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대두 Trypsin Inhibitor의 간이검정법

        조구형,이춘영,홍종욱,김인수,Jo, Ku-Hyung,Lee, Chun-Yung,Hong, Jong-Uek,Kim, In-Soo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198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18 No.5

        The specific reaction of trypsin inhibitors with trypsin to form stable complexes was successfully applied for detection of trypsin inhibitors in soybean. Soybean extract was treated with $Ca^{++}$ to remove globulin fraction, followed by digestion with trypsin and fractionated by chromatography on Sephadex G-50. The void volume fraction contained the trypsin-trypsin inhibitor complexes as well as trypsin. The trypsin inhibitors were then detected by their molecular weight differences on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in which the complexes dissociate into trypsin and its inhibitors. With the method proposed, trypsin inhibitors were indentified by their ability forming the stable complexes with trypsin and their anti-tryptic moiety. The formation of the complexes with trypsin was further confirmed by two dimensional electrophoresis and DEAE-Sephadex A-25 chromatography. Employing the proposed method, it was found that soybean (Glycine max cv. Hill) contained 7 trypsin inhibitors. Trypsin inhibitor가 trypsin과 안정한 복합체를 형성하고 동시에 일반 단백질은 trypsin에 의하여 가수분해 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trypsin inhibitor를 용이하게 검정 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trypsin으로 가수분해 시킨 대두추출액을 Sephadex G-50을 이용하여 trypsin-trypsin inhibitor 복합체를 분리시킨 후에 SDS 전기 영동으로 trypsin inhibitor를 복합체를 분리시킨 후에 SDS 전기 영동으로 trypsin inhibitor를 검정할 수 있었다. 이들 trypsin inhibitor는 trypsin에 의한 2차 가수분해에서도 가수분해 되지 않았으며, 또한 2차원 전기영동과 DEAE-Sephades A-25크로마토 그래피를 이용하여 trypsin inhibitor가 trypsin과 복합체를 형성하는 능력을 검정함으로써 본 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 방법으로 대두(Hill 품종)의 trypsin inhibitor를 검정한 결과 7개의 trypsin inhibitor를 찾아 낼 수 있었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원불교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인주 ( In Ju Cho ),구형선 ( Hyoung Sun Goo ) 한국신종교학회 2012 신종교연구 Vol.27 No.-

        본 연구는 원불교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 정도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생활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출가교역자 60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조사하였다. 생활만족도에 관한 독립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개인적 특성, 종교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적으로 생활만족도는 평균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남성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 전체평균이 여성에 비해 다소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는 남성 출가교역자의 경우, 우울, 주관적 건강평가, 상급자 만족도, 직무만족도, 급여만족도, 신앙·수행생활 만족도가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출가교역자의 경우, 우울, 주관적 건강평가, 사회적지지, 직무만족도,급여만족도, 신앙·수행생활 만족도가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바탕하여 원불교 출가교역자의 생활만족도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in Won-Buddhist ministers. In this study,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data collected from 601 Won-Buddhist ministers residing in Korea and overseas countries were analyzed. This study examined how socio-demographic, personal,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in Won-Buddhist minist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spondents`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above the mean. However, the male respondents` level of life satisfaction is higher than the female respondents` level of it.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the male respondents revealed that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superiors`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llowance(salary)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in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ls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or the female respondents revealed that depression,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job satisfaction, allowance(salary) satisfaction,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in religious faith and practic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es to increase life satisfaction of Won-Buddhist minist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구형선(Gu Hyung seon),최혜순(Choi Hye sun),인주(Cho In ju)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6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마음챙김, 그리고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그 경로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이었다.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였다. 총 1,300부의 설문지가 배부되었고, 1,269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그 중 응답이 불충분한 58부를 제외한 1,211부가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생활스트레스는 정신건강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었다. 이는 생활스트레스를 많이 경험할수록 정신건강이 악화됨을 의미한다. 또한, 생활스트레스는 마음챙김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마음챙김은 정신건강에 부적인 영향을 미쳐 마음챙김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생활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마음챙김 정도가 낮았으며, 마음챙김 정도가 낮을수록 정신건강이 악화됨을 의미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indful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is topic, we specified a research model and tested hypothesized paths on mental health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llege students in Jeonbuk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nd a total of 1,30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Data were collected from 1,269 college students from six universities in Jeonbuk area. Fifty-eight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because of the unreliable responses, and the final data included 1,211.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tress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mental health and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mental health through mindfulnes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mplications for practice to improv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인주(Cho, In Ju),도향선(Do, Hyang Sun),구형선(Goo, Hyoung Su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생활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신체활동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경로과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6개 대학교의 대학생들을 편의표집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방법으로 수집하였다. 배부된 설문지는 총 1,000부이고, 회수된 814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충실한 799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 검증결과, 생활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자아존중감은 정신건강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생활스트레스는 신체활동에 부적인 영향력을, 신체활동은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력을, 자아존중감은 정신건강에 부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생활스트레스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반면, 생활스트레스는 신체활동에 부적인 영향력을 나타냈으나, 신체활동은 정신건강에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athways among stress, physical activity, and self-esteem on mental health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is topic, we specified a research model and tested hypothesized paths on mental health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survey data of 799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Jeonbuk area was used for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th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had a good fit to the data. Among many hypothesized paths in our research model, str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mental health through physical activity and self-esteem in college students. Also, the path from stress to mental health was significant. However, the path from physical activity to mental health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mplications for practice to improv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were discussed.

      • 연구소보 발간 10 주년 연구논문 모음집:1985 년도 전문학술지 게재 논문;마찰반응계에서 전분질의 무증자당화에 관한 연구

        이용현,조구형 경북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5 遺傳工學硏究所報 Vol.10 No.1

        The saccharification of uncooked starch was carried out in an attrition-coupled reaction system. The mechanical movement of the milling-attrition media contained in the starch slurry enhanced the hydrolytic action of the starch Iiquifying and saccharifying enzymes significantly. I he enhancement may be due to the attrition effect rather than the mill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ie enzymes were relatively stable even under the attrition state. In the case of the naked barley powder, both saccharification rate and sugar yield were improved compare with conventional cooking saccharification method. The effectiveness of the various milling media, such as, glass bead, polyacetal bead, and teflon bead were evaluated. Even at the concentration as high as 38 % (w/v). the starch can be effectively hydrolyzed in an attrition coupled reaction system. Although further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to evaluate [lie feasibility of its commercialization, this novel system provides an improved method for the saccharification of starch without cooking.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성장기 아동학대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이정숙(Jeong Sook Lee),구형선(Hyoung Sun Goo),인주(In Ju Cho)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1 No.1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성장기에 부모로부터 받은 아동학대 경험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가족지지, 친구지지,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경로과정을 검증하였 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지역 5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로 설문조사에 응답한 총 1,329명의 설문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본 연구를 위해 수립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이 모두 료에 적절한 모형 적합도를 보였다. 연구모 형에서 수립한 다양한 경로들 가운데 아동학대 경험은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학대 경험은 가족지지, 친구지지, 자아정체감을 통해 우울 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동학대 경험이 친구지지와 자아정체 감 각각에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 한편, 가족지지는 친구지지에 영향을 미쳤지 만, 친구지지가 우울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 생들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함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pathways among child abuse experience,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and self-identity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is topic, we specified a research model and tested hypothesized paths on depress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survey data of 1,329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Jeonbuk area was used for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th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had a good fit to the data. Among many hypothesized paths in our research model, child abuse experience by father and mother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Also, child abuse experience by father and mother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depression through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self-identity. However, the path from child abuse experience by father and mother to friend support and to self-identity, respectively, was not significant. The path from family support to friend support was significant, but the path from friend support to depression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study findings, implications for practice to improv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