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양생온도가 긴급 보수용 폴리머 모르타르의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조용인 ( Cho Yong In ),홍기남 ( Hong Ki Nam ),김민성 ( Kim Min Sung ),박재규 ( Park Jae Kyu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6 한국안전학회지 Vol.31 No.5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ymer type and curing temperatur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mer mortar. Setting time of two types of polymers, hardening-delayed polymer(HDP) and rapid hardening polymer(RHP), was tested to check the working time. Additionally, flexural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was investigated for mortars using these polymers. From thes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rrespective to curing temperature, RHP mortar at the curing age of 24h develops the similar mechanical properties to maximum properties and HDP mortar is more sensitive to the curing temperature.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RHP mortar and HDP mortar are suitable in winter and summer, respectively.
다공성/생분해성 PCL 필라멘트를 이용한 이중구조를 갖는 분기된 PCL 신경도관 제작
조용상(Yong Sang Cho) 대한기계학회 2021 大韓機械學會論文集B Vol.45 No.4
자가 신경 또는 silicone 신경도관 이식술은 공급의 제한, 신경 크기의 불일치, 추가적인 수술, 신경 압박 등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자 신경재생을 유도할 수 있는 생분해성 신경도관을 이용한 신경 이식술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길이 10 mm 이상을 갖는 신경도관 제작 관련 연구는 기초적인 신경재생 검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원통형 신경도관으로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생분해성 PCL 필라멘트 제작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중구조(다공성/비다공성)를 갖는 분기된 PCL 신경도관 제작법을 제안하였다. 게다가 단일구조(비다공성)를 갖는 분기된 PCL 신경도관을 이용하여 이중구조(다공성/비다공성)를 갖는 분기된 PCL 신경도관의 형태학적 특성 및 세포 증식력을 비교 평가하였다. Autologous nerve or silicone nerve conduit grafting lead to problems such as limited supply, possible size mismatch, additional surgery, and nerve compression. To overcome these problems, nerve grafting via a nerve guide conduit, which can induce nerve regeneration, has been considered. However, the fabrication of a nerve guide conduit with a length exceeding 10 mm limited its shape to cylindrical because existing studies focused on the verification of basic nerve regene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abrication method of porous and biodegradable PCL filaments was developed. Additionally, a fabrication method of a branched PCL nerve guide conduit with a dual structure (porous/nonporous) using porous and biodegradable PCL filaments was proposed. Moreover,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ell proliferation of the branched PCL nerve guide conduit with a dual structure were assess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a branched PCL nerve guide conduit with a single structure (nonporous).
미래사회 대비 중학교 예술교육 구현 양상에 관한 학생들의 핵심역량 변화 분석 및 논의
조용(Yong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미래사회 대비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중학교 예술교육을 구상하고자 학급 뮤지컬 프로젝트에 참여한 학생들의 예술 수업 참여 인식과 핵심역량 증진의 사전-사후 변화 정도를 분석하고 운영 담당 교사 대상으로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여 역량기반 중학교 예술교육 구현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교육청으로부터 협종의 학급 뮤지컬 프로젝트 운영 우수학교를 추천받아 연구진 협의를 통해 4개 학교를 표집하였다. 먼저 2학기 협종의 학급 뮤지컬 프로젝트가 실시되기 전인 2019년 8월 26일(월)~8월 30일(금)에 사전 조사를 실시하고, 학급 뮤지컬 프로젝트가 실시된 후인 11월 28일(목)~12월 20일(금)에 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운영 담당 교사 대상으로 2019년 12월 6일에 전문가 협의회를 실시하였다. 의견 조사 문항은 Cronbach α로 사전⋅사후 신뢰도를 검사하였으며, 의견 조사 결과 처리는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협종의 학급 뮤지컬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적 감수성 및 창의력이 증대되고 그로 인해 학교생활이 즐거워졌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적 효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둘째, 미래 지향적 인성 역량인 ‘의사소통 역량’과 ‘공동체 역량’에서 의미 있는 기여를 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협종의 학급 뮤지컬 프로젝트의 긍정적인 취지에도 불구하고, 담당 교사 입장에서는 업무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으로, 이에 대해서는 보완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첫째, 교육과정과 연계한 문화예술교육 및 교과 간 융합교육 활성화를 위한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예술교육 프로젝트가 필요하다. 둘째, 교육과정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 충분한 시수와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협종에서 학급 뮤지컬 프로젝트의 특징을 잘 살려 공교육에서 예술교육의 범위를 확장하고 교육에 대한 관심이 예술 분야에서 부활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lass musical project and the degree of pre-post changes in core competency,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realizing competency-based middle school art education. Methods For this, four schools were sampled through consultation with researchers after receiving recommendation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or excellent schools in operating the class musical project. First,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26 (Mon) to August 30 (Fri), 2019, before the 2nd semester collaboration class musical project was implemented, and November 28 (Thurs) after the class musical project was implemented. A post-mortem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December 20 (Fri). Next, an expert council was held on December 6, 2019 for teachers in charge of operation. For opinion survey questions, pre- and post-reliability tests were performed with Cronbach α,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processing of opinion survey results using SPSS Statistics 22.0 program. Results First, it can be judg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 has been achieved as a high percentage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ir artistic sensibility and creativity were increased through the Hyeopjong's class musical project, and that school life was enjoyable as a resul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meaningful contributions were made i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ommunity competence’, which are future-oriented personality competencies. Third, in spite of the positive purpose of Hyeopjong's class musical project, it was confirmed that the work load was increas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eacher in charge, and supplementation was necessary for this. Conclusion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arts education project to revitalize arts and culture education linked to the curriculum and convergence education between subjects.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sufficient number of hours and budget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curriculum.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to make continuous efforts to expand the scope of art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by making good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 musical project in collaboration and to revive interest in education in the art field.
양전자단층촬영(PET)시 환자의 특성에 따른 외부 방사선량률 측정
조용귀(Yong-Gwi Cho),김성철(Sung-Chul Kim),안성민(Sung-Min Ahn)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PET/CT Torso를 위해 방사성의약품(<SUP>18</SUP>F-FDG) 투여 후 환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환자로부터 방출되는 외부 방사선량률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여 방사선 선원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고, 경각심을 제공함으로서 방사선 노출에 의한 작업종사자와 환자 보호자, 수시출입자 등의 피폭선량을 저감하기 위함이다. 2013년1월에서 6월까지 PET Torso를 시행하는 환자들 중 80명을 대상으로 방사성의약품을 투여 후 환자의 체형(비만도), 수분 공급, 신장 상태, 방사성의약품 투여량에 따라 시간 변화에 의한 환자로부터 방출되는 외부 방사선량률을 각각 측정 하였다. 방사성의약품 투여 직후부터 환자 개인의 특성에 따라 외부 방사선량률을 측정한 결과 방사성의약품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외부 방사선량률이 높았고, 환자 체형에 따른 외부 방사선량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분을 공급 했을 때와 신장이 정상일 때가 그렇지 않을 때 보다 외부 방사선량률이 낮았다. 방사선 안전관리를 준수하기 위하여 방사선 작업종사자는 선원을 취급하기 전 충분한 교육과 모의 훈련을 통해 작업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며, 개인 방사선 방호구를 착용하여 외부 방사선원으로부터 피폭을 최소화 시켜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sure safety by measuring External radiation dose ratio (ERDR) by traits of patients in many ways after administering radiopharmaceutical(<SUP>18</SUP>F-FDG) for PET Torso scan, and to decrease ERDR of those to RI technologist, caretakers, and those who frequently exposed to radiation by arousing attention to radiation dose. Radiopharmaceutical was administered to 80 patients who conducted PET Torso from January to June, 2013. Radiation dose emitted from the patients was measured according to body shape(BMI), water hydration, height, amount of radiation administration. From the moment immediately after the radiopharmaceutical was administered, ERDR was measured by personal traits of patients. The radiation dos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administered amount of the radiopharmaceutical,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body shape of the patients. When water was supplied and the height was normal, the radiation dose was lower compared with the cases where water was not supplied and height was not normal. There is a need for making efforts to minimize the working time through sufficient education and mock training before those who RI technologist with sources of radiation for complying the radiation safety management rule. And they should minimize the ERDR by wearing a protective ge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