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0대 학생들을 위한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 설계 및 개발

        조미현 한국정보교육학회 200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1 No.1

        10대 학생들의 지속적인 인터넷 이용률 상승과 높은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율을 고려할 때, 그들이 인터넷 이용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역기능을 최소화하고 긍정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생들은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서 다양한 사회성을 경험하고, 자아성을 탐색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당수의 온라인 커뮤니티들이 사회적인 배려와 관심을 제공하지 못하여 학생들의 가치관 혼란이나 잘못된 행동을 유도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본 연구는 10대 학생들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동시에 그들의 요구를 학습 활동과 연계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에 초점을 두고, 활발한 공동체 활동과 학습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커뮤니티를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커뮤니티는 운영 취지를 소개하고, 알림방, 요구함 등을 제시하는 ‘e-Tivity소개’, ‘이벤트홀’,‘자료파크’,‘e-Tivity센터’ 등으로 구성된 커뮤니티 활동 공간, ‘교사연구실’,‘관리실’로 구성된 교사와 관리자 공간, ‘My Room' 아바타 꾸미기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학생 개인 공간 등으로 구성되었다. Considering the continuous increase of teenagers' Internet use and the high rate of their participation in online communities, educators need to devote efforts to minimize the negative function of teenagers' Internet use and to guide them to experience positive aspects of Internet. Through activities in online communities, teenagers can experience various socialities and explore their self-consciousness. However, on the other hand many communities do not provide teenagers with considerate care. This may cause conflict in their sense of value and mislead them. Through this study, online learning community is designed and developed, which can reflect teenagers' various needs and connect their needs with learning experiences. The community consists of the following categories: 'about e-Tivity'(community vision, general information, list of activities, Q&A), 'activity space for teens'(event hall, data park, e-Tivity center), 'administrative space for teachers and managers'(research room, management room), and 'teen's private space'(my room, my avatar).

      • 국소마취제의 피부수송체를 위한 제제개발 및 평가

        조미현,김동우,박용근,지웅길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2002 藥學論文集 Vol.17 No.-

        For the dermal drug delivery system of local anesthetics (lidocaine HCl, and benzocaine), the drugs were formulated as hydrogel. The experiments of the formulation design were summarized as below, the lipid-water partition coefficients of drugs were evaluated and the vehicles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ethanol, glycerine and various enhancers were prepared for the formulation of hydrogel. After using these vehicles, hydrogel were formulated. The gelling agent was poloxamer 407. The resulting preparations were evaluated using in vitro drug permeation and drug accumulation in hairless mouse skin. The preparations were also evaluated by their viscosity and stability, In addition, using the tail-flick analgesia test, analgesic activity of the gel was compared with that of commercial cream.

      • E-Learning 환경에서의 협동학습 활동 지원 방안 탐구 : 초등 과학과 교수 · 학습 활동을 중심으로

        조미현,박홍식 淸州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1 科學과 數學敎育論文集 Vol.24 No.-

        Although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adopt the cooperative learning method in e-learning environment, not many have achieved their goals. Such failure is mainly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instructional strategies. Focusing on science education,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ity of the cooperative learning. The cooperative method can be utilized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Learning Together(LT), Team-Games-Tournament(TGT), Group Investigation(GI), Jigsaw Procedure, Student Teams Achievement Divisions(STAD), Team Assisted Individualization(TAI), and Cooperative Integrated Reading & Composition(CIRC). In spite of such diversity in its application, little is known on how to implement the cooperative learning method in e-learning environment. On this point, this research synthesizes instructional strategies to implement the cooperative learning method, and suggests detailed instructional strategies to facilitat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learning and discussion. In addition, an e-learning site is designed and developed. Aformative evaluation is also conducted.

      • KCI등재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응적 교수 유형 및 실행의 제약점 분석

        조미현,백성혜 한국과학교육학회 2020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0 No.2

        In this study, we implemented an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responsive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nd analyzed the responsive teaching practices revealed during the program process. Through this, we deriv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identified factors that made it difficult for pre-service teachers to practice, and obtained empirical data on under what conditions the responsive teaching capacity of pre-service teachers was developed. For this purpose, a practice-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and carried out for 14 pre-service teachers who had no experience in responsive teaching. The program consists of four steps; observation of class, practice through rehearsal, application in practicum, and post-reflection on educational practice. In particular,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types of responsive teaching and their detrimental factors revealed during application in practicu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ur types were derived; discriminator type, communicator type, guide type, and facilitator type. Each type was identified as having a common responsive teaching step element. The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for pre-service teacher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tudent-participation class and the educational effect of responsive teaching. However, three barriers that prevented pre-service teachers from responsive teaching practice were also analyzed. First was the pressure to achieve specific learning goals within a given class time. Second was the rigid belief of the fixed curriculum. Third was the obsession that the teacher should lead the clas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responsive teaching ability of pre-service teacher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recognition of breaking out of the thinking the time constraint, the flexibility of the curriculum, and the role of teacher as a class supporter. 본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응적 교수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프로그램 과정 중에 드러난 반응적 교수 실행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반응적 교수 실행의 유형과 유형별 특징을 도출하고, 예비과학교사들이 반응적 교수를 실행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을 확인하여 예비교사들의 반응적 교수 역량이 어떠한 조건 하에서 개발되는지에 대한 경험적 데이터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반응적 교수법에 대한 경험이 없는 14명의 예비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은 수업관찰을 통한 의미구성, 리허설을 통한 연습, 교육실 습에서 적용, 교육실습 사후성찰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교육실습에서의 적용 단계에서 드러난 예비과학교사들의 반응적 교수 유형과 실행의 저해요인에 대해 질적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변별자 유형, 전달자 유형, 안내자 유형 및 촉진자 유형등 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고 각 유형은 공통적인 반응적 교수 단계 요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실행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과학교사들이 학생 참여형 수업의 중요성과 반응적 교수의 교육적 효과를 인식하는 데는 효과가 있었으나, 예비과학 교사들의 반응적 교수 실행의 걸림돌이 되는 3가지 저해요인도 분석되었다. 첫째는 주어진 수업 시간 내에 정해진 학습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는 압박이고, 둘째는 교육과정에 대한 경직성이며, 셋째는 교사가 수업을 이끌어가야 한다는 강박감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의 반응적 교수 역량을 향상시켜 주기 위하여 시간제약에 대한 사고의 탈피, 교육과정에 대한 유연성, 수업지원자로서 교사역할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진로 선택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조미현,서제희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2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0 No.-

        본 연구는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의 학업 성취 및 진로 선택 과정의 이야기를살펴봄으로써 이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고 이들의 고민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S대학 박물관학 연계전공 졸업생인 본 연구자의 경험과기록물을 상기하여 풀어냈으며, 해당 전공 졸업생 3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으로부터 나온 공통적인 내러티브에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먼저, 박물관 연계전공 차원에서 학습자중심 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또한,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대학으로부터체계적인 진로 교육 제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연구 텍스트를구성하는 과정에서 타인의 시선을 통해 자기반성의 시간을 보내고 성숙된 자아를 만들어나갔다. 내러티브를 구성하고 공유하는 과정 안에서 성장을 발견했다는 점으로 이 자체가 이들에게 교육으로 다가갔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를던질 수 있었다. 첫째. 박물관학 연계전공 수업에서 다양한 전공 교과목을 다루고 체계적인 진로 교육의 제공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불안정한 계약 조건과 저임금이당연시되는 업계의 분위기를 반성하고 박물관을 삶의 터전으로 여기어 살아가는 자들에대한 이해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박물관학 연계전공생들의 경험이 그저 소수의 이야기로 그치지 않도록 본인의 경험을 지속적으로 드러내어 개별적인 내러티브 연구 사례의가능성을 열 수 있도록 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환자실 환자의 의료기기 관련 욕창 특성과 위험요인

        조미현,최혜란 한국중환자간호학회 2023 중환자간호학회지 Vol.16 No.2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ressure injuries related to medical devices among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Method : A retrospective study analyzed data from 462 ICU patient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independent t-tests, Fisher’s exact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 Among the 154 subjects, there were a total of 198 medical device–related pressure injuries (MDRPI). Stage 2 and deep tissue pressure injuries were the most frequent. MDRPI occurred most frequently on the face, with nasogastric tubes being its leading cause, followed by endotracheal tubes. The risk factors for MDRPI included male sex (odds ratio [OR]=1.78, 95% confidence interval [CI]=1.12-2.83), department at the time of ICU admission (OR=4.29, 95% CI=2.01-9.15), post-surgery ICU admission (OR=0.43, 95% CI=0.25-0.73), application of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machines (OR=2.72, 95% CI=1.06-6.95), number of medical devices (OR=1.16, 95% CI=1.05-1.30), inotropic drug administration (OR=2.33, 95% CI=1.19-4.60), and sedative use (OR=2.53, 95% CI=1.17-5.45). Conclusion : These results enable the deter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DRPI. It is crucial to acknowledge the risk factors for MDRPI in ICU patients and establish a prevention strate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