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동세브란스병원 주산기 사망 1998~2003

        시현 ( Si Hyun Cho ),오자랑 ( Ja Rang Oh ),윤덕경 ( Duk Kyoung Yoon ),채용현 ( Yong Hyun Chae ),이미범 ( Mi Bum Lee ),이경은 ( Kyung Eun Lee ),이혜선 ( Hye Sun Lee ),전영은 ( Young Eun Chun ),황주연 ( Ju Youn Hwang ),김재훈 ( Ja 대한주산의학회 2008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19 No.1

        목적: 최근 연도별 태아 빛 신생아의 질적 관리를 평가하고자 주산기 통계를 제공하고, 출생체중, 임신주수, 임신부 연령, 영아의 성, 산전 진찰 횟수와 사망원인별 주산기 사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8년부터 2003년까지 본원에서 출생한 단태아 4910예의 전자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주산기는 WHO정의에 따랐고 임상적 사망원인은 Aberdeen 분류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과: 조(교정) 주산기 사망률은 22.8 (13.4)였다. 임신 중단이나 중중기형아를 제외한 4.862예의 출생아 중 (1) 태아사망이 주산기 사망의 78% (51/65)였다. (2) 신생아(4,811예) 출생체중 1,000 g 미만, 1,000~1,499 g, 1,500~2,499 g의 빈도는 각각 0.3%. 0.7%. 5.6%로 생존율은 각각 73.7%, 86.1%, 99.6%였다. (3) 36주 이하의 조산아 사망은 총 신생아 사망의 약 86%(12/14)를 차지하였다. (4) 35세 이상의 고령 임신부(494예)의 주산기 사망률이 20.2로 다른 연령군의 경우보다 높았으나,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p=0.273). (5) 남아(2,616예)와 여아(2,245예)의 주산기 사망 시 성비는 173:100으로 남아의 주산기 사망이 의미 있게 높았다(p=0.03l). (6) 산전진찰 2번 미만의 출생아(204예)의 주산기 사망률이 152.0으로 2회 이상의 경우 7.3 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p<0.00l). 조 주산기 사망 112예의 원인을 보면 기형 31.3% 원인 모르는 미숙아 28.6%, 모성질환 10.7% 순이었다. 결론: 출생아 수가 매년 감소하나, 연도별 주산기 사망의 개선된 변화가 없어 특히 조산, 기형, 모성질환에 대한 주산기 관리가 더욱 요구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PMR) and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of perinatal deaths such as birth weight, gestational age maternal age, fetal sex, number of antenatal visits, and cause of deaths. Methods: Review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of 4,910 cases of singleton deliveries from 1998 to 2003 at Yongdong Severance Hospital was done. The perinatal period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WHO definition and the cause of mortality was determined according to Aberdeen Classification. Results: Crude (corrected) PMR was 22.8 (13.4). Among 4862 deliveries excluding termination of pregnancy and severe congenital anomalies, (1) stillbirths accounted for 78% (51/65) of perinatal deaths. (2) Distribution of neonatal birth weights less than 1,000 g, 1,000~1,499 g, 1,500 g~2,499 g were 0.3%, 0.7%, 5.6% with survival rates of 73.7%, 86.1%, and 99.6% respectively. (3) Deaths of preterm births accounted for 86% (12/14) of total neonatal deaths. (4) PMR of 494 cases of advanced maternal age was higher (20.2) than those of other age groups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273). (5) PMR of male-to-female ratio was 173:100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p=0.031). (6) PMR of infants with less than 2 antenatal visits was 152.0, in comparison with the rate (7.3) of infants with more than 2 antenatal visits (P<0.001). Among 112 cases of crude perinatal deaths, the leading causes were congenital anomalies (31.3%), prematurity cause unknown (28.6%), and maternal disease (10.7%). Conclusions: The number of births is decreasing, but no significant decrease of PMR was observed. Therefore, intensive care of preterm infants and congenital anomalous babies should be improved.

      • KCI등재

        일반 대학생의 움직임 수업 사례연구

        남용(Nam Yong Cho),김형숙(Hyung Sook Kim) 한국무용과학회 2010 한국무용과학회지 Vol.21 No.-

        본 연구는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움직임 표현 교육의 가치를 이해시키고, 대학 교양수업에서 리더십과 자기개발의 함양을 위해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움직임 수업 모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8년 1학기 S대학교 기초교육원에 개설된 "학생자율세미나-움직임놀이와 상상력표현" 수업에 참여한 전공이 서로 다른 15명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든 수업의 과정을 수업시간 마다 현대무용실에 비디오 촬영 기구를 설치하여 수강생들의 활동 사항을 비디오 촬영을 통해 기록하여 관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초교육원에서 제공한 양식을 통해 매회 실시한 설문지와 매시간 수업 후 한 학생씩 작성한 결과보고서를 통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수업 진행방법의 결과 측면과 개별적 학습 결과 측면에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움직임교육이 대학 내 학교 교육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전문인 양성의 무용교과가 그 자체로 있는 것보다는 교양과정으로서 다양한 주제와 소재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무용관련학과에서 개설한 움직임수업이 교양 교육을 통해 최상의 교육 효과를 창출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수업의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은 움직임의 중요성과 움직임을 통하여 창조적 과정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에 대학의 교양수업으로서 무용교육이 얼마나 가치 있는가를 인지시켜, 단순히 교양교육이 아닌 사회 속에 평생교육으로 그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In this study, normal college students understand the value of education and representation of the movement, from the College of Liberal Arts classes for cultivating leadership and self-development of effective instructional model can be applied to suggest the movement is aimed. In this study, normal college students' movement and imaginative play as expressed in the teaching proceed with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the class how to proceed in terms of the results were as follows. ① Unlike conventional seminars encourag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to move the body of his body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s well as to widen this year, students with direct experience momyiraneun understand itwas a representation of the text. ② recommend students to participate in a free manner is done, a variety of classes at the beginning of the movement has to play. Representative classes of students to guide teaching jidogyosuna progress is starting, slowly, to lead students to the power in this class or went voluntarily. ③ voluntary movement of students to maximize expression, the body in the first part of the class develops a sense of movement and expression by providing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issues to discuss and share their imagination by creating a culture has exerted play. ④ about their lives and communities of interest and the subject creates an opportunity to express actively, students work together through their own self, life, society has to share a common awareness of issues. ⑤ Through a joint project with the concept of play performances, arts activities as a form of cultural unity throughout the movement expressed their thoughts about that expression of joy and confidence to actively induced. Second, in terms of individual learning outcomes were as follows. ① basic learning about their body, and movement through the body and representation theory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ility to obtain improved ride. ② several new understanding of their body movements to play and let. ③ momgwaui me other than their own body movements to play and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living with others woodorok stance times were derived. ④ their awareness of issues about life and society, the body has learned how to express imagination. ⑤ density through the co-operation to share and refine their own sense of the problem was. ⑥ released through public projects, indigenous games were learning how to create a culture. ⑦ through body movements as a new perspective to the whole society to express their concern to the developed. ⑧ movement through education, representation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art has become. In conclusion, we move through the educational development of university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to train professionals in the course of the dance itself, not only would be best accomplished through education and the role of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create the effect. In addition, as a dance education and training that is valued by how much, rather than simply a liberal education to lifelong learning society should establish the foundation is considered.

      • KCI등재
      • EAI의 C.M의 Ledger File을 통한 데이터 전달보증 처리에 관한 연구

        승용 ( Seung Yong Ch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2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 전사적 애플리케이션 통합)는 기업간 또는 기업 내부의 다양하고 이질적인 시스템과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비즈니스 프로세서를 통합 하는것[1]이며,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데이타 처리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인 수신측 장애시 데이터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C.M(Certificate Message)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Ledger File에 Confirm 되지않은 메시지를 보관하여 수신측의 장애 이거나 네트워크 장애에도 Data 손실을 방지하는, Review Ledger File 방식을 적용한 C API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증명함 으로써 수신측 상태가 정상적으로 된 경우에 송신측의 Ledger File 다시 읽어서 재송신하여 그 어떤 장애 상황에도 Data 손실됨을 방지하여 실시간 트랜잭션의 처리에 획기적인 방법을 제시하였고, 기존 EAI 시스템 개발시에 문제점으로 대두된 표준화된 개발 방법이 부재하여 개발 및 유지보수에 많은 비용이 발생한 것에 대하여 본 논문은 표준화 방법을 통하여 해결책을 제시하였고, 또한 Ledger File 및 데이타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을 Cobol API 프로그램을 통하여 구현하여 실시간 장애 모니터링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앞으로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논의한다.

      • KCI등재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내/외) 화장실의 외부선량률

        조용귀(Yong Gwi Cho),안성민(Seong Min An)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6 방사선기술과학 Vol.39 No.2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 내/외 화장실 표면 방사선량률과 공간 방사선량률을 측정하여 화장실을 이용하는 환자 이외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환자보호자 등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방사선 방어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시 하고자 한다. 2014년 5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인천광역시 소재 종합병원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 내/외 화장실 4곳의 공간 방사선량률과 작업 전/후 표면 방사선량률을 각각 측정하였다. 의료기관별 방사성동위원소 사용시설 내 화장실 이용 실태조사 결과 환자뿐만 아니라 환자 보호자, 일부 방사선 작업종사자까지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었다. 화장실 내 공간 방사선량률 측정 결과 핵의학적 검사 중 감마촬영실을 이용하는 화장실의 누적 공간선량률은 8.86 mSv/hr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방사성옥소 치료실 화장실은 7.31 mSv/hr, PET촬영실 화장실 2.29 mSv/hr, 외래 진료과 화장실 0.26 mSv/hr 으로 각각 측정되었다. 방사성동위원소 작업 전/후 화장실 내 표면 방사선량률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 환자 배설물이 직접 닫는 변기 앞에서 표면 방사선량률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화장실 내 중앙, 입구 순으로 측정되었다. 개봉선원은 물리적 반감기가 짧고 에너지가 낮아 비교적 안전하여 방사선 관리구역에서 안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저에너지 이며 짧은 반감기의 방사선원이라 하더라도 환자에게 투여되면 그 이후 환자는 움직이는 방사선원이 되며 환자가 이용하는 장소는 배설물에 의한 방사선 오염 장소가 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유효선량을 최소화하고 불필요한 피폭선량을 줄이기 위해 방사성동위원소 투여 후 충분한 수분 섭취를 독려하여 생물학적 반감기를 낮추고, 물리적 반감기가 허용 선량이하로 될 때까지 주변인은 환자로부터 가급적 멀리 떨어져 생활하도록 권고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herefore aimed at measuring the surface dose rate and the spatial dose rate in and outside the radionuclide facility in order to ensure safety of the patients, radiation workers and family care-givers in their use of such equipment and to provide a basic framework for further research on radiation protection. The study was conducted at 4 restrooms in and outside the radionuclide facility of a general hospital in Incheon between May 1 and July 31, 2014. During the study period, the spatial contamination dose rate and the surface contamination dose rate before and after radiation use were measured at the 4 places− thyroid therapy room, PET center, gamma camera room, and outpatient department. According to the restroom use survey by hospitals, restrooms in the radionuclide facility were used not only by patients but also by family care-givers and some of radiation workers. The highest cumulative spatial radiation dose rate was 8.86 mSv/hr at camera room restroom, followed by 7.31 mSv/hr at radioactive iodine therapy room restroom, 2.29 mSv/hr at PET center restroom, and 0.26 mSv/hr at outpatient department restroom, respectively. The surface radiation dose rate measured before and after radiation use was the highest at toilets, which are in direct contact with patient's excretion, followed by the center and the entrance of restrooms. Unsealed radioactive sources used in nuclear medicine are relatively safe due to short half lives and low energy. A patient who received those radioactive sources, however, may become a mobile radioactive source and contaminate areas the patient contacts−camera room, sedation room, and restroom−through secretion and excretion. Therefore, patients administered radionuclides should be advised to drink sufficient amounts of water to efficiently minimize radiation exposure to others by reducing the biological half-life, and members of the public−family care-givers, pregnant women, and children−be as far away from the patients until the dose remains below the permitted dose limit.

      • KCI등재

        뇌수술 환자의 심부정맥혈전증 예방과 피부반응에 미치는 실험연구

        무용(Moo-Yong Cho),김분한(Boon-Han Kim),김기숙(Ki-Sook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7 No.5

        본 연구는 뇌수술 후 부동 환자에게 부츠형 또는 무릎형 간헐적 공기 압박기 적용 후 심부정맥 혈전증 예방과 피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2015년 5월 부터 11월 까지 뇌수술 후 외과계 중환자실에 입실한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심부정맥 혈전증 평가는 7일 동안 대퇴정맥 혈류속도의 변화를 매일 측정하였고 피부 반응 정도도 매일 규칙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부츠형 간헐적 공기 압박기 적용군이 무릎형 간헐적 공기압박기 적용군보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퇴정맥 혈류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즉, 7일 동안 측정한 평균 대퇴정맥 혈류속도는 시간경과 에 따른 측정시기 오른쪽(F=64.41, p <.001), 왼쪽(F=58.21, p <.001)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두 군 간의 발등 둘레는 측정시기와 집단 간의 상호작용에서 오른쪽(F=9.13, p <.001), 왼쪽(F=9.29,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를 보였다. 또한 부츠형 간혈적 공기 압박기 적용군은 피부 합병증도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뇌수술 후 부동환자 에게 부츠형 간헐적 공기 압박기 적용이 심부정맥 혈전증을 예방하는데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prevention of deep vein thrombosis and skin response after the application of boots or calf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IPC) devices in immobile patients with intracranial surgery.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60 patients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after receiving intracranial surgery from May to November in 2015. The blood flow velocity was measured daily to assess the deep vein thrombosis for 7 days, and the skin response of the legs was observed regularly. As a result, the boots IPC group showed an increased blood flow velocity over time compared to the calf IPC group.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both the boots IPC group and calf IPC group over time (Right side; F=64.41, p<.001, Left side; F=58.21, p<.001). The dorsum circumference over time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wo groups (Right side; F=9.13, p <.001, left side; F=9.29, p<.001)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he boots IPC group showed no skin complications. In conclusion, the boots type IPC i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preventing deep vein thrombosis for immobile patients with intracranial surgery.

      • KCI등재후보

        의식의 매개로서의 음과 색채-모던 신지학의 이론을 중심으로

        관용 ( Kwan Yong C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0 예술과 미디어 Vol.9 No.2

        이 논문은 모던 신지학에서 정신적인 실체로서 이 해하는 음과 색채에 대한 연구이다. 음과 색채는 모던 신지학에서 물질 대상의 형태를 띤 정신적인 실 체들로서 인간과 자연의 실체들 간의 의식을 매개 한다. 음과 색채는 수를 토대로 하여 정신과 물질이 하나인 공간에서 인간과 자연의 모든 실체들을 분 화시킨 것이다. 인간과 자연의 모든 것들은 정신과 물질이 하나인 실체로부터 음과 색채로 인해 생성 되어 나온 실체들이기에 음과 색채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모든 실체들을 이어주는 정신적인 매개체가 된다. 인간의 의식은 애니 베산트와 리드비터에 의하면 진동을 통해 음과 색채에 토대를 둔 반의식체인 엘 리멘타리들을 일깨우고, 엘리멘타리들은 다른 사람 들과 자연의 존재들에게 그 의식을 전달한다. 인간 이 사유를 통해 음과 색채를 지닌 자연의 의식체들 을 일깨울 수 있는 것은 인간이 정신과 물질로 이루어진 이분법적인 실체가 아니라 7개의 의식체로 구성된 실체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7개의 의식체로 구성된 실체로서 아래로는 자연의 존재들과 연결되어 있으며, 위로는 인간과 자연을 생성시킨 7개의 행성로고스들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인간과 자연의 존재들 모두 7개의 행성로고스들 에 의해 생성된 의식체들이며, 7개의 행성로고스들 은 또한 태양계의 로고스들에 의해 생성된 것이다. 7개의 행성로고스는 인간과 자연의 실체들을 이루 고 있는 물질원자들의 7개의 스파릴래들과 각각 연 결되어 있으며, 그 물질원자들은 또한 태양 로고스 들의 에너지를 통해 그 힘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 다. 다시 말해 인간은 자연의 의식체들과 연결된 존 재이며, 또한 7개의 행성로고스와 태양로고스와 연결된 의식체이다. 음과 색채는 모던 신지학에서 인간과 자연의 모 든 실체들에 토대를 이루고 있는 정신적인 실체들로서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모든 실체들을 이 어주는 매개체가 된다. 인간의 의식에 따른 음과 색 채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인간과 자연의 존재 들과의 잃어버린 고리를 찾는 하나의 통로가 되며, 예술의 기초 원리를 깨닫는 하나의 열쇠가 될 것이 다. This essay is to study of modern theosophy we think sounds and colors of spiritual substance. Sounds and colors are in features of material objects at the same time as mind. They can be intermediate the consciou-sness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appeared in numbers that are symbolized of every differentiation from the space where matter and mind are unified. Human can thus be a substantial relation between human and human, or human to nature. Sounds and Colors are also simultaneously a spiritual and material intermediary because they are one of the components of human and universe. According to A. Besant and C.Leadbeater, human`s consciousness is able to awake subconsciousness`s elementary by mean of vibration rooted in sounds and colors. This elementary plays a role of delivering the consciousness to others existences. Human is not dualistic substantial divided into mind and matter but it rather has substantial and resemble structures along with structure of universe which is as natural and vital existence such as seven logos in terms of ontology. Every seven logos partly indicates every consciousness of the celestial sphere and then only logos of cosmos that is also related atoms of matters of seven ``sparill -aes``. This atomic matter maintains power, as received whole energy from the logos of the sun. Sounds and colors are in ontological existences from human and nature but they are some material substantial when sounds and colors are based on as one of universal elementary. It can be the key that we can find out the principle elementary of the arts because human creates the arts as universal existence following the principle of cosm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