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당(幾堂) 현상윤(玄相允) 선생(先生) 전집(全集) 출간(出刊) 기념(紀念) 기당(幾堂) 현상윤(玄相允) 선생(先生)의 학문(學問)과 사상(思想) 한국사상사에 있어 불교사상 기술에 관하여 -기당 현상윤의 『조선사상사』를 중심으로-

        조성택 ( Sung Taek Cho ) 한국공자학회 2008 공자학 Vol.15 No.-

        Gidang Hyun Sangyun`s 『Chosun Sasangsa』(A History of Korean Thought) is the first publication o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Although there had intermittently been works published on specific philosophical topics from Korean intellectual history that predate the 『Chosun Sasangsa』that could also be called modern in their approach, the 『Chosun Sasangsa』was the first project that not only dealt with the advent and changes of various schools of thought but also covered their relation to society. In spite of its significance in history of modern understanding, publication of the book was not easy. In 1950, the manuscript was lost while being prepared by the printer. Later, the shattered proof sheets and drafts were found at the publisher`s residence. They were collected and published in the journal Asia Studies(Asea yon`gu) over three volumes from 1960 to 1964. In 1986 an incomplete version was published under the name 『Chosun Sasangsa』 at Minjok Munwhasa Press. The complete version of the 『Chosun Sasangsa』, as a part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Kidang Hyun Sangyun`s Writings, has been finally published in its entirety in a new type with new editorial annotations. Until now, scholars have neither examined the contents of 『Chosun Sasangsa』 nor considered its academic meaning fully. The reasons for this lack of attention are not divorced from the difficulties of its publication. Although conceived and written in 1946, it remained incomplete and unpublished in its real form until 1986. It took more than forty years for the book to be published. Considering the changes in people`s approach to critical thinking and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academic fields, it would have had been difficult to give anything less than monumental meanings to this late-renowned work.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hosun Sasangsa』 on two different aspects: the First is to investigate Gidang`s perspectives on writings o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and the second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his understanding on Buddhist thought as a component of Korean thought.

      • KCI등재

        대학교수 연구업적평가의 문제점

        조성택(Sungtaek Cho) 역사비평사 2013 역사비평 Vol.- No.104

        Evaluating the research performance of university professors involves special expertise and should be different from simply measuring lengths or heights. However, the way professors are evaluated at universities in present-day Korea is no different from the way lengths or weights are measured: scores are given based on the quantity of academic publications. Papers published in English language journals, especially SSCI or A & HCI journals by commercial publishers, are given heavier weight - two to six times (depending on the university) more than paper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Worse still, evaluations are performed by simply totaling up such quantity-based scores. Although qualitative peer review criteria is a factor taken into consideration, it has no real impact on the assessment result. It is common for research institutions in so-called STM fields (Science, Technology and Mathematics) in the US or Europe to apply quantitative indexes based on bibliometrics to assess research performance. Nevertheless, qualitative evaluation is also performed on individual researchers. What is more, when it comes to research performance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quantitative indicators, for example the number of publications, are only used as a form of reference while qualitative evaluation is the major focus. In contrast, Korean universities, especially in regard to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lmost completely depend on quantitative measurements. Many problems related to this have occurred and there is a shared understanding of such problems, but shifting the current quantitative framework to a qualitative one seems to be a remote possibility for the time being. Unfortunately, the current framework is crippling the academic ecosystem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 this regard, this paper first reviews, from a historical and social perspective, why qualitative assessment has not been successfully implemented in universities in Korea. Secondly, foreign faculty evaluation cas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re examined. In conclusion, it is argued that qualitative assessment is essential in order to recover the health of the ecosystem in the various academic fields.

      • KCI등재

        번역과 독창적 사유

        조성택(Cho, Sung-Taek ) 한국불교연구원 2009 불교연구 Vol.31 No.-

        Produced within the framework of a systematic state enterprise with its own translation theories and manuals, Buddhist texts in Classical Chinese have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model cases of translation in terms of readability and accuracy. Concomitantly,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the successful indigenization of the Indian tradition in East Asia was possible primarily through the readable and accurate translations of Indic texts into Classical Chines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Buddhism was, therefore, a result of a series of a long process including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wing to accurate translation, ‘assimilation into local tradition,’ and finally, ‘forming their own unique identity.’ However, upon careful examination of the Buddhist terms in Classical Chinese, we find that this was not always the case. From the lens of modern Buddhist scholarship, where research is often carried out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Buddhist texts such as Sanskrit, Pali, Classical Chinese, and Tibetan texts, we find that some of the Indic Buddhist terms are inadequately and erroneously translated into Classical Chinese. This paper argues that accurate translations were not essential nor a prerequisite condition for the successful formation of an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Rather East Asian Buddhism, in a sense, began from misunderstanding generated by inaccurate translation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for making East Asian Buddhism unique, as we will see, was due to the continuing circulation of texts in translation, accurate or not, without referring to the original Indic texts. Moreover, this is a remarkable inspiration to Humanities in Korea, where scholars tend to refer to original texts--not to Korean translations--in scholarly discussions and for teaching at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s. 일반적으로 동아시아불교의 형성에 관하여 역사학자들은 일련의 과정을 암묵적으로 전제하고 있다. 이질적 문화인 인도불교에 대한 이해와 수용으로부터 시작하여, 동화와 융합의 과정을 거쳐 철저한 ‘자기화’의 완성이라는 문명교류의 일반적 과정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아시아불교의 정체성에 관해 일반적으로 동의하고 있는 ‘일련의 과정’을 좀 더 비판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번역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동아시아 불교는 이해가 아닌 ‘오해’에서 출발한다. 한역 경전은 정확한 의미의 전달이라고 하는 번역의 일차적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동아시아불교란 단순히 인도불교에 대한 ‘동아시아적 이해와 변용’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곧 한문불교이며 전적으로 번역경전에만 의존하여 형성된 불교이다. 동아시아불교의 특징을 담고 있는 천태, 화엄 그리고 그 정점에 있는 선불교 등은 철저하게 한역경전만을 통해 형성되고, 한문불교 체계 내에서만 그 의미구조가 이해되는 불교인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성택(Cho, Sung Taek)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3 사회과학연구 Vol.20 No.3

        심리적 자본은 기존의 자본개념인 사회적 자본, 경제적 자본, 인적자본과는 다른 자본개념으로서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행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심리적 자본에 관한 기존 연구들에서는 민간조직 구성원들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이 연구는 공공조직 중에서도 경찰조직구성원인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서 심리적 자본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심리적 자본 내 하위요인인 자기 효능감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었고, 탄력성은 조직몰입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의 자기 효능감과 탄력성과 같은 심리적 자본 요인들에 관심을 경주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경찰공무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서 심리적 자본 요소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에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방안과 조직적 차원에서의 인사 및 조직관리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Psychological Capital is different than social capital, economic capital, human capital as a concept, and It’s important to effect on the organization"s positive attitude and behavior. In previous studies, psychological capital has been studied mainly members of private organizations. This study is to effect on Psychological Capital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bout Police Officers in Korea. As a result, self-efficacy,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Capital, turned out to effect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resilience,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Capital, turned out to effect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 part. So, It’s important that self-efficacy and resilience as sub-variable of Psychological Capital in police officers are studied in a field of study as police science. This study result showed main proposal on individual method and organizational method for improving on Psychological Capital of police officers in Korea.

      • KCI등재

        글로벌 아웃소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조성택 ( Cho Sung-taek ) 국제지역학회 2017 국제지역연구 Vol.21 No.4

        국제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 GVC)구조가 심화되면서 중간재 무역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글로벌 아웃소싱의 확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최근까지 이어져왔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14년까지 10개년 간 21개 제조업 부문을 대상으로 글로벌 아웃소싱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환경변수는 업종별 이산화탄소집약도를 사용하였고 글로벌 아웃소싱은 Feenstra and Hanson(1999)과 Amiti and Wei(2006)가 제안한 글로벌 아웃소싱 계측방법을 사용하였다. 글로벌 아웃소싱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환경변화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Copeland and Taylor(1994)의 이론을 기반으로 통제하였고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스템 GMM 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산업을 대상으로 분석했을 때 글로벌 아웃소싱의 확대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식별할 수 없었다. 오염집약산업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중국과 아시아 개도국의 아웃소싱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글로벌 아웃소싱의 확대가 국내 오염수준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 Global value chain(GVC) is deepening, the importance of intermediated good trade is growing in international trade issues. Such facts lead to much discussions about the relation between Global Outsourcing and pollution.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Global outsourcing on Environment using the data including 21 industries for 2004-14. CO<sub>2</sub> intensity is used as a proxy for the environment variable and to measure Global outsourcing and I employed the method suggested by Feenstra and Hanson(1999), Amiti and Wei(2006). To examine the effect Global outsourcing on the Environment more precisely, this paper controlled the factors that can affect the environment level on the basis of the theory suggested by Copeland and Taylor(1994). In the methodology, System GMM is employed to solve endogenous problem. The results show that for overall industries, Global outsourcing effect cannot be identified and for polluting industries, the result is identical. However, Global outsourcing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pollution level for China and developing countries. In other words, as Global outsourcing is increasing, the national pollution level is decreasing.

      • 정부 R&D 투자 효율화 방안 연구

        조성택(Sung-Taek Cho)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2016 미래성장연구 Vol.2 No.1

        한국의 연구개발투자는 선진국에 비해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연구개발투자의 중요성에 비추어볼 때 이러한 연구개발투자의 확대는 바람직한 현상이지만 양적 투자와 함께 투자 대비 효율성 확보 또한 고려해야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인 효율성 평가 기법을 통해 연구개발 효율성을 평가하고 합리적 자원 배분과 성과 창출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 단계로 자료포락분석(DEA)과 확률변경분석(SFA)을 통해 16개 시도에 대한 지역효율성을 평가하였고 벤치마크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개발에 투입되는 자원이 얼마나 과다 투입되었는지와 얼마나 더 생산이 가능한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두번째로 현재 시행중인 사업 중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중요도가 높은 사업 6개를 선별하여 같은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개발사업의 지역적 편차가 뚜렷 하게 나타났으며 사업별 효율성 또한 지역적 특성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역별 자원 배분에 있어서 재평가가 필요하며 관련정책의 보완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his paper proposed several alternatives for an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and a great performance in governmental R&D. To do so, we attempted an analysis in the following ways. The first step is to assess regional R&D efficiency including 16 provinces in Korea through DEA and SFA. Additionally, benchmark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o how much resources were allocated to R&D program excessively and how much more output is produced. Second step is to perform the same analysis on the 6 selected R&D program that is under way. From our results, this study suggest that ongoing projects are needed to reassess resources allocation and to be complemented by related policy.

      • KCI등재

        AI 기반 원자재가격예측정보서비스 도입이 기업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조성택(Sungtaek Cho),이우준(WooJun Lee)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소 2020 미래성장연구 Vol.6 No.1

        본 논문은 AI기반 원자재가격예측시스템을 이용하기 시작한 2000년부터 2016년까지 28,282개 기업을 대상으로 AI기반 원자재가격예측시스템사용이 기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예측서비스를 이용한 기업은 50개이며 그렇지 않은 기업은 28,232개로서 처리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OLS, 임의효과 모델을 통해 추정하였고 자료의 특성상 고정효과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Chamberlain 추정방법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AI기반 원자재가격예측시스템을 이용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모수적 추정과 함께 추가적으로 비모수적 추정방법인 성향점수일치 추정방법을 통해 두 집단간의 생산성 차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도 모수적 추정결과와 마찬가지로 AI기반 원자재가격예측시스템을 이용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에 비해 생산성이 1.8%~2.4% 더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AI based price prediction system on firm productivity using Kisvalue-released database from 2000 to 2016.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treat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reatment group consists of 50 firms and 28,232 in the control group. Using these data, we estimated AI-based Raw Material Price Forecast Information Service on Firm s Productivity through OLS and Random effect model. Since fixed effect model can not be used in the analysis due to the nature of data, we also conducted an additional analysis using Chamberlain model that can get a consistent estimate. The result shows that firms with using AI based price prediction system are more productive than firms without using it. In this paper, non parametric approach is also used for testing differences in productivity between groups. The results of non parametric approach show that firms with using AI based price prediction system are 1.8%~2.4% more productive than that without using it.

      • KCI등재

        중동의 정치사회적 맥락과 테러리즘 단체의 변화:

        조성택(Cho Sung taek),송용태(Song Yong tae) 한국테러학회 2018 한국테러학회보 Vol.11 No.3

        20세기 들어 중동은 ‘화약고’라는 별명을 얻었다. 서구열강의 침탈로 인해 전통사회가 붕괴되고, 새로운 국경선이 획정되었으며, 민족 분열, 주요 종파 간 경쟁이 심화되었다. 이슬람 사회는 평화와 안정을 바라는 무슬림들의 희망과는 다르게 유혈의 역사사가 지속되고 있다. 평화와 안정 대신 전쟁과 테러리즘이 만연하였으며, 21세기 초반에도 이런 상황은 크게 변화하지 못하고 있다. 이슬람주의 테러집단은 이전보다 더욱 거대화되었으며, 전세계적 네트워크 조직을 구축하였다. 테러리즘도 그 대상과 장소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최근 수년간 그들의 테러활동이 중동, 아프리카와 유럽에서 확산되어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무슬림형제단의 파생조직, 알카에다에서 파생된 IS 등 주요 테러집단의 등장 배경과 특성을 살펴보는 것은 중동의 정치사회와 이슬람주의 테러리즘을 파악하는 하나의 수단이 될 것이다. In the 20th century, the Middle East was nicknamed the Fire storage. The invasion of the Western powers brought down traditional societies, established new borders, and intensified interracial division and competition among major sects. Islam is creating a history that Muslims who want peace and stability don t want. Instead of peace and stability, war and terrorism were prevalent, and the situation has not changed much in the early 21st century. Islamicism terrorist groups have become bigger than ever before and have built networks around the world. Islamicism terrorism is also spreading around the world. In recent years, their terrorist activities have gained global attention as they have spread across the Middle East, Africa and Europe. Looking at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terrorist groups such as the Muslim Brotherhood and the IS derived from al-Qaeda will be a means of identifying political society and Islamism in the Middle East.

      • KCI등재

        사이버 범죄의 규제에 관한 연구

        조성택(Cho Sung-Taek)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06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9 No.2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한 범죄가 증가되고 있다. 음란물(obscene)과 같은 불법적이고 유해한 정보는 네티즌들의 정상적인 성적 관념을 파괴하고 있다. 인터넷은 우리의 일상생활을 편리하게 하는 수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기도 하지만 정신적, 신체적으로 유해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다. 컴퓨터를 통한 범죄는 사이버 공간을 통한 범죄라는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그 폭력성과 파괴성이 전통적인 범죄보다 더 심각하다. 사이버 세계에서의 익명성은 죄의식을 감소시키고, ‘사이버 도덕’ 교육이 잘 갖추어지지 못한 상황에서 수많은 불법적이고 유해한 정보를 수집, 변형, 유통함으로써 사회질서를 문란하게 하는 결과를 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을 통한 각종 정보의 범람은 도덕적으로 취약한 청소년들에게 정보가 가지는 선악에 대한 판단의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범죄 중 사이버 음란물의 유형 및 유해성에 관해 살펴보고자한다. 그리고 사이버 음란물에 대한 규제의 내용과 그 문제점을 고찰한다. With the advancement of internet, the crime through the internet is also increasing. The obscene illegal and harmful information is destroying the sexual conception of Netizen. Internet provides us a numerous helpful information for convenient daily life but also physically and spiritually harmful information as well. The crime using a computer can be characterized as the crime through the cyber space, which cause the more violent and destructive crime than traditional crime. The anonymity of cyber space reduces a guilty conscience and the education of cyber morality is not well prepared yet. These circumstances ultimately derange the social public order by collecting, modifying, and deploying the illegal and harmful information. Young people who are vulnerable to morality might get the judgment confusion of good and evil caused by the defenseless harmful information on internet. This study will describe about the cyber crime especially the mischief of cyber obscene object and the counter regulation of government. And it will suggest the drawback of government regulation and its improvement proposa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