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퇴옹성철의 중도법문이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

        서재영 ( Seo Jae-young ) 성철사상연구원 2021 퇴옹학보 Vol.18 No.-

        성철 스님은 1967년 해인총림의 방장에 추대된 이후 약 100일에 걸쳐 대중들을 대상으로 한 법문을 설했다. 시간적으로 백일 동안 설했기 때문에 이 법문을 백일법문(百日法門)이라고 한다. 백일법문의 중심 내용은 불교의 중도(中道)사상으로 불교사상을 종합한 것이다. 따라서 백일법문의 핵심은 중도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성철 스님이 중도사상을 설파하던 1960년대는 사회적으로나 교단적으로나 대립과 갈등으로 점철된 시절이었다. 사회는 진보와 보수, 남한과 북한, 친일과 반일, 비구와 대처와 같이 사회적으로 강제된 이슈에 의해 대립하고 갈등하고 있었다. 성철 스님은 당대의 시대적 고통은 서로를 갈라놓는 분열의 담론, 갈등과 대립이라는 극단적 사고가 고통의 근원적 원인이라고 파악한다. 따라서 성철 스님은 당대를 지배하던 이와 같은 고(苦)의 양상을 직시하고, 그 해법으로써 중도사상을 제시했다. 성철 스님은 불교의 중도사상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그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나아가 사회적 갈등을 치유하는 해법으로써 중도사상을 제시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Master Sungchol gave his sermons based on Buddhist textual tradition for approximately 100 days after his appointment as Bangjang(方丈) of Haeinchongrim(海印叢林) in 1967. Since his sermon continued for around 100 days, it was called "Sermon of One Hundred Days," in which he encompassed all Buddhist teachings based on Middle Path. The core content of this sermon is centered around the concept of Middle Path. In the 1960s when he spread his idea of Middle Path, there was a series of confrontation and conflict in Korean secular as well as religious society. In the society, people were confronting each other over issues on progressive or conservative, on pro-North Korea and anti-North Korea, and on pro-Japanese or anti-Japanese, and Bhikkhu and The married Buddhist monk. Master Sungchol has shown the fundamental cause of suffering as the division, conflict and confrontation to split up people and society. Looking straight at these patterns of suffering dominating those days, he proposed the practice of Middle Path as a solution. By rediscovering the value of Middle Path in Buddhism and by highlighting their importance, he established so-called Buddhist Studies System based on Middle Path. Furthermore, he proposed Middle Path as a fundamental solution to heal social conflicts.

      • 승조(僧肇)와 성철(性徹)의 중도(中道)사상 비교

        양순애 ( Yang Soon-ae ) 성철사상연구원 2021 퇴옹학보 Vol.18 No.-

        이 논문은 그 활동 시기가 고대와 현대로 굉장히 다르지만 모두 중도를 최고의 가치관으로 삼았던 승조와 성철의 불교 사상에 있어 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 비교는 특히 중도에 대한 이해와 실천의 두 측면을 중심으로 하였다. 먼저 이해의 측면에서 승조는 중국 고유 사상의 영향으로 당시 불교계가 인도불교의 중흥자인 용수의 중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을 유감으로 여기며 이 중도를 제대로 이해시키고자 하였으므로 인도 불교적 요소를 지닌 반면, 성철은 불교사 전체를 중도로 이해하면서도 중국 선의 중흥자인 혜능의 사상을 가장 중시하며 중국적 불교의 측면에서 중도를 이해하였다. 그 다음 실천의 측면에서 보면, 승조는 당시 사상계의 중도 이해의 문제를 바로잡는데 치중하다 보니 중도의 실천보다는 그 이해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성철은 당시 한국 불교계의 문제점이 실천에 있음을 직시하고 중도의 구체적 실천을 중시하였다. 이를 통해 이러한 관점의 차이가 서로 다른 장점과 한계점을 노출하게 된 배경과 근거를 당시 현실에 대한 대응 방식의 차이와 학문 경향의 차이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This paper is aiming at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Seungzo’s middle way and that of Sungchol, though their period is quite a part. The comparison has centered around their understanding as well as their practice of middle way. Seungzo seems to put more weight on Indian Buddhist tradition, especially on the Madhyamaka of Nāgārjuna. He tried to improve Chinese Buddhism through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Nāgārjuna’s middle path. By contrast, Sungchol seems to lean to the traditional Chinese Buddhist tradition, especially to Chan Buddhism of Hyeneung. Based on Hyeneung’s idea, Sungchol tried to understand the whole Buddhist teachings through middle way. In terms of practice, Seungzo focused on correcting the misunderstanding of the middle way, which made him concentrate more on its understanding rather than its practice. Sungchol instead has put more stress on the practice of the middle way. In his understanding of Korean Buddhism, enforcing correct seon practice could be the key to clear problems of contemporary Korean Buddhism. In this paper, I am going to discuss the background of their thoughts especially in their reaction to the real world and of their academic tendencies.

      • 韓國性徹法師在Sermon of One Hundred Days對《大般涅槃經》的解讀

        趙威維 ( Chao¸ Wei-wei ) 성철사상연구원 2020 퇴옹학보 Vol.17 No.-

        퇴옹성철(1912-1993)은 한국의 유명한 스님으로 해인사에서 출가했으며, 1967년 해인사 방장에 추대되었고, 1981년 대한불교조계종 제6·7대 종정을 역임했다. 현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성철 스님은 1967년 해인사 방장 재임 당시 불교의 핵심인 중도관과 선종이 중시하는 불성 문제를 체계적으로 강설했다. 이를 책으로 엮은 것이 『백일법문』이다. 이 책의 제5장에 『대반열반경』과 관련된 부분이 있다. 여기서 성철 스님은 『대반열반경』의 4단락을 인용해 『대반열반경』의 중도, 불성, 12연기, 연기의 지혜, 수행차제 등에 대해 해설했다. 스님은 중도를 핵심으로 여러 개념들을 요약하고, 중도사상을 선양했다. 특히 공과 유에 대한 여러 분석들에서 벗어나 곧바로 수행에 대한 가르침으로 나아갔다. 스님은 돈오돈수와 『대반열반경』은 깊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경문을 인용해 자신의 주장을 증명함과 동시에 『대반열반경』의 불성설(佛性說)을 깨달음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표준으로 삼았다. 이로써 성철 스님이 『대반열반경』을 중시했음과 성철 사상과 그의 수행실천을 연구할 때 당연히 『대반열반경』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 됨을 알 수 있다. Venerable Sungchol(1912-93) is a Seon Master in Korea. The Sermon of One Hundred Days is a quotation that Master Sungchol teaches what is the Buddhist truth at Haein Temple in1967. In this Sermon, Master makes a clear narration of the middle way, the highest principle in Buddhism, and interprets many sūtras, including MahāpranirvāṇaSūtra. It is an important sūtra to Master, because he quotes many passages of this sūtrato support his claim, ‘sudden awakening and sudden practice’. He uses the middle way to explain some major concepts in this sūtra, such as buddha nature (buddha-dhātu), the wisdom of seeing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dharma-dhātu and nirvāṇa, and then they are integrated into the middle way. This enables Master’s claim to be established.

      • 초기불교의 중도사상과 퇴옹성철의 이해

        황순일 ( Hwang¸ Soon-il ) 성철사상연구원 2020 퇴옹학보 Vol.17 No.-

        대승불교의 가르침을 역사적인 붓다의 가르침으로 볼 수 있을까? 이 질문은 불교경전들에 대한 서구의 문헌학적 방법론에 따른 연구결과에 대해서 한국불교가 대답해야 할 질문이다. 현대사회에서 법화경, 화엄경, 반야심경, 금강경을 역사적인 붓다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보는 사람은 거의 없다. 하지만 한국불교는 불단에 역사적인 붓다를 모시고 대승불교의 경전을 합송하는 전통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근현대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선승인 퇴옹성철은 이 부분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하고 스스로의 방법으로 그 해결책을 모색했던 선구자였다. 그는 1967년 8만대장경으로 유명한 해인사의 방장으로 취임했을 때 동안거와 하안거 동안 매일 아침 2~3시간씩 법문을 했었다. 이 법문은 모두 100일정도 계속되었으므로 이 법문의 녹음이 녹취되어 1992년 책으로 출판되었을 때 백일법문이란 제목을 가지게 되었다.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퇴옹성철이 중도를 불교의 핵심적인 가르침으로 판단하고 초기불교이래 불교의 교리발달사를 면밀하게 검토하면서 이 교리들이 모두 중도를 중심으로 철학적으로 조직되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대승불교의 다양한 이론들이 중도를 중심으로 파악된다면, 중도에 입각한 대승불교의 가르침도 붓다의 가르침으로 볼 수 있다는 성철스님의 불설관이 확립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승불교 경전을 불설로 해석하려 했던 성철스님의 노력을 그의 중도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몇몇 문제점을 분석해보려고 한다. Buddhist Awakening can not be established with words and letters. It is one of the most well known expressions you can hear from the Korean Seon (Korean equivalent of the Japanese Zen and Chinese Chan) Buddhist tradition. Korean Seon masters have hardly been concerned about the Buddhist philosophy and doctrinal history. What they prefer always has been a special meditation technique called Ganhwa, observing paradoxical questions. Master Sungchol (1912-1993),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contemporary Korean seon masters, was one of the exceptions. In 1967 he became the head of Haein temple known to be famous for preserving the 84,000 woodblocks of the Tipitaka Koreana. During the winter retreat, he gave dharma talks to the assembled monks and nuns together with laity for two to three hours in every morning. His sermons went on for almost a hundred days. These dharma talks were recorded and later in 1992 published as a book entitled ‘Sermon of One Hundred Days’. In this book, he clarified that the theory of the Middle Path could be the core of Buddhism, and he tried to explain all Buddhist philosophy and doctrinal history in light of the Middle Path. For him Middle Path cannot be explained through words and letters. It can only be awakened through the practice of meditation and be fully experienced only through our mind. In this paper, I am going to deal with Master Seongcheol’s idea of Middle Path in relation to justify the popular position of Korean Buddhism that the historical Buddha is responsible for the Mahāyāna Buddhist Canon as well.

      • 선어록 해석의 몇 가지 문제점

        박영록 ( Park Young-rok ) 성철사상연구원 1999 백련불교논집 Vol.9 No.-

        禪宗語錄很難理解, 一般人幾乎不能接受. 不只是一般人, 專家或者僧人也會碰到不能理解的地方. 所以很久以前, 就有了解釋禪宗語錄的書. 特別近來陸續問世. 這樣的解說書, 雖然有許多優點, 但是也有一些缺點. 首先, 我提出了“禪不是一種思想”的槪念. 一般說的‘思想’是精神活動, ‘禪’不是精神活動, 起碼它可以包括心的活動. 所以, ‘禪’跟‘思想’不能竝列的. 第二個問題, 也是最關鍵的問題, 是象徵式解釋. 人們常說, 禪宗語錄語言是一種象徵式文字, 這個說法, 半對半錯. 象徵, 應該有象徵的對象, 禪師的語言不一定有指示的對象, 它要做的只是打破對方的固定觀念. 這就是一般說的“打破理性思考作用.” 可是, 用象徵式語言的看法來解釋禪宗語錄, 從頭到尾都可以合理地解釋, 結果, 不能打破讀者的固定觀念, 特別是以邏輯爲主的想法. 第二, 解釋的文字也有幾個問題. 首先, 解釋時, 修飾性的詞彙太多, 讓讀者抓不到重點, 有的時候, 比本來的說法更難以理解的. 定語, 本來可以修飾別的詞彙, 可是有的時候它可以改變被限定槪念的性質, 我們應該注意到這點. 其次, 爲了說明方便擧的例子, 有的時候太不合適, 甚至也有不能相信的例子. 再次, 解說書的作者, 一般來講, 不是得道解脫的人, 而且他不是當時的當人; 他雖然有提出自己觀念的權力, 但却他沒有權力罵當時參與禪問答的人們. 對禪宗語錄的解釋和系統的硏究, 都應該必要的. 可是這個解釋, 不是自己的小品文. 解釋的方法․行文都應該細心注意.

      • 성철선의 이해와 실천을 위한 시론

        강경구 ( Kang Kyoung-koo ) 성철사상연구원 2021 퇴옹학보 Vol.18 No.-

        본고에서는 성철선의 3대 종지를 고찰하였다. 돈오원각론, 실참실오론, 구경무심론이 그것이다. 돈오원각론은 선문의 돈오와 부처의 원각이 동일한 것임을 강조한다. 돈오원각론은 『선문정로』의 전체 설법을 관통하는 주제의식이자 성철선의 제1종지에 해당한다. 실참실오론은 수행과 깨달음의 실질성, 직접성, 현재성을 중시한다. 실참실오론은 깨달음의 원리가 아니라 수행과 깨달음의 실질적 결과에 그 논의를 집중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개념적 이해가 남아 있는 해오, 문견(聞見) 등의 차원을 강력하게 배제한다. 그 대신 직접 확인이 가능한 실제 경계를 거듭 제시하는데 숙면일여, 내외명철 등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선문정로는 참선수행의 지침서이자 그 수행과 깨달음의 차원을 점검하는 시금석이 된다. 구경무심론은 근본무명을 완전히 타파하여 아뢰야식을 벗어난 무심이라야 진정한 무심이며 견성의 조건이 된다는 점을 주장한다. 구경무심론은 유식학의 논의를 적극 활용한 점, 제7식의 설정을 반대한 점, 몽중일여를 제7지 6추에 숙면일여를 자재위 3세에 배대한 점, 무심의 범주를 아뢰야식의 3세 소멸로 한정한 점 등에서 성철선의 특징을 드러낸다. 다만 이것은 논의의 편의를 위해서이지 사실 전체 『선문정로』에서 이 돈오원각론, 실참실오론, 구경무심론은 서로가 서로를 성립시키는 3위일체적 관계에 있다. Effectively expresses Master Sungchol҆s idea of sŏn has been summarized at The best way to Sŏn(선문정로). This paper deals with three major aspects of Sungchol҆s idea of sŏn. These are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complete awakening, the theory of practical meditation and practical awakening, and the theory of ultimate indifference. The theory of sudden awakening complete awakening emphasiz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awakening of Sŏn and the awakening of Buddha. The theory of practical meditation practical awakening values at the reality, immediacy, and presentness of meditation and of awakening. The theory of ultimate indifference insists that it is true indifference only if it completely breaks down the ignorance as well as ālāyavijñāna.

      • 『백일법문』에 나타난 퇴옹 성철의 유식사상 -심소법(변행·별경)을 중심으로-

        김명우 ( Kim¸ Myung-woo ) 성철사상연구원 2020 퇴옹학보 Vol.17 No.-

        본 논문은 『백일법문』에 나타난 퇴옹 성철의 유식사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백일법문』에서 퇴옹 성철의 유식사상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유식의 중도’를 논증하기 위한 관련 논서의 인용 및 해설이다. 둘째는 감산의 유식 관련 주석서를 바탕으로 유식의 핵심사상을 해설한 것이다. 본 논문은 (Ⅱ)과 (Ⅲ)로 나누었는데, 먼저 (Ⅱ)에서는 『백일법문』의 목차대로 ‘유식의 중도’를 논증하는 내용과 해설 부분을 간략하게 요약하였다. 더불어 요약하는 과정에 필자와 의견이 다른 부분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그리고 (Ⅲ)에서는 『백일법문』에 나타난 51심소법을 고찰하였다. 이 번에는 지면의 제약으로 5가지 변행심소와 5가지 별경심소에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성철의 5변행심소와 5별경심소에 대한 법문 내용을 간략하게 기술하자면, 먼저 작의는 마음을 처음으로 움직여서 대상에 향하도록 하는 마음작용이며, 촉은 마음을 이끌어 대상에 나아가게 하는 마음작용, 수는 대상을 품고 받아들이는 마음작용, 상은 스스로 대상을 세워져 언어를 부여하는 마음작용, 사는 마음을 부려서 선악업을 짓게 하는 마음작용이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욕은 좋아하는 것을 하고자 하는 마음작용, 승해는 뛰어난 지해이고 대상을 알게 하는 마음작용, 념이란 분명한 기억, 정이란 오로지 집중하는 것, 혜란 아주 교묘한 지혜라고 정의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cept of vijñaptimātratā appeared in the Baegilbeobmun 『百日法門』 by Toeong Sungchol(性徹, 1912-1993). In the Baegilbeobmun, jñaptimātratā has been explained by Sungchol through two different concepts and sources. Firstly, he explains it through the quotations and commentaries from the texts related to the vijñaptimātratā in terms of the Madhyamika. Secondly, he illustrates the core thoughts of vijñaptimātratā based on the commentary of vijñaptimātratā by Hānshān(憨山, 1546-1622). In this paper I am going to summarize briefly on the contents of vijñaptimātratā in terms of Madhyamika according to the Baegilbeobmun. There have been some parts where the explanations given at the Baegilbeobmun we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texts. It also deals with the 51 kinds of caittas appeared in the Baegilbeobmun through the clarification of them in terms of 5 sarvatraga caittas and 5 viniyata caittas. Here is the brief description of Sungchol’s discourse on sarvatraga citta and viniyata caitta. First of all, a caitta called manaskāra moves the mind (citta) pay attention to object (viṣaya). Through the contact (sparśa) of the mind (citta) and object (viṣaya), there are feeling (vedanā) which is accepting the object (viṣaya); concept (samjñā) which is building up of the object (viṣaya) and is giving linguistic awareness; and intentions (cetanā) which lead to either good (kuśala) or bad (akuśala) actions (karma). He also explains chanda as caitta wanting to do what one likes, adhimokṣa as caitta meaning excellent wisdom, smṛti as caitta defining clear memory, samādhi as caitta meaning one pointedness, and prajñā as caitta clarifying very subtle wisdom.

      • 퇴옹(退翁) 성철(性徹)의 천태종사상(天台宗思想)과 화엄종사상관(華嚴宗思想觀) ― 중도사상을 중심으로 ―

        도대현 성철사상연구원 2006 백련불교논집 Vol.16 No.-

        One of the most important contributions of Master Song-chol's Seon thought in the history of Buddhism lies in the fact that he clarified the supreme principle of both Tien-tai school and Hua-yen school was the Middle Path where both sides of one's viewpoint are blocked up totally and illuminated completely. The distinguishing points of Master Song-chol's view on the philosophies of Tien-tai and Hua-yen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Master Song-chol, Tien-tai philosophy expounded the truth of the Middle Path by means of the two doctrines; 1) the three thousand realms are contained in one mind, and 2) there is the perfect harmony among the three truths. It is also said that the meaning of the Middle Path is identical with those of conditioned arising (pratītyasamutpāda) and emptiness (śūnyatā), and that the Middle Path in Tien-tai school is expressed in terms of blocking up both sides of one's viewpoint and illuminating the two sides totally, and blocking up and illuminating the two simultaneously. In Tien-tai school, the Middle Path is also called One Mind Dharma realm, Dharma realm without hindrance, non-dual Dharma realm. According to Master Song-chol, on the basis of the doctrines that the six characteristics of a thing influence one another and are perfectly blended, and that the ten characteristics of the world in which phenomena are interdependent, Hua-yen school clarified the doctrine of pratītyasamutpāda of dharma-dhātu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of the Middle Path. Second, Master Song-chol pointe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chools, Tien-tai and Hua-yen with regard to their views of human nature; while Tien-tai school asserts that self-nature is inherent in man from the first, Hua-yen school insists that self-nature is developed later. As a result of such a difference, Tien-tai school emphasized the need of practice, whereas Hua-yen school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ory. However, in spite of such differences both schools are equally prominent and we can not make any discrimination between the two because both are on the basis of the Middle Path. Third, Master Song-chol criticized the two school in respect that they regarded the Āgamas, Source of the Teaching of the original Buddhism, as Hīnayāna or Lesser Vehicle when they classified the various tenets of Buddhism from their standpoints. Furthermore, Master Song-chol insisted that the original Buddhism is both the starting point and foundation of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