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기상황에서의 현장대응력 향상 방안 모색 - 지역사회 의사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조민상 ( Minsang Cho ) 한국융합과학회 2022 한국융합과학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Vol.2022 No.0

        목적: 이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발생되는 위기요소와 상황에 중점을 둔다. 위기 상황속에서 현장의 특성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선하는데 제언을 시도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관리 및 의사결정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수행한다. 연구의 주된 이론 및 최근 동향을 파악하여 본 연구의 차별화된 내용을 구성하고자 한다. 둘째, 발생되는 위기 및 사건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존에 발행된 관련 기관의 자료를 분석하고자 한다. 경찰, 소방, 행정안전부 등 안전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그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현장 대응력에 관한 키워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다양한 언론매체에서 보도한 내용을 포함하여 선행 연구에서 빈출 키워드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현재 실태와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하여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결과: 현재까지 확인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위기상황을 인지하는 단계가 각 기관별로 차이가 있다. 경찰과 소방, 중앙정부, 지방정부 등 안전에 대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상황이 악화되어 많은 피해가 발생한 중대 위기는 대응에서 큰 차이가 없으나, 소형 규모의 위기상황에 대한 대응은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사회의 의사결정과정에 대한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지역사회는 시민들이 거주하고 있는 공간으로서, 사건의 현장이라는 측면이 중요하다. 지방정부를 비롯하여 각 기관의 지역별 거점이 존재하고, 시민이 참여하는 민간단체도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의사결정의 과정과 각 단계가 체계를 갖추고 있지 못해 실제 상황이 발생하면 대응이 미흡하다. 셋째, 의사결정과정에서 리더십과 책임자의 권한 설정이 미흡하다. 최종적인 책임에 대한 부분에 집중하고 있으며, 현장에서 신속하게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시스템이 기능을 하지 못한다. 결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실무자를 대상으로 의사결정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실무자는 의사결정의 권한이 없지만, 향후 현장에서 리더의 역할을 수행할 것을 전제로 미리 의사결정에 대한 교육이 전개되어야 한다. 둘째, 의사결정의 단계와 과정을 지방정부 중심에서 조정할 필요가 있다. 각 기관 및 중앙정부와의 지휘체계를 고려하여, 지방정부에서 단계를 마련하고 의사결정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셋째, 책임과 재량, 면책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지휘관 및 관리자에게 역할과 책임만을 강조해서는 안 된다. 의무를 다한 행동에 대해서는 면책 사항에 대한 준비도 필요하다. 사건에 대한 책임자를 찾고 처벌 중심으로 접근하는 위기관리는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focuses on crisis factors and situations that occur in the local community. In a crisis situation, I would like to try to mak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ystem that can quickly identify and respon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Method: The research method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s as follows. Firs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risis management and decision-making is reviewed. The differentiated contents of this study are composed by identifying the main theories and trends of recent studies. Second,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rises and accidents that occur, this study analyzes and discusses previously published data from related organizations. Analyze the safety status of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National Police Agency, National Fire Agency, and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o derive their characteristics. Third, keyword analysis on the field response ability is performed. Analyze the keywords that appear frequently in previous studies, including information reported by various media outlets. Through this, the current situation is checked and the basis for areas that require improvement is prepared. Result: The contents of this study confirmed so far are as follows. First, the stage of recognizing a crisis situation is different for each institution. Police, firefighting,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play a role in safe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ponse to major crises that caused a lot of damage due to worsening of the situation, but it was confirmed that responses to crises differed in the case of small-scale crises. Second, problems with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 local community were identified. The community has a meaning as a space where citizens live, and is important in terms of the site of an incident. There are regional bases for each organization, including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organizations in which citizens participate are also active. However, it is difficult to respond when an actual accident occurs because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each stage are not in a system. Third, the operation of the leadership and the setting of the leader's authority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re insufficient. It is concentrating on the final responsibility, and the operation of a system that can quickly express leadership in the field is insufficient.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policy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ducate practitioners on decision-making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Practitioners do not have the authority to make decisions, but education on decision-making should be developed in advance on the premise that they will perform the role of leaders in the field in the fu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the steps and process of decision-making centered on local govern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command system with each institution and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should prepare steps and establish a decision-making system. Third, responsibility, discretion, and immunity factors must be considered. Only roles and responsibilities should not be emphasized to commanders and managers. Measures of exemption for actions that have fulfilled their obligations must also be prepared. Crisis management that finds the person responsible for the case and approaches it with punishment-centered approach should be improved.

      • 재난피해자의 재해구호물자 활용성 향상을 위한 정책과제

        조민상 ( Minsang Cho ) 한국정책연구원 2020 한국정책논집 Vol.20 No.2

        재난은 예측이 어렵다는 점에서 그 특성을 강조할 수 있다.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발생 빈도와 장소, 규모, 대상 등 다양한 요소에 대한 예측이 불가능하다는 점을 말한다. 따라서 재난관리체계는 종합성을 요구한다고 볼 수 있다. 재난이 발생하면 피해자들에게 현실적인 지원을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에 대한 많은 논의가 있다. 이는 지원 및 보호의 사각지대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전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장의 최우선적 사항으로는 재해구호물자의 지급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진행할 것인가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재난피해자를 위한 재해구호물자의 활용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데 목적이 있다. 재해구호물자의 전달 체계와 구성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활용되고 있는 물품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현장 중심의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 재난의 현장 특성을 고려한 구호물자의 구성이 필요하다. 둘째, 지급 물품에 대한 체크리스트 구성이 필요하다. 셋째, 심리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민간 전문 인력을 활용한 물자 배포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Disaster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difficult to predict. Unpredictability means that it is impossible to predict various factors such as frequency, place, scale, and subjec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requires comprehensiveness. There is a lot of discussion about how to implement realistic assistance to victims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is can be said to presuppose the discussion of ways to minimize the blind spots of support and protection. As a priority for the field, it is important to find a solution for how to efficiently deliver disaster relief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ways to further improve the usability of disaster relief products for disaster vict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ways to further improve the usability of disaster relief products for disaster victims. The delivery system and composition of disaster relief products were examined, and the perception of goods currently being used was analyzed. Through this, a field-oriented improvement plan was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compose disaster relief products in consideration of the on-site characteristics of disast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checklist for items to be paid. Third, a psychological support plan should be prepared. Fourth, a material distribution system using private professional manpower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후보

        효과적 위기관리를 위한 민간경비 활용 방안

        조민상(MinSang Cho) 한국민간경비학회 2016 한국민간경비학회보 Vol.15 No.1

        The Private Security has been evaluated as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the stable life of the citizens in activitie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public security. In addition, private security is working as a client who commissioned the services and activities on safety and risk in a limited range.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elements that difficult to predict a safe life threatening. Crisis appears variously without distinction of domain, and give a serious, severe adverse effects for us. Therefore, crisis management is not to worry about the distinction the area so that real prevention made to requires a change in the various parts. For this reason, the role of private security i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 utilization plan of private security in crisis management, taking into account the comprehensive. First, the way to take advantage of the preventive functions in private security. Second, the activation of the information collecting activities. Thirdly, the plan to prepare the shared channel on the crisis information. Fourth, the plan to carry out crisis management training for private security guards. 민간경비는 공경비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활동으로 국민의 안정 적인 생활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평가되고 있다. 또한 민간경비는 서비스를 의뢰한 고객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특정적•한정적인 범위에서 안전과 위기에 대한 대응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최근에는 안전한 생활을 위협하는 예측 곤란한 요소들이 증가하고 있다. 위기는 우리에게 영역의 구분 없이 다양하게 예측 불가능한 모 습으로 나타나 막대하고 심각한 악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위기관리 의 측면도 영역의 구분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부분에서 현실적 인 예방과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화가 필요하다. 여기에 민간 경비의 역할이 중요성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위기관리의 종합성(comprehensive)을 고려한 입장에 서 민간경비를 활용한 효과적인 위기관리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민 간경비의 예방적 기능을 활용하는 방안이다. 둘째, 정보 수집 활동의 활성화이다. 셋째, 위기정보 공유 채널을 마련하는 방안이다. 넷째, 민간경비원을 대상으로 위기관리 교육훈련을 실시하는 방안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