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두마스크 삽입시 allfentanil-propofol 병용투여와 propofol 단독투여의 비교

        조상윤,김현정,이재익,이재명,심재황,전우재,염종훈,신우종,김경헌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49 No.4

        Background: We performed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compare the quality, hemodynamic response, and recovery index of laryngeal mask airway (LMA) insertion after either propofol alone or co-administration of alfentanil-propofol anesthesia. Methods: Sixty patients (ASA 1 or 2, 17-63 years) were randomly allocated 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Group I) was received placebo (saline), experimental groups were received alfentanil 10μg/kg (Group II), 20μg/kg (Group III), 30μg/kg (Group IV). Results: Loss of consciousness and LMA insertion were more rapid in patients with alfentanil 30 μg/kg group than control group (P < 0.05). In alfentanil 20μg/kg group, loss of consciousness was more rapid than control group.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pofol induction dose, effect site concentration on induction, and propofol maintenance dose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P < 0.05). Conclusions: We conclude that co-adminstration of alfentanil-propofol, especially 30μg/kg group, compares favorably with propofol alone, although LMA removal time is prolonged.

      • 빠른 무해 인식에 의한 효율적인 테스트 패턴 생성

        조상윤,강성호 대한전자공학회 1997 電子工學會論文誌, C Vol.c34 No.8

        The fast redundancy identification is required to perform an efficient test pattern genration. Due to the reconvergent fanouts which make the dependency among objectives and the fault propagation blocking, there may exist redundnat faults in the cirucit. This paper presents the isomorphism identification and the pseudo dominator algorithms which are useful to identify redundant faults in combinational circuits. The isomorphism identification algorithm determines whether mandatory objectives required for fault detection cannot be simultaneously satisfied from primary input assignments or not using binary decision diagrma. The pseudo dominator algorithm determines whether faults propagation is possible or not by considering all paths at a given fanout node. Several experiments using ISCAS 85 benchmark circuits demonstrate the efficiency and practicability of the algorithms.

      • KCI등재

        신경가소성 원리를 이용한 강제유도운동치료에 대한 고찰

        조상윤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3 재활치료과학 Vol.2 No.1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최근 신경재활 분야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상지 재활 치료방법 중 하나로 하루 6시간씩 주 5일 2주간 강도 높은 훈련을 환측 팔에 제공하고, 건측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깨어 있는 시간의 90%를 구속하는 치료방법이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강제유도운동치료의 임상적 한계를 바탕으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는 하루 5시간씩 주 5일, 10주 간 건측을 억제하고 하루 30분간 손상측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는 일상생활 수행 평가인 소아 운동 활 동 측정표(Pediatric Motor Activity Log; PMAL)와 상지 질적 평가(Quality of Upper Extremities Skills Test; QUEST), 환측의 상지 기능을 평가하는 멜버른 상지 평가(Melbourne Assessment of Unilateral Upper Limb Function; MAULF), 환측과 건측의 양손 협응을 보기 위한 Assisting Hand Assessment(AHA)를 통해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고찰에서는 강제유도운동치료 적용 후, 신경학적 변화를 살펴본 연구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경 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강제유도운동치료 또는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한 결과, 신체 부분의 움직임의 양에 따라 대뇌피질에 나타나는 신체 부위의 크기가 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반대측 운동피질의 활성을 증가시켜주고, 동측 피질의 활성을 감소시켜 신경재조직에 영향을 주기 때문 에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신경가소성의 원리를 이용한 상지 재활 치료 방법이라 하겠다.

      •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 가족과의 대화시간, 삶의 만족도의 관계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조상윤,오봉욱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8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0 No.-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개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 가족과의 대화시간,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개입 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의정부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학년을 대상으로 눈덩이 표집방법에 의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중 277명을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2015)에서 사용한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 가족과의 대화 시간과 삶의 만족도 척도로 각 변인을 측정하고, 독립표본 t-검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았고, 가족과의 대화시간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많았다.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 정도는 가족과의 대화 시간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가족과의 대화시간과 삶의 만족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은 가족과의 대화 시간을 줄어들게 만들고, 가족과의 대화 시간이 증가하면 삶의 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가족과의 대화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게임 및 오락 목적의 매체 이용을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 관심을 갖고 자가조절이 가능하도록 교육과 지원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use of entertainment and recreational purposes, conversation time with family members, satisfaction of lif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ntervention plan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by the snowball sampling method for the senior students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Uijeongbu, Gyeonggi - do. Among them, 277 were used by the Korea Youth Policy Research Institute (2015), and the variables were measured by the degree of media use, entertainment time, family time, and life satisfaction, and independent sample t- Respectively. As a result, the use of media for gaming and entertainment purposes was higher in girls than in boys, and girls haved more with family talk time than boys. The degree of media use for game and entertainment purpos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amily talk time, and the family talk time and life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In other words, the use of media for game and entertainment purposes decreased the conversation time with the family, and the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s the conversation time with the family increased.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time of conversation with family memb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required to educate and support the suitable use of media for game and entertainment purposes so that they can be self-regulated and interested in home, school, and community.

      •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 이용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상윤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0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 No.-

        노인의 인간다운 삶, 만족스러운 노후 생활 등이 향후 사회적인 중요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노년 인구의 빠른 증가 속도는 노인들에 대한 국가적, 사회적으로 시급한 대책 마련을 요청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노인복지정책이 수립되고 있고, 노인관련시설 또한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현재 노인복지시설들은 재정자립도가 낮고 복지프로그램 역시 매우 단편적이기 때문에 이용대상인 노인들의 복지 및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사회활동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많지만 노인복지관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종합복지관에서 지원하는 사회활동 프로그램들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노인종합복지관 프로그램이 노인의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With the aging population, the human living and satisfactory declining years of the aged is emerging as one of important social issues. In particular, the rapid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the aged is demanding urgent national and social measures for them. For this reason, various senior welfare policies are being devised, and the number of senior facilities are on an increasing trend. However, due to the low fiscal self-reliance ratio of local governments and limited welfare programs, some say that senior facilities are not playing an effective role in improving the welfare and standard of living of the aged. Whil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positive relations between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aged and their standard of living,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ograms provided by senior welfare center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activity programs in senior welfare center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In this way, this study has a purpose to seek measures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aged through senior welfare center programs.

      • KCI등재

        목판 문화재 보존처리를 위한 강화처리제 연구

        조상윤,박정혜,김수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2 보존과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에서는 목판 문화재의 보존처리를 위해 열화된 소나무를 이용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Dammar, Beeswax, Paraloid B-72, 아교, H.P.C 처리제 적용에 따른 시험편의 중량변화 와 수축률, 색 변화, 침투확산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목재 본래의 색을 유지하며 재질 강화에 효과적인 처리제로 Dammar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 결과를 토대로 목판 문화재와 손상 상태가 유사하며 목판 문화재의 주요수종과 유사한 열화된 산공재 수종을 이용 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Dammar의 적용농도 및 처리 방법을 알아보고자 Dammar 농도별(2%, 5%) 도포와 Dammar 농도별(10%, 15%) 함침을 진행하였으며 중량변화, 침투확산 특성 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목재 본연의 색을 유지하면서 재질 강화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Dammar 2% 도포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충해 및 열화가 심한 목판 문화재의 강화처리 에는 Dammar 2% 도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 test piece was produced using deteriorated pine tree for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woodblocks cultural heritage, and weight change, color change and penetration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test piec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Dammar, Wax, Paraloid B-72, Animal glue and H.P.C treatment agent.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ammar is the most suitable treatment agent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material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color of the wood. A test piece was produced using deteriorated porous natural wood, which the damage condition is similar to that of woodblocks cultural heritage and the main tree of woodblocks cultural heritage based on above result, and the application of each Dammar concentration (2%, 5%) and wetting of each Dammar concentration (10%, 15%) were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the application concentration and treatment method of Dammar, and weight change, penetration diffusion characteristics, etc. were observ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Dammar 2% application was the best as an effective method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material while maintaining the original color of the woo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Dammar 2% application is most suitable for the strengthening treatment of woodblocks cultural heritage with severe insect damage and degradation.

      • KCI등재

        Identification of the Capsid Protein-binding Region of the SL1(+) RNA Located at the 5' Region of the Potato virus X Genome

        조상윤,김국형 한국식물병리학회 2012 Plant Pathology Journal Vol.28 No.1

        Potato virus X (PVX) contains cis-acting elements including stem-loop 1 (SL1) RNA at the 5' region; SL1is conserved among all potexviruses. The SL1 at the positive-sense RNA, SL1(+), is required for PVX RNA replication, cell-to-cell movement, and translation. Previous research demonstrated that SL1(+) RNA also serves as the origin of assembly for encapsidation of PVX RNA. To identify the essential sequences and/or regions for capsid protein (CP) subunit recognition within SL1(+) RNA, we used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s (EMSA), UV cross-linking, and yeast threehybrid analyses. The EMSA and UV cross-linking analyses with PVX CP subunits and RNA transcripts corresponding to the SL1(+) RNA showed that the SL1(+) RNA formed complexes with CP subunits. We also conducted EMSA and yeast three-hybrid analyses with RNAs containing various mutations of SL1(+)RNA elements. These analyses indicated that SL1(+)RNA is required for the interaction with PVX CP and that the RNA sequences located at the loop C and tetra loop of the SL1(+) are crucial for CP bind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addition to being important for RNA accumulation, the SL1(+) RNA from the 5' region of the PVX genome is also required for specific binding of PVX CP.

      • 치매환자 가족의 치매정책에 대한 인식과 태도 연구

        조상윤,오봉욱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4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mented patients familial recognition and attitude on the policy for the demented elderly and for create dementia policy. The family caregiver's pain are problems for not only the senile demented patients and their families, but also all of us who are living in this aging society.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79.6% of them have a knowledge of the demented symptoms. Second, analysis of their recognition and attitude on the policy for the demented elderly showed that the expansion of old-aged protecting facilities(M=4.64) is the highest, following free old-aged nursing facilities(M=4.63), national supports for the demented elderly like other patients(M=4.62), the expansionof weekly protecting facilities(M=4.53), dementia hospitals(M=4.52), health insurance budgets(M=4.50), and short-term protecting facilities(M=4.46). 이 연구는 치매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치매노인을 위한 정책에 관해 인식과 태도가 어떤지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는 치매정책을 만들기 위함이다. 가족 중 부양자의 부담은 노년의 치매환자와 그의 가족뿐만 아니라 고령화 사회에 살고 있는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문제이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환자 가족들은 치매 증세에 대한 인지정도에 있어서는 전체 79.6%가 치매 증세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치매정책에 대한 치매환자 가족들의 인식 및 태도를 분석한 결과, 노인보호시설 확대 필요성(M=4.64)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무료 노인요양시설 확대(M=4.63), 타 환자와 마찬가지로 치매노인을 위한 국가의 지원 확대(M=4.62), 주간 보호시설 확대(M=4.53), 치매전문병원 확대(M=4.52), 건강보험예산 확대(M=4.50), 단기보호시설 확대(M=4.46) 순으로 나타났다.

      • 인터넷 뉴스에 보도된 노인요양시설 관련 기사 분석

        조상윤,오봉욱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3 No.-

        본 연구에서는 노인요양시설이 인터넷 뉴스에 어떻게 노출되었는지 알아보고자 2019년 1월부터 11월까지 인터넷 상에서 ‘노인요양시설’을 키워드로 검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요양시설 관련 기사를 분석할 때는 중복되지 않은 내용을 중심으로 총 47건의 인터넷 뉴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기사내용의 보도경향에 대해서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외형적 보도경향의 경우 노인요양시설 관련 기사가 10월에 가장 많았고, 기사는 뉴스의 형태와 인터넷 신문기사에 의한 정보전달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내용적 보도경향인 기사의 주제는‘인권⋅복지’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시설⋅설비’ 순으로 나타났다. 기사 논조는 긍정적인 기사 내용이 많았다. 이는 노인요양시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제시를 주로 다루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노인요양시설 관련 기사를 살펴봄으로써 시설 관리감독 철저, 종사자에 대한 인권교육, 입소 어르신의 자기 결정권, 종사자의 처우개선에 관심을 갖고 미래를 대비할 수 있는 노인복지가 실현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searching ‘the elderly care facilities’ as keywords on the Internet from January to November 2019 to find out how ‘the elderly care facilities were exposed to internet news. When analyzing the articles related to the elderly care facilities, a total of 47 internet news articles were reviewed. 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news trends of the selected artic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ase of the appearance of news coverage, articles related to elderly care facilities were the most frequently in October, and most of the articles were news transmiss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through internet newspaper articles. Second, most of the subjects of the articles, which are the tendency of news coverage, were 'human rights and welfare', followed by 'facility and equipment'. Article tone had a lot of positive article content. This is because it mainly dealt with suggesting ways to solve the problems of elderly care facilities. Therefore, by reviewing articles related to elderly care facilities, we should try to realize senior welfare that can prepare for the future with thorough attention to facility management supervision, human rights education for workers, self-determination rights of senior citizens, and improved treatment of workers.

      • 웃음요법이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상윤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1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6 No.-

        본 연구는 웃음요법이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향상을 위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 중랑구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4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아동 19명을 대상으로 웃음요법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 참여 아동 중 설문조사에 응답이 가능한 12명에 대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사용한 웃음요법 프로그램이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효과가 있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 활용한 웃음요법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이기에, 아동을 지도하는 기관에서 적극 활용한다면, 부적응 행동을 보이거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의 불안한 마음을 진정시킬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해소 및 이에 대한 대처기술을 증진시키고 더불어 자존감 향상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what effects laughter therapy has on children’s stress-coping. For doing so, a laughter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19 children from fourth grade to sixth who regularly use a community childcare center located in Jungnang-gu, Seoul. Among the participants, 12 children who were able to respond to a questionnaire were given a test of stress-coping behaviors before and after the laughter therapy program. The results are as below. First, since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is arguable that laughter therapy is effective in promoting children’s self-esteem. Second, it is revealed that laughter therapy is efficient in developing their stress-coping behaviors. Such test results indicate that, since laughter therapy is a program that helps in promoting children’s stress-coping behaviors, if it is made use of actively by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children, not only does it pacify the anxiety of children caused by maladaptive behaviors or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but also it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in getting rid of their stresses, improving their stress-coping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