인 새마을 PMC 열차와 디젤 견인 무궁화 열차에 대한 3차원 정밀수치해석 모델을 개발하였고, 각 차량은 차체와 전ㆍ후방 대차에 각각 6자유도씩 고려하여 총 18자유도로 수치모델을 작성하였다. 교량은 3차원 공간뼈대 요소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였고, 차륜과 레일 접촉면의 불규칙성은 미국의 FRA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직방향 및 횡방향틀림에 대한 PSD 함수를 이용하여 궤도틀림을 수치적으로 구현하였다. 제시된 수치해석 기법은 12 m, 18 m형 판형교의 실측결과를 이용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실측 및 수치해석결과는 교량의 1차 휨 고유진동수의 2.0배를 기준으로 Low pass filtering 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분리-개별화 성찰을 위한 글쓰기 방법 연구

        조은상 ( Cho Eun-sa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9 No.-

        이 연구에서는 자기성찰이 평소에 자기가 의식하고 있는 정도를 넘어설수 있게 하면서 방어를 최소화 하고 분리-개별화라는 주제에 초점화할 수있는 글쓰기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것은 학습자의 분리-개별화 정도나 특성을 자극하고 이야기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투사적 대상을 활용하는 것이다. 리꾀르는 자기성찰이 항상 문화적이며 상징적인 매개로 이루어 진다고 하였으며 문학작품을 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자기성찰을 유도하는 것은 성찰을 위한 방편이 아니라 유효하고 특권적인 방법이다. 자기는 그 자체로 인식되기 어렵고 대상에게 투사되어 드러남으로써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자신의 분리-개별화의 특성을 투사하여 이야기로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대상으로 학습자의 `어머니에 대한 초기 아동 기억`과 `설화 <해와 달이 된 오누이>와 <여우구슬>`을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2장에서 청소년 후기에 해당하는 대학생의 2차 분리-개별화 과정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성찰하기 위한 대상으로 어머니, 분리개별화 과정, 사랑을 이성에게로 옮기는 문제 등 세 가지를 설정하였다. 이 가운데 초기 아동기억 회상하기는 분리개별화 대상인 어머니에 대해, 해와 달은 분리개별화 과정에 대해, 여우구슬은 사랑을 이성에게로 옮기는 문제를 성찰하는데 적합하다고 본 것이다. 초기 아동 기억은 개인이 자기와 세상을 인지하는 방식을 반영하는 것으로 어머니에 대한 초기 아동 기억은 분리-개별화의 주요 대상인 어머니를 학습자가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지 보여줄 것으로 보았다. 또한 <해와 달>과 <여우구슬>은 분리 개별화와 관련된 내용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이야기로서 이것을 읽고 반응하는 과정은 학습자의 해당 특성을 자극하여 드러내는 과정이 된다. 연구자는 두 설화를 활용한 대학생 글쓰기의 성찰에 대한 기존의 실행연구 결과를 토대로 <해와 달>은 자율성의 분리 개별화 과정을, <여우구슬>은 분리 개별화 과정과 맞물려 있는 이성애의 문제를 투사하도록 하는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두 설화의 연결고리를 찾아 분리 개별화 성찰을 위한 글쓰기 과정에서 함께 활용한다면 성찰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는 이러한 글쓰기 방법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후속 연구는 글쓰기 방법의 실효성을 확인하는 실증적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research proposes the methods of writing, which argue that reflection enables one transcend oneself thereby minimizing the effect of self-defense. Therefore, reflection allows the subject of separation-individuation to be the focus, in the writing process. It stimulates the level of separation-individuation of learners and utilizes the projective object in converting that level into narratives. Ricoeur argues that the process of reflections consists of cultural-symbolic medium throughout all the time. The self is hardly to be recognized by itself, but it can be revealed by the projection of other objects. The research employs the stories <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 < Bead of Fox > as the base for creating a story, which projects the traits of a learner`s separation-individuation. The two stories relates to the early childhood memories of mother. The early childhood memories reflect the ways in which the self and the world are perceived. Through the esrly childhood memories of the mother,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learner`s cognitive frame that has the mother as the primary object of separation-individuation. Moreover, < Brother and Sister who became the Sun and the Moon > and < Bead of Fox > are the stories, that symbolically represent separation-individuation. The learner`s reaction to these stories is the process, by which, the learner`s trait regarding separation-individuation is revealed.

      • KCI등재

        <효 불효 다리>의 반응을 통해 본 우울성향 자기서사의 양상

        조은상 ( Eun Sang Cho ) 한국문학교육학회 2009 문학교육학 Vol.30 No.-

        This paper has investigated the epic of self with depression disposition by comparatively analyzing people(with and without depressive disposition)`s response to `Hyo-BulhyoBridge.` In those with depressive disposition, the epic of pushing parents was observed in a married women`s group(30-40s) and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oup. Under the concept that a married woman`s infidelity was unforgettable, a married woman who was unfaithful to her husband eventually died in most stories. Furthermore, those with depressive disposition resented their widowed mother dating a widowed man. Instead of interfering the dating in person, a son of the windowed mother punished his mother and her date indirectly. In 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oup, the epic of pushing parents was weak. The reason why young children didn`t push their parent is not because they understood their parent, but because they were very dependent on their parent. From the story about children with depressive disposition, two characteristics have been found as follows: First, they were resentful at their widowed mother`s infidelity. Second, they had had the desire of a young child who was totally dependent on their mother. In other words, the epic of pushing parents was created by their resentment and weakened by their dependence on their mother at the same time.

      • KCI등재

        문학치료의 발달적 접근

        조은상 ( Cho Eun-sa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고전문학과 교육 Vol.37 No.-

        문학치료를 비롯한 인문학의 치유적 접근의 궁극적 목표는 증상 완화와 소거에 있지 않고 인간의 성장과 발달의 촉진에 있다. 문학교육의 목표라고 할 수 있는 정서의 함양 역시 인간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설화가 인간의 성장과 발달을 위해 치료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게 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치료는 내담자가 자신의 발달사를 탐색하고 삶의 전체적 맥락에서 현재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수용함으로써 한 단계 성장하도록 돕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 설화가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이전 연구에서 설화가 내담자의 자기 문제를 투사하여 드러내고 대상화하여 보게 함으로써 자기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논한바 있다. 그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담자의 발달적 문제를 자극하여 드러내게 하는 데 적합한 설화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적합한 설화란 내담자의 발달적 문제를 상징적으로 다루고 있는 것으로서 내담자가 현재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의 저변에서 작용하고 있는 자기서사를 자극하고 드러내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설화를 선정하기 위해서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설화의 내용을 인간의 보편적 삶의 문제로 이해하고 전 생애 발달의 관점에서 보는 일이다. 연구자는 이 논문을 통해 문학치료에서 발달적 접근의 필요성을 내담자의 반응 해석과 치료 과정을 통해 검토하고 발달단계와 과업을 고려하여 설화를 이해하고 분류할 수 있는 기본 틀을 구성해보고자 하였다. 이것은 문학치료 현장에서 내담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그가 당면해 있는 발달적 문제를 형상화한 설화를 선정하도록 하고 설화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을 이해하며 치료의 방향성과 목표를 정하는 근거로 활용될 것으로 본다. 이러한 문학치료의 발달적 접근에 따른 설화 이해는 학습자의 인지적·정서적 발달을 고려할 때 교육적 효과성을 담보할 수 있는 문학교육에서도 유용성을 가질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erapeutic approach of humanities, including literary therapy, is ultimately encourage the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human being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techniques for eradicating symptoms. This paper is noteworthy as to the fundamental work for using folktales at therapy sessions. It may be argued that therapy is the process of searching clients’ own development history and accepting current challenges in relation to overall context of their own lives and this may lead to the growth clients. In this regard, this paper attempts to set up the selection criteria for folktales to be effectively applied in therapy sessions. The author of the paper argued in her previous paper that folktales may be effective in terms of self-understanding of clients. Folktales can assist clients regarding the objectification of their issues by projecting and exposing their problems. Therefore, this paper argues the method for selecting proper folktales to stimulate of clients’’ developmental challenges and ultimately to expose them. The first groundwork for this is understand contents of folktale as to general problems of life and view it as the development of one’s entire life. The challenge of client is personal and unique but at the same time it is problems of general development process. The author examines the need for developmental approach of literary therapy and attempts to compose a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understanding folktales as to developmental process. This may use at literary therapy sessions to select proper folktales based on clients’ complaining issues and their developmental age. The criteria also can be used as the basis of clients’’ reaction on folk-tales.

      • KCI등재
      • KCI등재

        논문(論文) : 馮夢龍輯錄話本小說集的編纂方式及其寄意試探 -以≪古今小說≫爲主

        조은상 ( Eun Sang Cho ),楊兆貴,趙殷尙 중국어문연구회 2014 中國語文論叢 Vol.0 No.61

        Feng Meng Long had compiled a number of famous short story-teller scripts anthologies. As the background, theme, and topic of story-teller scripts anthology differed, Feng Meng Long arranged the titles in antithesis. Some scholars opined that the titles of ‘San yan’ which were arranged in antithesis were only a mimic of a long piece of Chapter novels, and there was no special meaning behind. However if we analyse the titles in details, we will discover that the antithesis was arranged in a sophisticated way. The titles in antithesis were meticulous arrangements by Feng Meng Long.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sophisticated and meaningful arrangement of titles in antithesis by Feng Meng Long from examples in ‘Gujin Xiaoshuo’. Such an arrangement will not only alter, but also enrich the plot of the anthologies.

      • 영화 <파이란>과 원작 소설의 서사적 거리와 강재의 변화

        조은상(Cho, Eun-Sang)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0 영화와문학치료 Vol.4 No.-

        영화와 원작소설이 보였던 서사적 거리는 바로 남자주인공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힘을 어디서 찾고 있는가에 따라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원작소설에서 남자주인공 고로는 자신처럼 한 없이 외롭고 힘없는 존재인 파이란을 자기 자신이 죽음으로 내몰았다는 사실에 괴로워한다. 그동안 아무런 거리낌 없이 저지른 일들이 자신과 같은 처지의 누군가를 해하는 일이었음을 깨닫는다. 더욱이 그렇게 죽어간 파이란이 자신을 가족이나 진짜 남편처럼 의지하며 사랑하고 감사를 표하고 있다는 사실이 그를 더욱 괴롭게 하고 있다. 고로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힘은 파이란에 대한 동질감과 연민, 자신과 세상이 파이란에게 저지른 일에 대한 죄책감으로 인한 도덕적 깨달음에 보다 비중이 두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소설에서 고로가 꾸는 꿈은 이러한 죄책감이 만들어낸 것이다. 이와 달리 영화에서는 파이란의 순수한 짝사랑을 강재를 변화시킨 원동력으로 그리고 있다. 따라서 영화에서는 그러한 사랑을 절실히 필요로 하는 인물로 강재를 그려야만 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강재는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존재, 한 번도 사랑받고 주목받지 못한 존재, 쓸모없는 존재로 그려진다. 원작과 달리 영화의 전반부에서 전체 영화시간의 약 4분의1 정도의 긴 시간을 강재가 스스로를 팽개친 채 함부로 살고 있는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데 투자하고 있는 것은 강재가 그만큼 사랑과 인정에 목말라하고 있는 인물임을 드러내기 위해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원작에는 없는 보스 용식의 살인사건과 그 누명을 대신 쓰기로 하는 강재의 이야기가 영화에서 필요했던 것도 마찬가지라고 할 수 있다. 영화에서 강재가 삶의 태도를 바꾸고 고향으로 내려간다는 것은 용식에 대한 배신을 의미하고 이는 곧 죽음을 의미한다. 강재가 이것을 모르고 있었을 리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강재는 파이란의 사랑과 그로 인한 삶의 변화를 선택한다. 파이란의 사랑이 죽음을 무릅쓸 만큼 강재에게 절실한 것임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The distance of Epic in the Film and the novel occurs the cause of the hero"s changes. The hero in the novel chemistry and have compassion for the Failan. He know that Failan is a lonely and helpless beings. But, he was led to her death. He feels guilty for the Failan about what he did. The hero even more painful because Failan will consider him as a family. To change the hero in the novel due to the guilt is a moral awakening. The hero of the dream in the novel is due to guilt. However, changing the hero in the Film that is pure love of Failan. In the beginning of movies where the hero does not love unwelcome. The hero needs to love a person is stressed that. He was changed by the love of Failan. The change of the hero in the film is death. Nonetheless, he should choose to change. In addition, the hero spends a risk death for the love of Fai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