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스트콜로니얼리즘의 유산과 탈식민 프로젝트

        조관자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23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22 No.1

        Today, with conflict and poverty continuing in some areas that were colonized in the past, postcolonialism is criticized for neglecting and avoiding the real problem of colonization. The colonial issue in reality appears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regional situation in Asia, Africa, and South America and the historical and political environment of each country. However, how to solve the task of ‘decolonization’ is also a test bed to reach human independence and liberation, human progress and peace. In this article, I looked at what kind of discussions were produced and what kind of social intellectual changes occurred in Korea, Japan, and India, where postcolonialism was accepted. Observing the difference, we will have to practice together for decolonization on a global level. Research for decolonization is not just an activity to criticize the past full of deficiencies and contradictions or to resist the ruling power. When postcolonial intellectuals try to change the world right by finding a solution to the problem connecting the colony and the empire, true ‘independence’ will be achieved. This article suggests the practical direction.

      • KCI등재

        일본의 내전과 내셔널 히스토리의 변주

        조관자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7 일본사상 Vol.0 No.33

        After the Opium war, in the pressure of Western imperialism, Asians were forced to change their political and social systems. In the midst of that, the modern era of Japan started with a civil war and ended in defeat. The movement for Sonnō Jōi (; revere the Emperor, expel the barbarians) opposed the diplomacy of opening the country by the Shogunate, overthrew the shogunate. As a result, the Meiji Reformation began. The Meiji Reformation was not the "start" of modernization but the "result" of the opening and reform by the Shogunate. How will Japan carry out the civil war after the appearance of the Black Ships ? In this paper, I broke the historical stereotype called "the Wartime period" in Japan and consider the historical process from the end of the shogunate. Japan made a strategy of militarily protecting the Korean Peninsula for the defense of his country, causing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In Korea, research interest was focused on that offensive imperialist war. However, I will reconsider the dynamism of Japanese history from the viewpoint of civil war, while looking at the historical events that penetrated colonies and empires at the same time. The purpose is to overcome the conflict of nationalism in the recognition of the history of Japan and Korea, and to cultivate a common mission awareness. 아편전쟁 이후 서구 제국주의의 압박 속에서, 아시아인들은 체제 변혁의 위기를 맞이했다. 그 와중에 일본의 근대는 내전으로 시작해서 패전으로 끝났다. 막부의 개국에 존왕양이파가 반발하여 투쟁한 결과, 메이지유신이 실현되었다. 메이지유신은 근대화의 ‘시작’이 아니라, 막부의 개국과 개혁의 ‘결과’였던 셈이다. 흑선 출현 이후에 일본은 어떻게 내전을 수행하게 되는가? 본고는 일본의 ‘전시기’라는 역사적 고정관념을 벗어나, 그 역사적 과정을 막부 말기에서부터 살펴 볼 것이다. 일본은 자국 방위를 위해 한반도를 무력으로 방위한다는 전략을 세우고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일으켰다. 한국에서의 주요한 관심은 주로 공세적인 제국주의 전쟁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본고는 조선과 일본을 동시에 관통했던 시대적 과제를 돌아보면서, 일본사의 역동성을 내전이란 측면에서 재고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일의 역사인식에서 민족주의 충돌을 극복하고, 공통의 시대적 소명의식을 함양하는 것에 있다.

      • KCI등재

        제국일본의 로망과 동아시아 민족주의 - 일본낭만파에 대한 기억, 1950 ~1960년대

        조관자 서울대학교 일본연구소 2010 일본비평 Vol.- No.2

        일본낭만파(Nihonromanha)는 1930년대 이래 일본의 반근대적 주체성을 추구한 대표적 운동 이다. 이 글은 일본낭만파에 대한 기억이 아시아주의와 관련하는 양상을 고찰했다. 중국혁명과 한국전쟁, 베트남전쟁으로 이어지는1950~60년대에 아시아 민족주의가 고양되었고, 일본에 서는 일본낭만파를 재인식하는 담론이 활발하게 나타났다. 일부 공산주의자와 민족주의자들 은 GHQ하의 평화적 민주화를 거부하고, 일본 민족주의의 딜레마를 해소하기 위해 모택동주 의에 의거했다. 그들은 서구식 근대화에 저항하는 ‘아시아적 주체’를 세우려고 했다. 그래야만 서구근대의 ‘노예’라는 일본민족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 KCI등재

        일본의 교육개혁과 기업의 사회교육 - 청소년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실천적 모색

        조관자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翰林日本學 Vol.- No.40

        현대 일본에서는 공공정신과 전통계승을 강조하는 교육개혁이 시도되고 있다. 동아시아 차원에서 그것은 애국심을 강요하는 국가주의로 비판받아 왔다. 그러나 본고에서는 청소년 문제의 심각성에 주목하고, ‘사람 만들기, 인간성의 완성’을 위한 교육개혁의 필요성과 공-사의 관점을 새롭게 검토하고 있다. 특히 본고는 청소년 문제와 가족의 붕괴에 대응하여, 혈연 가족을넘어서는 ‘사회가족’을 형성할 것을 제안했다. 이 연구는 나아가 민주주의와 국가주의의 논쟁구도를 넘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교육의 필요성을 환기하고 있다. 기업은 지역사회와의 연계 및 협력을 통해 사원들의 연구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고, ‘사회가족’의 모범적 사례를만들 수 있다. 이러한 사회교육을 통해 우리는 사(私)의 활력을 일으켜 공(公)의 가능성을 확장시키고, 복지사회의 기초를 다질 수 있다. 기업이 사회교육을 수행할 때 청소년 문제와 고령화 사회의 문제까지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나카가미 겐지의 ‘골목’:배타적인 ‘타계’

        조관자 한국언어문화학회 2019 한국언어문화 Vol.0 No.68

        This article considers the story of the alley in the novels by Kenji Nakagami,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person reproduced in his novels and the phases of times. The alley means the village of discriminated peoples (Hisabestu-Buraku). Nakagami built a unique aesthetic about the alleys, taking the cultural style of the new leftists who were denying the lineage and authority in the late 1960’ of Japan. The aesthetics is constructed by absorbing the legend of the other world that the dead are reincarnated. Previous studies have read the ‘alley’ as a place linked to the “Asian tragedy” or “quasi-peripheries” in the Third World. However, Nakagami’s “alley” remained in the Japanese phase of the 1960s-1970s. The “alley” in Kumano is a closed place that refuses to coexist with others. Nakagami could not find a way out of bondage from the lineage and the times. Because he could not move on to the future, the protagonists of the work are repeating the “miserable death”. 본고는 소설에 재현된 타자와 시대상의 관계에 주목하면서, 나카가미 겐지의‘골목’ 이야기를 고찰한다. 골목은 피차별 부락을 의미한다. 나카가미는 1960년대후반, 혈통과 권위를 부정하는 신좌익의 문화적 스타일을 취하면서, 골목의 독자적인 미학을 구축한다. 그것은 죽은 자가 환생하는 타계(他界)의 전설을 흡수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선행 연구는 ‘골목’을 제3세계의 ‘준주변’ 또는 ‘아시아적 비극’ 과 연결되는 ‘타계’의 장소로 읽었다. 그러나 나카가미의 ‘골목’은 1960-1970년대일본의 시대상에 머물러 있다. 구마노의 골목은 타자와의 공존을 거부하는 폐쇄적인 장소다. 나카가미는 혈통과 시대의 구속력에서 벗어나는 길을 찾지 못했다. 그가 미래로 나아갈 수 없었기 때문에, 그 작품의 주인공들은 ‘비루한 죽음’을 반복하고 있다.

      • KCI등재

        일본 신좌익의 전후민주주의 비판과 ‘조반 운동’

        조관자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018 일본사상 Vol.0 No.34

        한국에서는 일본의 신좌익이 ‘일본의 양심’을 대표하며 일본의 ‘우경화’와 맞서는 세력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신좌익은 일본의 전후민주주의를 비판함으로써 오히려 오늘의 사상적 혼돈과 변화를 재촉한 세력이기도 하다. 신좌익이 일본의 국민적 의지를 대표하기에 충분한 내용을 담고 있는 것도 아니다. 이 글은 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벌어진 인식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일본 신좌익의 족적과 당대의 이념을 살펴본다. 특히, 동아시아의 내셔널리즘과 맥락을 공유하면서, 일본 신좌익의 마오이즘과 폭력운동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1960년 안보투쟁 후에 신좌익은 의회제와 시민 민주주의를 비판하는 혁명론을 펼쳤다. 리버럴리즘을 모두 비판한 신좌익 혁명론 중에서도 마오이즘을 수용한 세력의 활동이 동아시아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속되고 있다. 필자는 먼저, 신좌익과 전공투의 차이를 밝히고, 폭력을 긍정하는 그들의 사상적 배경을 고찰한다. 거기에는 ‘패배’의 감정을 각인시킴으로써 ‘저항’을 촉구하려는 반어법이 관철되고 있다. 이러한 저항 내셔널리즘은 중국의 근대와 마오이즘을 수용한 다케우치의 사상과 직접 연결되는 것이지만, 다케우치가 신좌익의 사상을 대표하지는 않는다. 이 글은 마오이즘을 수용한 신좌익 논객으로 쓰무라 다카시의 활약에 주목하고 있다. In Korea, Japan’s new left wing is known as a force opposing “right turning” on behalf of “conscience of Japan”. However, today’s thoughtful chaos is also a result inspired by the new leftist’s criticism on the postwar democracy in Japan. The new leftist does not represent Japanese society and national will. However, in Korean society, Japanese new leftist’s opinion are widely accepted, but understanding of their history and thought is insufficient. Since the opposing struggle to the adoption of the revised Treaty of Securi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1960, the new left wing has criticized civil democracy and developed a radical revolution theory. In this paper, I focus on accepting Maoism in their revolutionary theory. First, I will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 left wing and the Zenkyoto, and consider the background of their thought affirming violence. The irony is penetrated by letting the emotion of “defeat” that promoting “resistance” there. Such nationalism of resistance is also directly connected with thought of Kaoru Takeuchi who accommodated Mao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