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경시설 물놀이에 따른 대장균 감염의 위해도 분석

        조영근,Zo, Young-Gun 한국환경보건학회 2012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38 No.1

        Objectives: With the goal of quantifying the risk of children contracting gastroenteritis while playing at interactive waterscape facilities and evaluating the adequacy of current water quality regulations, risk assessment was performed with Escherichia coli as pathogen. Methods: Abundances of E. coli in the waters of interactive water features in South Korea were acquired from survey reports. A gamma distribution describing the volume of water swallowed by children during swimming activities was adopted. Exposure rate and risk were calculated by Monte Carlo simulation and dose-response models for various pathogenic E. coli. Results: E. coli was detected in 25 out of 40 facilities, with range of ~1,600 CFU/100 ml. The abundance fitted an exponential distribution. Simulated exposures ranged ${\sim}1.9{\times}10^{10}$ CFU, varying greater along E. coli abundance than the volume of water. Risk of children being infected by enterohemorrhagic E. coli was high, with range of ~0.85. When E. coli abundance was <200 CFU/100 ml, which is the current government threshold, the risk decreased to <0.43. Although the guideline successfully reduced the risk of adults being infected by a less virulent E. coli strains (<0.03), the risk for children could not be quantified due to lack of dose-response models for those pathogens for children. Conclusions: Under the current guideline, children are at risk of being infected if water is contaminated with by enterohemorrhagic E. coli. For other E. coli strains, the risk appears to be considerably less. The result warrants need for developing dose-response models for children for each pathogenic E. coli strain.

      • KCI등재

        Underwater Image Dehazing via Unpaired Image-to-image Translation

        조영근,Hyesu Jang,Ramavtar Malav,Gaurav Pandey,김아영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18 No.3

        Underwater imaging has long been focused on dehazing and color correction to address severe degradation in the water medium. In this paper, we propose a learning-based image restoration method that uses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GAN). For network generality and learning flexibility, we constituted unpaired image translation frameworks into image restoration. The proposed method utilizes multiple cyclic consistency losses that capture image characteristics and details of underwater images. To prepare unpaired images of clean and degraded scenes, we collected images from Flickr and filtered out false images using image characteristics. For validation, we extensively evaluated the proposed network on simulated and real underwater hazy images. Also, we tested our method on conventional computer vision algorithms, such as the level of edges and feature matching results.

      • KCI등재

        대학 구내 시설물과 급식소 집기의 접촉에 의한 미생물학적 위해성의 정량비교

        조영근,Zo, Young-Gun 한국미생물학회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1

        대학 구내 학습시설과 집기들은 다중에 의해 이용되기 때문에 그 표면들은 감염성 병원체의 교차감염의 경로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구내 집단급식소 등의 주요 위생관리 시설과 달리 정기적 위생관리의 대상이 아니며, 위생상태 현황이 잘 파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한 대학 단과대학 1,500여 명의 학생들이 강의실, 도서관 등 학습시설을 이용하면서 병원체에 노출될 수 있는 미생물학적 위해도를 구내급식소에서 집기 접촉을 통해 위해도와 정량적으로 비교하였다. 총대장균군을 병원성의 미생물의 대리모델로 간주하고,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대학구내 집기별로, 표면의 세균농도에 접촉률, 전이율 등을 적용한 노출알고리즘을 설정하여 결정론적 방법에 의한 노출량을 산정하였다. 급식소 집기의 세균에 대한 노출량은 약 1.0 CFU/day이었으며, 학습시설의 세균에 대한 노출량은 0.5 CFU/day로 급식소에서 노출량의 절반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개인별 급식소 이용 정도가 달라, 약 70%의 학생들은 급식시설보다 학습시설의 인체접촉면에서 교차감염에 더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승강기버턴을 비롯한 일부 학습 시설의 인체접촉면은 급식소와 마찬가지로 주기적 위생관리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학생들의 개인위생 관리 이외에, 계절적으로 변동하는 교차감염 가능 병원체의 종류에 부합하도록 인체접촉면 위생관리를 효율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권고된다. As facilities and equipments for learning activities in college campuses are handled by mass public, their contact surfaces may function as major routes of cross-infection of microbial pathogens. However, unlike items in cafeteria which is the typical target for campus hygiene, those surfaces are not under regular surveillance or sanitary maintenance. In this study, I made a quantitative comparison of the risk of being exposed to microbial pathogens from use of learning facilities such as classrooms and library to the risk from use of cafeteria, for about 1,500 students in a college. Regarding total coliforms as surrogate model of bacterial pathogens, exposure rates were estimated for each item in learning facilities and cafeterias by devising deterministic exposure algorithms based on bacterial abundance, contract rates and transfer rates. The exposure rate in cafeterias was 1.0 CFU/day while learning facilities imposed the rate of 0.5 CFU/day, which reaches a half of the exposure rate in cafeterias. However, 70% of students were exposed more in learning facilities than cafeteria because individuals had different frequencies in using cafeteria. Based on the results, some human-contact surfaces of learning facilities, including elevator buttons, may require regular sanitary maintenance. An efficient sanitary maintenance considering seasonality in diversity of pathogens involved with cross-infections is suggested besides improvement of personal hygiene among students.

      • KCI등재

        Characterization of Phylogenetic Incongruence among Protein Coding Genes of Vibrio Strains Pathogenic to Humans

        조영근,Zo, Young-Gun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3 미생물학회지 Vol.49 No.4

        Vibrio cholerae균은 자연적으로 외부 유전자를 받아들이는 능력이 있으므로, 종간 수평적 유전자 전달 작용(LGT)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3종의 비브리오균 사이에서 일어나는 LGT 현상의 정량적 측면들을 분석하였다. V. cholerae N16961, V. parahaemolyticus RIMD2210633, V. vulnificus CMCP6, Escherichia coli K12 substrain MG1655의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4개의 유전체에 모두 존재하는 단백질 발현 유전자들의 4개 일조를 결정하였다. 각 조의 4개 유전자의 계통수를 작성하는 분석을 통하여, 다른 조들 간의 계통성의 일치성과 불일치성을 결정하고, 수직적 계통성과 수평적 계통성을 구분하였다. 약 70%의 조에서 계통수가 확정될 수 있었으며, 그 중 75%는 서로 일치하는 계통성을 보였고, 25%는 LGT 계통수를 보였다. 이 결과에 따르면, 비브리오균의 LGT는 다른 세균 분류균의 속보다는 과단위에서 발생하는 빈도의 LGT계통수를 보였다. 염색체별로 관찰하였을 때, 유전자 제공자별로 LGT가 집중되는 현상이 일부 관찰되었고, V. cholerae 균주의 작은 염색체에서는 염색체의 약 절반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제공자별 LGT 위치들이 집중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런 결과는 유전자 제공자에 따라 선택성이 반복적으로 작용하거나, 대규모의 LGT가 있다는 가설을 수립하게 하였으며, 유전자 제공자별로 LGT 유전형질이 선택성을 띄게 되는 원인과 그 현상이 비브리오균의 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Lateral gene transfer (LGT) of genes from other bacteria into Vibrio cholerae is expectable because of the pronounced natural competence of the bacterium. In this study, quantitative aspects of LGT among the three species of Vibrio pathogenic to humans were characterized. Genome sequences of V. cholerae N16961, V. parahaemolyticus RIMD2210633, V. vulnificus CMCP6, and Escherichia coli K12 substrain MG1655 were analyzed to determine orthologous quartets of protein coding genes present in all four genomes. Phylogenetic analyses on the quartets were conducted to resolve vertical versus lateral patterns of gene polymorphisms based on congruence versus incongruence of phylogenetic trees. About 70% of the quartets could be resolved as either cohesive topology (75%) or LGT tree topologies (25%). The amount of LGT genes in Vibrio spp. appeared to be abnormally high for a genus and comparable to those of families. Patched distributions of LGT from different donors were observed on a chromosome. In the small chromosome of V. cholerae, physical linkages among LGT loci spanned half the length of the chromosome. Either accumulative selection for the donor alleles in LGT or presence of large-scale LGT events was hypothesized. These findings warrant further studies on the nature of donor-specificity of LGT alleles and its influence on evolution of Vibrio virulence to humans.

      • KCI등재

        철근 공사에 있어서 철근 가공 표준화

        조영근,정상화,Cho, Young-Keun,Jung, Sang-Hwa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0 No.6

        최근 국내 건설업은 기능인력의 부족, 건설경기의 침체 등으로 인하여 원가절감 등을 통한 수익성 확보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철근공사는 구조물의 안전성과 내구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원가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한 공사임에도 불구하고, 노동 집약적인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철근 자재의 손실에 따른 원가 상승의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철근공장 가공은 철근의 절단 및 절곡작업을 자동화 시설을 갖춘 공장에서 실시하여 현장에 반입하는 것으로 가공된 철근의 품질이 우수하고, 철근 자재의 손실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대효과에도 불구하고 철근 공장가공 방식은 1990년대 중반에 국내에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활성화되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 가공 공장에 대한 실태조사를 수행하고, 그 조사결과를 토대로 철근공장가공 정착을 위한 방안으로 철근 가공 표준을 제안하였다. Due to a shortage of professional labor and the stagnant construction industry in recent day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securing profitability through cost reduction. Though its importance in the cost and its great influence on the safety and durability of structures, the labor intensiveness of rebar work has caused a serious problem of rising cost accompanied by the loss of rebar materials. In the plant manufacturing process, rebar is cut and bent at the automated facilities and conveyed to the construction site, which makes it possible to manufacture higher-quality bars and to reduce the losses from rebar materials. Different from the expectation, however, this type of plant manufacturing still has not been active since its first introduction in 1990s. In this study, a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rebar manufacturing plant has been implemented and a standardized rebar manufacturing has been provided as a way to activate rebar manufactu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