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 인성 교육 프로그램 평가 방안 연구

        조난심(Nansim Cho),차우규(Cha Woo Kyu)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3

        최근 우리 사회의 도덕적 위기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학교 교육이 위기를 맞고 있다는 문제 의식이 커지면서, 교육 개혁에 대한 요구는 날로 높아지고 있다. 우리의 교육 개혁 방향은 교육개혁위원회(1995)에서 이미 천명한 바와 같이 인성과 창의성을 기르는 교육으로 요약할 수 있다. 사실, 인성 교육은 교육개혁위원회에서 천명하기 이전부터 우리 학교에서 실시해야 할 중요한 교육 영역으로 부각되어 왔다. 이런 상황에서 인성 교육은 학교 관계자들에게 실천해야 할 당면 과제가 되었으며, 교육연구자들에게는 연구해야 할 대상으로 등장하였다. 특히, 학교 평가 항목에 실천 위주의 인성 교육 실시 여부가 포함되어 있고, 교육부와 교육청에서 인성 교육 우수 실천 사례를 공모하여 시상하는 등의 인성 교육 장려 정책을 펼친 이래로 모든 학교들이 인성 교육 활동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교육의 변화와 도덕.윤리과 교육의 방향

        조난심(Nansim C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5

        이 글에서는 2007년 도덕과 교육과정을 개정․고시한 시점에서 학교의 도덕․윤리과 교육을 좀더 거시적인 한국 교육의 변화 흐름 속에서 살펴보고, 향후 도덕․윤리과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교육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한국 사회의 전망으로 지식기반 사회와 정보화 사회의 고도화, 세계화의 진전, 다문화 사회의 도래 및 학령인구의 급감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회 변화에 대응하여 학교교육에서는 1) 미래사회에 필요한 기초 소양과 핵심능력 육성, 2) 학습자의 교육 내용 및 교육 활동 선택권 확대, 3) 학교교육의 질적 심화와 수월성 교육 강화, 4) 유비쿼터스 기술이 통합된 교수학습 체제 구축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논의하였다. 우리는 도덕․윤리과 교육을 이러한 학교교육 변화의 한 부분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으며, 도덕․윤리과 교육 고유의 상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곧 변화하는 학교교육의 흐름 속에서 도덕․윤리과 교육은 1) 보편윤리의 추구를 확대하여 좀더 폭넓은 인문교육을 도덕․윤리과 교육에 접목, 2)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으로서의 도덕성 부각, 3) 포스트모더니즘적 지향에 대응하여 도덕․윤리과 교육의 접근 방법 및 내용의 변화 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도덕․윤리과 교육의 변화를 위한 연구와 실천 방안으로 도덕․윤리과 교육의 정체성 강화와 도덕․윤리과 교육 연구 외연의 확장 및 고교 수준의 윤리과 교육의 전문성 심화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directions of Moral/Ethics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hanges of Korean education according to the new social trends. Especially,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wa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the year of 2007 the main content was re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social and ethical issues. Nowadays, the social trends like knowledge-based society, information society, globalization, multi-cultural society and rapid decrease of school-age children in Korea has influenced to the school education. Corresponding to the social trends, school education is trying to change. Schools try to foster students' basic literacies and key competencies, to enlarge elective cours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to enhance the quality of school education and excellency education, and to introduce the ubiquitous teaching-learning system. The Moral/Ethics Education is a part of this changing school. And we should consider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in this context. The recommendable future directions of Moral/Ethics Education are as below. 1) integrating liberal education to the Moral/Ethics Education through enlarging the universal ethics education, 2) focusing morality as one of the key competencies for the future society, 3) changing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Lastly, the way of research and practice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was suggested for change. Those were enforcing the identity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enlarging the scope of the Moral/Ethics Education research community, and deepening the depth of high school ethics education.

      • KCI등재

        도덕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조난심(Nansim Ch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6

        시대나 사회에 따라 각기 당대의 도덕적 상태를 개탄하며, 도덕 교육을 강조해 왔다. 그리고 각 시대나 사회는 나름대로의 도덕적 문제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도덕을 설명하는 나름대로의 인식 틀을 가지고 있었다. 맥킨타이어(A. MacIntyre, 1968)는 자신의 윤리사상사에서 이 점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이렇듯 시대나 사회에 따라 도덕을 설명하는 틀이 달라져 왔고, 그에 따라 도덕 교육에 대한 접근도 변화해 왔다. 물론, 윤리학이나 도덕 교육 영역에서의 변화가 자연 과학이나 기술 분야처럼 기존의 지식과 기술의 축적 위에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탄생으로 나타나지 않고, 고전적 입장에 대한 재음미 등과 같이 오히려 예전의 입장이 부활하는 경우도 있으나, 그것이 예전의 것과 완전히 똑같지는 않다는 점에서 꾸준히 변화를 해왔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오늘날 우리의 도덕에 대한 생각을 반영하는 것으로서의 도덕 교육 연구의 최근 변화를 살펴보고 도덕과 교육에의 시사점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중등학교 교실수업에 대한 전문가 인식 조사

        이광우(Lee, Kwangwoo),조난심(Cho, Nansim),김현미(Kim, Hyunm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3 열린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의적 인재 교육을 위해 헌재 적절히 실천하고 있는 중등학교 교실수업과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델파이 조사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적절히 실천되는 교실수업 요인들은 탐구실험학습, 다양한 발상을 자극하는 발문법의 강조, 다양한 확산적 사고 유도, 발표 및 토론학습, 문제에 대한 의건의 확산과 수렴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탐구실험학습과 발표 및 토론학습이 실천되고 있는 정도에 비해 나머지 요인들은 매우 낮은 실천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문제집 혹은 저해 요인으로는 발표 및 토론학습의 여지 부족, 학생 개인차와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교수법, 교육과정 시수의 과다로 학생의 역랑을 키우는 프로그램 부재, 창의성개념 증진 방법 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부족, 학생이 궁금해 하고 질문하도록 하는 발문 부족이 저해 요인으로 드러났으며, 이 모든 요인들이 심각한 수준으로 장의적 인재 교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개선방안으로는 토론식 수업, 주제 중심 프로젝트 학습, 문제 중심 학습, 교사 전문성 발달, 자유로운 학습 분위기가 제 안되었다. 이 중 토론식 수업이 가장 높은 실천도를 보였으나 전반적으로 모든 개선방안들이 매우 낮은 실천도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to the good implementations of, the obstacles to, and the ways of improving instruction for cultivating students' creativity in secondary school. The method of this study is Delphi Techniq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dents perceived the good implementations of instruction for cultivating students' creativity in secondary school, which are inquiring and experimental learning, emphasis on questions that stimulates various ideas, leading to various divergent thinking, using presentation and discussions in classrooms, and the convergence and divergence of opinions on problems. Second, the obstacles to instruction perceived by the respondents are no room for inquiring and experimental learning. teaching method that does not consider individual differences or characteristics, absence of a program that develops students' ability because of excessive time allotted to curriculum, lack of teachers' awareness of a concept of creativity and ways to enhance it, and the lack of questions that causes students to wonder and ask questions. Finally, the ways of improving instruction perceived by the respondents are discussion and debating learning, theme-based project learning, problem-based learn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free learning atmosphe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