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중년여성의 배뇨건강행위 영향요인

        조규영,최원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5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7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urinary health behaviors of middle aged women for providing the basic data to develop urinary incontinence education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7 middle aged women in B city from April 16 to May 16, 2014 and analyzed with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21.0 program. The degree of urinary health behavior appeared to 17.27±4.38 points (out of 28 points). The significant factors of urinary health behaviors were exercise (β=4.076, p<.001), >2ℓ/day water intake (β=2.761, p=.003) and urinary health knowledge (β=.513, p<.001). And these factors explained 42.2% of the variance in urinary health behaviors.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it’s a need to develop the effective urinary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aged women.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배뇨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배뇨건강행위를 촉진하는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는 2014년 4월 16일부터 5월 16일까지 B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중년여성의 배뇨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설명력이 42.2%였으며, 운동유무, 수분섭취가 하루 평균 2ℓ이상인 군과 배뇨건강지식 등으로 나타났다. 즉, 운동을 하고 있는 대상자일수록(β=4.076, p<.001), 수분섭취량이 2ℓ이상일 때(β=2.761 p=.003), 배뇨건강지식이 높을수록(β=.513, p<.001), 중년여성의 배뇨건강행위수준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배뇨건강 증진을 위하여 본 연구 결과의 영향요인을 고려한 배뇨건강지식 향상 프로그램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규영,김윤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4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5

        본 연구는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성 건강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여대생 265명으로 자료는 2014년 4월 2일부터 4월 18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경험 유무, 성역할 고정관념, 성 이중기준, 자기주장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인들은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을 26.1%설명하였다. 즉, 성경험이 없을수록(β=.179, p=.001), 성역할 고정관념 수준이 낮을수록(β=-.302, p<.001), 성 이중기준 수준이 낮을수록(β=-.118, p=.043), 자기주장 수준이 높을수록(β=.218, p<.001)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 수준이 높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따라서 여대생의 성적 자기주장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 변인이 고려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여대생의 성 건강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sexual assertiveness of women college students for providing the basic data to develop sexual education program.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65 women college students in B city from April 2 to 18, 2014 and analyzed with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 21.0 program. The significant factors of sexual assertiveness were intercourse experience (β=.179, p=.001), gender role stereotypes (β=-.302, p<.001), sexual double standard (β=-.118, p=.043), self-assertiveness (β=.218, p<.001). And these factors explained 26.1% of the variance in sexual assertiveness. In conclusi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d a need to develop the effective sexual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se influencing factors for women college students.

      • KCI등재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공동양육이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조규영,김신경,전효정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1

        This study examined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APIM) between parents’ marital satisfaction and coparenting and considered the mediation model with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as an outcome. Using the 7~8th waves of PSKC(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study included 1,555 households with mothers, fathers, and childr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her own and fathers’ coparenting of family integration/coparenting of conflict. However,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associated with his own coparenting of family integration/coparenting of conflict. Fathers’ marital satisfaction was not associated with mothers’ coparenting of family integration, but was associated with mothers’ coparenting of conflict. Mothers’ coparenting of family integr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er own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n’s subjective happiness. These findings emphasized parents’ coparenting and spillover effect between couple relationship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본 연구는 APIM(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을 사용하여 부모의 결혼만족도가 자신과 배우자의 공동양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알아보았다. 또한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에서 공동양육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 7~8차년도에 모두 참여한 어머니, 아버지와 아동으로 총 1,555 가구이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신의 가족통합적 공동양육이 높아지고, 갈등적 공동양육이 낮아지는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상대방효과에서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아버지의 가족통합적 공동양육과 갈등적 공동양육에 영향을 미쳤으며,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어머니의 갈등적 공동양육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결혼만족도와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가족통합적 공동양육의 매개효과만이 유의하다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부모의 성차는 결혼만족도와 가족통합적 공동양육과의 관계 및 부모의 갈등적 공동양육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간의 관계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모의 공동양육의 상호의존성과 가족체계 안에서의 아동의 행복감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을 위한 학교폭력 재발예방 프로그램의 효과

        조규영,김형희,백유진,김윤희 한국자료분석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5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currence prevention program of school violence for adolescents with the experience of bullying on ego-resiliency, self esteem, aggression, depression, social withdrawal, somatic symptoms. Participants included 40 adolescents with the experience of bullying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21) or control group (19). The program was conducted twice a day for a period of 5 day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Mann-Whitney U test,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Wilcoxon signed rank test. Following completion, ego-resiliency (z=4.231, p<.001), self esteem (t=3.635, p=.001) were significantly bet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aggression (t=-2.538, p=.015), social withdrawal (t=-2.385, p=.022), somatic symptoms (t=-4.767, p<.00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refore this approach is recommended as a effective program for prevention of recurrence of school violence for adolescents with the experience of bullying.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재발예방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교폭력의 보호요인인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과 위험요인인 공격성, 우울, 사회적 위축 및 신체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 40명으로 실험군 21명, 대조군 19명이며 학교폭력 재발예방 프로그램은 5일간 1일 2회기씩 총 10회기가 운영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Mann-Whitney U 검정, 독립 t-검정, 짝비교 t-검정,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학교폭력 재발예방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군의 자아탄력성(z=4.231, p<.001), 자아존중감(t=3.635, p=.001)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공격성(t=-2.538, p=.015), 사회적 위축(t=-2.385, p=.022), 신체증상(t=-4.767, p<.001)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학교폭력 재발예방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공격성, 사회적 위축, 신체증상을 감소시키므로 학교폭력 가해경험 청소년들의 학교폭력 재발을 예방하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 기행문 - 스페인에서 본 천재 예술가(藝術家) 가우디(Antoni Gaudi)가 설계.시공한 구엘공원(Park G$\ddot{u}$ell) 주거단지와 경내(境內)에 건설한 석조교량(石造橋梁)에 대한 소고(小考)

        조규영,Jo, Gyu-Yeong 한국건설안전협회 2012 建設 安全技術 Vol.55 No.-

        There is a shround of mystery surronnding Gaudi. In all probability, the first mist preventing us from gaining acess to his work is the intrinstic mysteriousness of all genius and, at the end of the day, of all human spirit. The situation is complicated by the well-known fact that Gaudi wished to creat an aura of silence around his persona, while, at the same time as maintaining this secretiveneness - in other words, the annihiliation of his fundamental values-gave expression and symbolisation to his moods and incerdible mental power. On a piece of land on the Muntanya Pelada, in the Barcelona district of La Salut, Eusebi G$\ddot{u}$ell Wanted to build an urbanisation inspired by the concepe of the garden city. in this he sought to return to nature, health and an escape from the insalubrous industrial city. Gaudi worked on the construction of this park between 1900 and 1914, and even moved his home there in 1906. An outstanding feature of park G$\ddot{u}$ell is the integration of architecture with nature. In other to save the natural slopes, Gaudi built viaducts from brick pillars, which he covered with stone obtained from the excavation.

      • KCI등재

        메타인지 기반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 개발

        조규영,김현섭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8 현장과학교육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과학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메타인지 기반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반적인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바탕으로 과학자기효능감을 정의하고 그 구성요소로 과학자기자신감, 과학수행자신감, 과학성취기대감을 추출하였다. 이어서 메타인지의 자기조절 전략을 활용하여 수업 단계를 준비, 참여, 조화, 평가 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자기-질문을 통하여 자신을 점검하게 하였다. 그리고 수업 단계마다 다양한 성취경험과 대리경험을 제공하고 교사의 긍정적인 언어적 설득과 정서적 대처 훈련을 가미함으로써 학습자의 과학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전략과 수업 과정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교수․학습 전략을 중학교 과학교과‘자극과 반응’ 단원 수업에 적용한 후 과학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설문지 검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메타인지 기반 과학자기효능감 증진 교수․학습 전략 수업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자들의 전체적인 과학자기효능감 증진과 과학자기자신감, 과학수행자신감 요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science self-efficacy in secondary school. For its sake, we have defined the science self-efficacy and extracted components of science self-efficacy from the base on the general academic self-efficacy. There are three components of science self-efficacy: self-confidence in science, performance-confidence of science, and achievement-expectation of science. And then we have developed the instruction process us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to improve science self-efficacy based on the metacogni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In science class, the steps consist of preparing, engaging, orchestrating and evaluating based on the theory of self-regulatory strategy in metacognition, and the students would be checked their accomplishment by themselves through self-questions at each step. Also, there were provided various accomplishment experience, vicarious experience, verbal persuasion, and emotional arousal at each instruction step as strategy to improve the science self-efficacy. These strategies were applied to the 'stimulation and response' unit of middle school science subjects. We analyzed comparatively the result of pretest and post test for intervention group to test the effect in science class on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ce self-efficacy for science performance ability. As a result, There wer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improvement of science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in science, performance-confidence in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