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entinel-1 SAR 토양수분 산정 연구: 식생에 따른 토양수분 모의평가

        조성근,정재환,이슬찬,최민하,Cho, Seongkeun,Jeong, Jaehwan,Lee, Seulchan,Choi, Minha 한국수자원학회 2021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4 No.2

        Synthetic Apreture Radar (SAR) is attracting attentions with its possibility of producing high resolution data that can be used for soil moisture estimation. High resolution soil moisture data enables more specific observation of soil moisture than existing soil moisture products from other satellites. It can also be used for studies of wildfire, landslide, and flood. The SAR based soil moisture estimation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vegetation, which affects backscattering signals from the SAR sensor. In this study, a SAR based soil moisture estimation at regions covered with various vegetation types on the middle area of Korea (Cropland, Grassland, Forest) is conducted. The representative backscattering model, Water Cloud Model (WCM) is used for soil moisture estimation over vegetated areas. Radar Vegetation Index (RVI) and in-situ soil moisture data are used as input factors for the model. Total 6 study areas are selected for 3 vegetation types according to land cover classification with 2 sites per each vegetation type. Soil moisture evaluation result shows that the accuracy of each site stands out in the order of grassland, forest, and cropland. Forested area shows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 higher than 0.5 even with the most dense vegetation, while cropland shows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 lower than 0.3. The proper vegetation and soil moisture conditions for SAR based soil moisture estimation are suggested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Future study, which utilizes additional ancillary vegetation data (vegetation height, vegetation type) is thought to be necessary.

      • KCI등재

        Ultrasound-Triggered Drug Release of Hydroxyapatite Coated Liposomes

        조성근,위태인,하정,조선행,한건,한희동,신병철,Cho, Sung Keun,Wee, Tae In,Ha, Jeung,Cho, Sun Hang,Han, Kun,Han, Hee Dong,Shin, Byung Cheol Korean Chemical Society 2013 대한화학회지 Vol.57 No.4

        리포솜은 표적 약물을 봉입하여 병소에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약물전달체로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리포솜은 표적부위에서 약물방출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포솜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표적부위에서 외부 초음파로부터 약물의 방출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가 코팅된 리포솜을 개발하였다. 대조군 리포솜은 인지질과 콜레스테롤을 이용하여 제조하였고, 대조군 리포솜의 표면에 칼슘 아세테이트, 포스포릭에시드, 그리고 25% 암모니아용액을 이용하여 HA를 코팅하였다. 모델 약물로는 독소루비신을 사용하였다. HA코팅 리포솜의 크기는 120 nm 이었고, 약물봉입효율은 95% 이상이었다. 30% 혈장용액 내에서 HA코팅 리포솜의 입자크기는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대조군 리포솜은 크기가 1.4배 증가하였다. 외부 초음파 자극에 의한 리포솜으로부터 약물 방출을 유도한 후, 방출된 약물의 세포 이입율은 HA 코팅된 리포솜이 3배 이상 대조군 리포솜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외부 초음파 자극에 의하여 리포솜으로부터 약물의 방출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초음파 민감형 리포솜을 개발하였고, 본 제형은 표적부위에서 약물의 방출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Liposomes, which can deliver payload at target site, have been studied as drug carrier. However, conventional liposomes have limitation for drug release at target site. Therefore, we developed hydroxyapatite (HA) coated ultrasound sensitive liposomes to increase drug release at target site and to enhance stability in blood stream. Control liposome was prepared using hydrogenated soy phosphatidylcholine (HSPC) and cholesterol, and then we assessed HA coating on the surface of control liposomes using calcium acetate, phosphoric acid, and 25% ammonium solution. Doxorubicin was used as a model drug. Size of HA coated liposomes was 120 nm and encapsulation efficiency of doxorubicin in liposomes was up to 95%. Size of HA coated liposomes are not changed in 30% serum solution, however, the control liposomes was 1.4 fold increased. After ultrasound triggered drug release from liposomes, intracellular efficiency of drug released from HA coated liposomes was 3 fold increased compared to control liposom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ultrasound sensitive liposomes to enhance drug release, which will be applied in controlled drug release at disease site.

      • 무기체계 연구개발단계 국방규격 질적 향상 방안

        조성근(Cho Sung Keun),김순걸(Kim Soon Geol)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2 제어로봇시스템학회 합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2 No.7

        최근 이지스구축함, K21보병전투차량, K2전차, 수리온, T-50 등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대내ㆍ외적으로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일부 국산 개발무기의 전력화가 지연되고 양산장비의 품질문제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국방규격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품질이 우수한 무기체계의 국방규격 작성은 전력화 뿐 아니라 지속적인 전투력 발휘 측면의 군수지원을 보장하기 위해 총수명주기 관점에서 작성되어야 한다. 전 순기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무기체계 품질관리를 위해 제조성 숙도 평가를 활용하고 있으며, 국방규격 작성시 성능형규격으로 작성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제조성숙도를 고려한 국방규격의 작성 기준과 사전연구가 부족하고 규격화시 성능형규격 작성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조성숙도 평가방법과 성능형규격 작성을 중심으로 무기체계 주요 개발단계별 적용방안과 이에 따른 제도적 / 시스템의 보완 방향을 제시하였다. 세부적인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제조성숙도 수준을 고려한 연구개발단계별 국방규격의 작성 기준을 분류하였으며, 둘째, 성능형규격이 활성화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제조성숙도와 연계한 성능형규격 작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최초로 제조성숙도 개념을 국방규격에 적용하였으며, 무기체계 연구개발 단계별 적용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향후 성능형규격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전자 제어 동력 조향 장치의 고장 안전 동작 성능 평가

        조성근(Seongguen Cho),문남규(Namgyu Moon),구태윤(Taeyun Koo),한민규(Mingyu Han) 한국자동차공학회 2020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0 No.11

        자동차 주행 중 고장 상황에 따른 대처를 위해 Redundancy system이 보급되고 있다. 그중 운전자의 조향을 도와주는 EPS의 고장은 운전자에게 심각한 상황을 초래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EPS는 제어 Logic 뿐만 아니라 안전메커니즘(Safety Mechanism) 설계를 통한 고장안전동작(Fail-Operation)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전자 제어 동력 조향 장치들의 주행 상황에 따라 발생 할 수 있는 고장과 ECU 통신 고장 조건에 대한 동작을 분석하였다. 고장 주입 방법은 Sensor, Power 등 ECU의 Connector 탈거, 비정상적 차량의 종료이다. 시험 결과 제조사/Suppler 별 Fail-Safe Concept은 상이하나, EPS는 운전자의 통제 가능한 범위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다면체를 활용한 제품의 융합디자인 교육 모델 연구

        조성근(Cho, Seong Ku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1

        오늘날 이종 학문 분야 간 융합의 경우, 이를테면 공학과 예술이 만나는 접점에서 제품을 융합디자인하는 방법과 전략에 관한 연구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한 제품의 융합디자인 교육 모델 개발 및 디자인전공 학생들의 제품디자인 능력 제고와 직결되는 문제임에도 아직 이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제한적이다. 또한 3차원 데이터값을 가진 다면체의 경우, 더욱 진전되고 있는 3D 프린팅 기술의 영향으로 융합디자인의 형태 개발에 활용할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과 예술의 교차점에서 다면체를 활용한 제품의 융합디자인 교육 모델을 제안하고, 학생들의 디자인 성취도에 효과가 있는지를 밝히는 데 있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개념 이해, 융합적 사고와 창의력, 성취감과 성취도 요인에서 변화가 의미있게 서로 상호작용하여 일어났는데, 이를 통해 본 교육 모델이 디자인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문제인식과 해결 요인의 경우, 변화가 일어났지만 서로 상호작용하여 일어났다고는 할 수 없다. 학생들이 공학과 예술을 융합하여 디자인하는데 요구되는 문제 인식 정도와 해결 수준에는 아직 미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는 융합디자인 심화 과목을 개설하여 학생들이 문제인식과 해결 위주의 프로젝트를 경험한 후 재검사를 한다면,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있는 변화를 보일 것이며, 성취도 제고에 효과적일 것이다. 향후 과제는 다면체를 활용한 다양한 주제의 이종 분야간 융합제품 프로젝트들로 디자인교육 연구가 이어지고, 더 나아가 3D 프린터로 생산할 수 있도록 3D프린팅 데이터 기법과 연계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These days, in terms of convergence between different fields of study, research on convergent product design methods and strategies at the interface between engineering and arts is directly linked to the reform of curricula in design universities and the improvement of convergent product design capability of students majoring in design in response to social demands of convergent design. However, limited academic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uch subject. As the polyhedron has 3D data values, it is worth using the figure in the convergent product design due to recent advancements in 3D printing technolog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roduct design education model that converges converges converges the fields of engineering and arts using polyhedrons and examine the model’s effects on the degree of design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changes in factors including concept understanding, convergent thinking and creativity, sense of achievement and achievement level occurred through significant interaction. This indicated that the education mode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design achievement level. However, for problem recognition and solution factors, a change was observed, but it cannot be concluded that such change occurred through interaction. This suggests that the capability of students still falls behind the required degree of problem recognition and solution for convergent design using engineering and arts. Therefore, the convergent problem recognition and solution factors can be improved by applying the convergent design curricula up to the senior course. Further research on design education using polyhedrons for convergent product projects between different fields of study in various topics should be conducted, as well as a follow-up study linked with 3D printing data technique to enable production using a 3D printer.

      • 불필요한 식을 찾는 2단계 언어의 간섭분석

        조성근(Sungkeun Cho),김진영(Jin Yung Kim),이광근(Kwangkeun Yi)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2A

        이 논문에서는 정적으로 2단계 언어의 불필요한 식을 안전하게 찾는 간섭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불필요한 식이란 식의 실행이 전체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식을 말하고 간섭분석이란 프로그램의 최종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식들을 찾아내는 분석을 말한다. 정적으로 불필요한 식을 찾으면 전체 프로그램 실행에 드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 분석은 타입 시스템에 올라탄 분석에 기반한다. 타입 규칙을 디자인하고 안전성을 증명하였으며 이를 위한 알고리즘을 디자인하고 올바름을 증명하였다. 또한 다형 타입을 지원하도록 타입 규칙을 확장하였으며 그 안전성도 증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