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주·야간 원형교차로 사고모형

        조아해,김태양,박병호 한국도로학회 2017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9 No.5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odels of accidents occurring at circular intersections related to the time of day and night and driver gender, and to provide countermeasures for safer circular intersections. METHODS: Seventy intersections built before 2008 were surveyed for inclusion in the modeling. Traffic accident data from 2008 to 2014 were collected from the TAAS data set of the Road Traffic Authority. Sixteen variables explaining the accidents including geometry and traffic volume were selected from the literature and seven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were developed using SPSS 20.0. RESULTS: First, the null hypotheses, that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s are not related to driver gender or time of day, were rejected at a 5% level of significance. Second, seven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ident models with R2 value of 0.643-0.890 were developed. Third, in daytime models by gender, when the right-turn-only lane was selected as the common variable, the number of lanes, presence of driveways and speed humps, diagrammatic exit destination sign, and total entering traffic volume were evaluated as specific variables. Finally, in nighttime models by gender, when the diagrammatic exit destination sign was selected as the common variable, total entering traffic volume, presence of right-turnonly lanes, number of circulatory road way lanes, and presence of splitter islands and driveways were identified as specific variables.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seven accident models and analyzed the common and specific variables by time of day and gender. The results suggest approaches to providing countermeasures for safer circular intersections.

      • KCI등재

        서울 도심 복합 상업 건축물 공개공지 공간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조아해,주범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9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8

        Today, Seoul City has grown rapidly as it enters the era of 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rough continuous legal improvements, the number and area of public open spaces in Seoul have increased dramatically. However, such public open spaces were either used as parking lots or designed as a self-contained space, resulting in poor utilization or poor management. Public open spaces that must be created for the role of resting place in the urban environment are insufficient. Public open spaces must satisfy both public and private interests. So,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how to improve and utilize the problems for public open space.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are more like buildings for private than public. Public open spaces for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should be a medium space that can interact with each other. Public open spaces of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are not only a place to open for the public good, but a facility where collectivity, eventability, and usability are important. As the importance of the exterior space planning of complex commercial buildings increas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use of public space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each period and to study the use of space for qualitatively improved public spaces.

      • 특수 소형 회전교차로에서의 지체분석

        조아해,박병호 한국도로학회 2016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6 No.06

        일반적으로 회전교차로의 유형은 기본유형과 특수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특수유형의 회전교차로는 설치형태에 따라 초소형 회전교차로, 평면형 회전교차로, 입체형 회전교차로로 구분한다.(ʻ회전교차로 설 계지침ʼ(국토교통부,2014), ʻ도로용량편람ʼ(국토해양부,2013)) 또한 행정안전부에서는 생활도로형 회전교 차로를 1차로형 회전교차로와 2차로형 회전교차로의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생활도로형 회전교차 로란 현재까지 회전교차로로 관련된 연구를 검토해보면 주로 기본유형에 관련된 분석이 많았다. 일부 소 형 회전교차로, 생활형 회전교차로 관련 연구들도 있지만 기본유형에 해당하는 회전교차로에 대한 분석에 비해 적은 수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국내에서도 최근 교통 정온화 사업이 확산됨에 따라 기존 대 형차량의 통행이 적은 주거지역의 진입로를 회전교차로로 전환시켜 지역주민들의 안전성 확보 및 미관 향 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거두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교통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VISSIM을 이용하여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에서의 교 통량별 평균지체를 분석하였다. 교차로의 유형은 행정안전부에서 제시한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의 설계 기준에 따라 1차로형과 2차로형으로 나누어 지체를 분석하였고 회전교차로가 아닌 비신호의 3지와 4지 교차로와 지체도를 비교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진입 교통량은 4지교차로에서는 시간당 100대~1000대 까지 100대씩 증가시켜 분석하였고, 3지교차로는 120대~900대까지 90대씩 증가시켜 총 60개의 시나리 오가 분석하였다.(10×6) 분석결과는 기존 운영되던 비신호 교차로보다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에서 평균 지체의 감소효과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는 특수유형의 회전교차로 중에서 특수유형 회전교차로 중에서도 생활도로형 회전교차로의 지 체를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이는 대형차량의 통행이 적은 이면도로나 주거지역의 진입로에 회전교차로 설 치하는데 적합한 기준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나아가 다양한 유형의 회전교차로 설치 증대에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VISSIM을 활용한 소규모 회전교차로의 지체 분석

        조아해,박병호,CHO, Ah Hae,PARK, Byung Ho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지 Vol.35 No.5

        이 연구는 소규모 회전교차로를 다루고 있다. 이 연구는 회전교차로의 평균지체를 분석하고 효율적인 계획 및 설계기준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내접원 지름, 회전차로의 속도 및 진입교통량에 따른 평균지체 분석에 중점을 두고있다. 96개($3{\times}4{\times}8$) 시나리오의 운영효율이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 VISSIM (Verkehr In $St{\ddot{a}}dten$-SIMulationsmodell)을 사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소규모 회전교차로의 적정 설계속도가 도출되었다. 둘째, 서비스 수준 D에 도달하는 진입교통량은 2,180-2,740pcph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분석 회전교차로에서 혼잡수준 F로 개선이 요구되는 교통량은 2,780pcph 이상으로 평가되었다. 연구 결과는 효율적인 회전교차로 운영을 위한 대응조치를 제공하는 데 몇 가지 함의를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small-scale roundabo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verage delay of vehicle in roundabout, and suggest the efficient planning and design standard. In pursuing the above, this study gives particular attentions to analyzing the average delay time according to the inscribed circle diameter, speed of circulatory roadway lane and traffic volume. The operational efficiencies of 96 scenarios (3 sizes of inscribed circle diameter ${\times}$ 4 types of circulatory roadway speed ${\times}$ traffic volume) are analyzed using VISSIM (Verkehr In $St{\ddot{a}}dten$-SIMulationsmodel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ptimal design speed of small-scale roundabout are derived from the above scenario analysis. Second, the traffic volume of LOS D is estimated to be 2,180-2,740pcph. Third, the traffic volume of LOS F that is required to improve is above 2.780pcph. The results might be expected to give some implications to providing the countermeasures for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roundabout.

      • KCI등재

        교통부문 디지털 격차 현황 분석

        조아해,서지훈,조정우,김성훈,김영호 한국ITS학회 202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2 No.4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사회 전반적인 분야에서 대부분의 서비스가 비대면/무인화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는 요인 분석에 그치고 있으며, 특히교통분야에서의 디지털 격차와 관련된 연구는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은 설문조사를기반으로 교통부문에서의 디지털 격차의 현황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첫째, 전국 성인남녀를대상으로 디지털 기기 이용현황을 조사하여 연령, 학력, 소득 등으로 구분하여 디지털 취약계층을 선정하였다. 둘째, Chi-squared Text를 활용하여 디지털 취약계층과 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교통부문 모바일 앱 이용현황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모바일 앱의 인지도와 선호도에서 취약계층이 비 취약계층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 횟수에서도 유의한 수준으로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통부문 모바일 앱 능숙도를 비교하였다. 마찬가지로 취약계층이 비취약계층에 비해 모바일 앱 이용 절차 전반에서 능숙도가 유의한 수준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가 향후 교통부문에서의 디지털 격차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성별에 따른 주·야간 회전교차로 사고모형

        조아해,박병호 대한교통학회 201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76 No.-

        회전교차로는 기존 신호, 비신호 교차로와 운영방법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회전교차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는 성별에 따라, 시간대에 따라 다양한 원인이 작용한다. 또한 여성과 남성은 공간을 인지하는 정도와 사고에 영향을 받는 요인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성별에 따른 사고모형 연구는 반드시 진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성별에 따라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주·야간의 시간대로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종속변수는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제공하는 2008년부터 2014년까지의 교통사고 2,047건이며 독립변수는 기하구조 및 환경요인을 포함한 16개의 요인이다. 분석프로그램 SPSS.24를 이용하여 다중선형회귀모형을 개발한 결과 모형의 보정 값은 0.643~0.890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4개의 모형이 개발되었다.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간에 발생한 남성 사고모형의 경우, 우회전 전용차로, 회전차로수, 진출입도로, 방향안내표지판이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채택되었다. 여성 사고모형의 경우, 유입교통량, 감속시설, 우회전 전용차로폭, 우회전 전용차로가 독립변수로 채택되었다. 둘째, 야간에 발생한 남성 사고모형의 경우, 유입교통량, 차로분리섬, 방향안내표지판이 교통사고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채택되었으며, 여성 사고모형의 경우, 우회전전용차로의 유무, 우회전전용차로폭, 회전차로수, 진출입도로, 방향안내표지판이 독립변수로 채택되었다. 이 연구는 향후 보다 안전한 회전교차로 운영 대책을 수립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매미나방(Lymantria dispar )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조아해,김효정,이진희,김지인 한국응용곤충학회 202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2 No.4

        매미나방(Lymantria dispar)은 나비목(Lepidoptera) 독나방과(Lymantriidae)에 속하는 해충으로 매미나방은 한국, 일본, 시베리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하며, 주로 배나무, 사과나무, 블루베리 등의 식물을 가해하는 광식성 해충이다. 매미나방은 수목해충으로 관리되어 왔으나 최근 산림 발생지 인접 농경지로 유입 빈도가 높아지면서 방제 대책이 수립되지 않은 농작물에 피해가 심하다. 본 연구는 매미나방(L. dispar)의 방제기술의 일환으로 매미나방 발육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21년 전라남도 장흥군 황금측백나무에서 채집한 알집을 이용해 18, 21, 24, 27, 30, 33°C (14L:10D, 상대습도 60±5%) 항온조건에서 온도별,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매미나방 유충의 발육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빨라졌으나, 매미나방 유충의 생존율이 33°C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발육적온은 30°C였으며, 30°C에서 총발육기간은 암컷 43.8일, 수컷 42.5일 소요되었다. 암컷과 수컷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13.1°C, 12.5°C,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641.1 DD, 657.8 DD였다. Gypsy moth (Lymantria dispar), a polyphagous insect pest belonging to the family Lymantriidae,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Japan, Siberia, Europe, and North America. They pose a threat to various host plants including pear trees, apple trees, and blueberries. Traditionally considered a forest pest, the increasing incursion of gypsy moths into agricultural land near forested areas has intensified damage to crops lacking effective control method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emperature-dependent development of gypsy moths to enhance outbreak prediction and advance technology development.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of each life stage were investigated under constant temperature conditions of 18, 21, 24, 27, 30, and 33°C (14L:10D, RH 60±5%) utilizing egg masses collected in Jeollanam-do Jangheung-gun in 2021. The results revealed that higher temperatures accelerated the development rate of the gypsy moth larvae with optimal development occurring at 30°C. However, the survival rate was lowest at 33°C. At the favorable temperature of 30°C, the total development period was 43.8 days for females and 42.5 days for males. The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 were 13.1°C for females and 12.5°C for males, with effective accumulated temperature of 641.1 DD and 657.8 DD,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