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소리 도제집단과 수제자의 역할

        조세훈 판소리학회 2012 판소리연구 Vol.33 No.-

        본 논문은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판소리인들을 중심으로 오늘날 판소리 전승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피고 있다. 판소리 전승은 스승의 가르침과 이를 전승하는 제자집단, 즉 도제집단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승과 도제집단의 상호작용을 중점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다수의 국악인과 판소리인에 대한 심층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도제집단에 대한 스승의 다양한 평가와 구분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이에 따른 도제집단의 계층적 분화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그 중에서도 연구자는 도제집단의 계층화된 서열관계의 가장 상위에 위치하면서 스승과 도제집단을 매개하는 수제자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수제자는 스승의 고유한 예술적 코드를 전승하는 핵심 제자로서 학습과 사회활동에 있어 스승을 가장 측근에서 수발하고, 경우에 따라 스승의 권한을 대행하기도 한다. 또한 도제집단의 리더로서 스승의 부재 시 도제집단을 대표하는 대표자가 되며, 스승의 예술을 전승하고 스승이 만들어 놓은 판소리 관련 단체를 유지 발전시키거나 새롭게 단체를 만들어 스승의 예술적 업적을 기리고 해당 도제집단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수제자를 중심으로 한 도제집단의 이러한 활동들은 스승과의 긴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사제 간 상호작용이 때로는 직접적이기도 하고 때로는 작고 시에 유지를 받드는 형태처럼 간접적이기도 하지만, 두 경우 모두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오늘날 판소리가 전승되는 핵심적인 맥락을 구성하고 있다. Focusing on Pansori singers, this paper discusses the way in which Pansori is transmitted. As Pansori is transmitted through teachers' instruction to pupils' group, the paper emphasizes on interactions between a teacher and his(or her) apprentice group. In order to analyse the interactions, I conducted in-depth research by having an interview with many Korean classical musicians including Pansori performers. Based on the research, this paper argues there exists various student evaluations and the students are differentiated by the evaluations. In addition, it argues the best disciple, who is placed on the top stratum, plays an important role to mediate the teacher and the apprentice group. As an influential figure to transmit the teacher's original art propensity, the best disciple attends the teacher very closely and acts for him in some cases. The best disciple also plays a role to lead the members of the apprentice group, acting as a proxy for the teacher during his absence. The best student has more duties: to transmit the teacher's art propensity, to honor his artistic accomplishment, and to vitalize the apprentice group. An apprentice group's activities like these are fulfilled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disciples and their teacher. This interaction has two kinds. One is direct interaction, and another is direct one. If the teacher has passed away, the interaction is kept indirectly by carrying out the wishes of the deceased. Both of them still persists, and this is a critical context within which Pansori is transmitted today.

      • KCI등재후보

        주요 우울 장애 환자에 대한 비정형 항정신병제 부가 요법과 항우울제 치료 사이의 후향적 자연 관찰 비교 연구

        조세훈,제영묘,장세헌,이경환,백대업,최진혁 대한우울조울병학회 2016 우울조울병 Vol.14 No.2

        Objectives : The effects of ADs usually appear several weeks treatment, and AAP augmentation can advance therapeutic responses in some patients. We performed a naturalistic, retrospective trial to compare early response and remission rates between AD treatment and AAP augmentation in real clinical practice. Methods :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out psychotic features and starting treatment for a new major depressive episode was conducted between January 2011 and July 2011.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17-item (HDRS-17) scores were collected at baseline, 2 weeks and 8±1 weeks after treatment. Response was defined as a ≥50% reduction from baseline HDRS-17 scores; remission was a score of ≤7. Results : Of 82 patients included, 31 were in the AD group and 51 were in the AAP augmentation group. In baseline, AAP augmenta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HDRS-17 total score than AD group. At 2 & 8 week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esponse and remission rate. Conclusion : We could not prove superiority of AAP augmentation to AD treatment in response and remission rates of depression. However, considering higher baseline severity of AAP augmentation group, we can conclude AAP augmentation made a bigger decrease in HDRS-17 total score than AD group during 8-week treatment.

      • 韓國食品中 有毒性 眞菌의 代射産物이 HeLa cell에 미치는 細胞毒性效果에 關한 硏究

        趙世薰 최신의학사 1975 最新醫學 Vol.18 No.2

        The culture filtrates of twenty-four fungal strains isolated from diverse sources in Korean foods-were tested for detection of mycotoxin-producing fungi and toxic effects produced in HeLa cell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Fifteen strains(62.5%) were toxic to HeLa cells. 2. Among these, 4 isolates(16.7%) were shown to be markedly, 5 (20.8%) moderately, 6 (25. 0%) slightly and 9 (37.5%) not toxic to HeLa cells. 3. The effects of the culture filtrates on HeLa cells involved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granulation and clumping, accumulation of mitotic cells, appearance of polynuclear cells and mitotic figures possibly arrested at metaphase. Consequent atypism of HeLa cells was often seen.

      • KCI등재

        판소리 명창의 사회적 공인화 과정에 관한 일 연구

        조세훈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0 No.-

        This paper deals with conceptual approach to a Pansori master. For this, it discusses the social standard and the process through which a Pansori master is socially approved, focused on the present day. Generally, the social standard for a Pansori master is wanchang performance or the President award. However, as the status of wanchang performance came to weaken, the winning of the President award started to be considered the only official standard that people can accept. As a result, the number of the President award rapidly increased and then the additional process of social recognition was needed, so that the President award winners can be judged by more strict criteria. This additional process was made by Pansori expert groups. There are three kinds of expert groups. These are a Pansori performer group, a critic group, and those in art industry. This additional process takes a long time and needs a lot of effort. For this additional process of social recognition by Pansori expert groups, the President award winners make effort to have ties with expert groups and to carry on various activities. The processes of social approval of Pansori master are composed by two processes. One is wining the President award, the other is additional approval process by Pansori expert groups. The processes of social approval of Pansori master is fulfilled by various interactions made in the processes. 본 논문은 판소리 분야에서 명창이라는 말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를 현재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있다. 판소리에서 명창이 되는 기준이 무엇이고 어떻게 변했는지 그리고 현재의 명창으로서 사회적으로 공인받기 위해 어떠한 사회문화적 과정과 기준이 작동하는지를 고찰하고 있다. 기존에는 적당히 판소리 대가들을 명창으로 불러 사람에 따라 누가 명창인지가 크게 다르고 또한 명창에 대한 연구들도 이미 명창으로 불리는 사람의 생애사나 예술적 분석에 치우쳐 있어, 명창이라고 불리게 되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악하는데 부족하다. 조선후기에는 각자의 평가를 이용해 대가를 명창으로 분류했으며, 해방 후에는 완창발표회 그리고 대통령상이 명창의 기준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하지만 근래에 들어와 누구나 완창발표회를 하게 되면서 완창발표회는 명창의 기준에서 사라졌다. 대통령상이 평가과정에 대한 비판은 많지만 공개적인 평가를 거친다는 점과 조선시대 ‘어전광대’로부터 이어진 대통령상의 상징적 가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명창의 기준으로 등장하였다. 대통령상의 가치가 높아지면서 각 대회가 대통령상을 수여하게 됨에 따라 현재에는 대통령상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였다. 대통령상 수상자가 크게 증가하자 대통령상 수상자들 중에서 차별화하는 명창의 추가적 공인 과정이 형성되게 되었다. 추가적 공인과정은 판소리 전문가집단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그 주체는 판소리 실기인 집단, 비평가 집단, 예술산업 관계자들이 핵심을 이룬다. 판소리 실기인 집단은 주요하게 예술성에 대한 평가를 담당하며, 비평가들은 예술적 정통성이나 계보적 가치를 평가하며, 예술산업 관계자들은 상품적 가치를 판단한다. 전문가 집단에 의한 2차적 공인화 과정을 통해 대통령상 수상을 계기로 형식적으로는 명창으로 불리게 된 사람들도 다시 선별되게 되므로 대통령상 수상자들은 각 전문가 집단들과 여러 형태의 관계를 맺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신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기 위해 노력한다. 현재에는 이러한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해 명실상부하게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판소리 명창이 된다.

      • 특허회피설계에 있어서 TRIZ를 사용한 클레임의 기능식 분해분석의 활용에 관한 연구

        조세훈(Sehoon Cho) 대한산업공학회 2021 대한산업공학회지 Vol.47 No.4

        Patents are legally the most desirable safeguard as an intangible asset when a product or service is newly created. Worldwide,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is increasing every year and patent disputes are also increasing. Patent design-around is an important process to fundamentally resolve patent disputes, and it is changing into an essential procedure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s well.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cedure after the analysis of the scope of general legal rights for patent claims in the patent design-around. The procedure and method use the main theory of TRIZ to provide a method for the developer to convert the patent into a technical system and systematically decompose the elements and functions that compose the system. The proposed method guides the developer to attempt various changes to the elements of the claim that have been disassembled using some of TRIZ’s tools. The attempt of patent design-around according to the guide makes it possible to secure new conceptual designs and good patents. The case and results of this study were utilized and verified in the actual work of the company.

      • 한국 식품중의 유독성(有毒性) 진균(眞菌)에 관한 연구 : 6 . HeLa Cell 및 마우스를 이용한 Mycotoxin 분필균주(分泌菌株) 검색 6 . Screening Tests Using HeLa Cells and Mice for Detection of Mycotoxin - Producing Fungi

        고춘명,조세훈,유준,최태주 대한미생물학회 1973 大韓微生物學會誌 Vol.8 No.1

        Twenty culture filtrates among the various isolated strains from foodstuffs were submitted for toxicity sereening using HeLa cells and mice. Fourteen strains (70%) were toxic to both HeLa cells and mice, 17 strains (85%) to HeLa cell alone and 14 strains (70%) to mice alone. As a mass screening this method employed is feasible to detect mycotoxin-producing fungi. In most instances, the results obtained hy HeLa cells were in good parellelism with those obtained by mice.

      • KCI등재

        한국 언론학에서의 문화연구에 대한 메타분석과 일비판

        이영주,조세훈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4 미디어, 젠더 & 문화 Vol.2 No.-

        문화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적 연구들은 연구대상의 규정에 않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분석의 구체적인 기준과 틀이 없이 수행된 인상주의적 비평이나 '암묵적 동의' 형태의 분석의 한계는 자명하다. 메타분석과 비판을 위해서는 분석과 비판의 대상으로 삼아야 할 문화연구논문들에 대한 명확한 설정이 필요하다. 우선 이 연구는 문화연구논문들의 경계 설정의 필요성에 기초해 분석의 기준과 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 문화연구의 대상, 이론, 방법론, 연구구조의 지형을 정토하고, 이들이 노출하고 있는 핵심적인 문제들에 대한 발견과 비판을 수행하고자 한다. 메타분석을 위해 우선 문화연구의 전통과 경계를 설정하려는 이론적 논의들을 정토하고 정리했으며, 이를 기초로 분석대상 논문들을 선택, 분류, 평가할 수 있는 기준과 모델을 구성했다. 분석대상 논문 중 이론적 논문의 경우, 다루고 있는 이론적 주제와 기술(description)의 심층성 정도를 분석했다. 분석적 논문의 경우, 연구대상, 이론적 배경, 방법론, 연구목적, 연구의 구조 항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이 연구는 분석결과들을 토대로 문화연구에서 나타나는 '전도'의 문제를 비판하고 있다. 또 전도적 연구과정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연구의 탈맥락화, '두껍게 기술하기'의 실패, 이론의 사물화와 물신화를 과거의 다른 메타분석과 비평과는 다른 관점 속에서 비판하고 있다. Most of meta analytical criticism on Cultural Studies in mass communication study field have overlooked to define what is the Cultural Studies and what makes difference between Cultural Studies and studies on cultures. As a result, they analyze and criticize cultural studies' papers in the mode of `tolerated agreement' with the lack of certain criteria and analytical frame. This paper suggests, first of all, that there needs to make clear why we should call those papers Cultural Studies. this also tries to analyze researches' subjects or themes, theoretical background, methods, research structure or process and criticize limitations found in these papers. Especially, this paper criticizes `the inversion' dominating researchers and research process. they are criticized not only due to its negative effects but due to their attributes related with the vicious circle in researches. it leads to a decontextualized study, a failure in describing thick on subjects. in addition, a mode of the inversion is based on the reification of theories and the death of rethinking or rewriting given theo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