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金日磾 관련 논의의 현 단계와 새로운 이해의 방향

        정훈식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2 No.-

        This paper was written to suggest the necessity of advanced research on Kim Il-Je(金日磾) in Korean Studies. I looked at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on Korea and China related to Kim Il-Je(金日磾) and sought the possibility of joint research on Kim Il-Je(金日磾) in East Asia. Then, I proposed a new point of view related to Kim Il-Je(金日磾). First, I proposed a new understanding of ‘Jin-ji-mang-yin(秦之亡人)’ written in SamgukYusa(三國遺事). I also introduced a new discussion on the identity of the ‘Geum-yin(金人)’ that King Hu-Jeo(休屠王) had. This suggests the need for a new research on Kim Il-Je(金日磾). 이 글은 한국학에서 金日磾를 새롭게 연구해야할 필요성과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우선 김일제를 인식하는 두 견해에 대하여 모두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지지부진한 논의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가설적 추론을 소개하였다. 김일제는 『漢書』에 전해오는 인물이지만, 「文武王陵碑」에도 기록된 문제의 인물이다. 더구나 金閼智를 신라 김씨의 시조로 알고 있는 역사상식과 전혀 달라 비문을 발견하면서부터 의혹의 중심이 되어왔으나 이에 대한 견해는 대체로 둘로 나누어진다. 한쪽은 김일제가 한무제시기 포로로 잡혀온 匈奴 休屠王의 아들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신라의 김씨들이 흉노족의 후예들이라고 보는 견해다. 다른 한쪽에서는 비문의 내용을 사실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김씨왕족들이 자신들의 선조의 권위를 과장하기 위해 내세운 허구적 조상이라고 본다. 두 견해 사이에 사실 접점이 없어 서로 토론이 잘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는 논의의 전환을 모색하기 위해 인식론적 근거를 재검토하고 새로운 논제를 제시했다. 우선 『三國遺事』에도 ‘秦之亡人’이라는 기록이 있는 만큼, 진한교체기 인구 이동의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이에 바탕을 두고 「문무왕릉비」에서 언급된 휴저왕의 ‘金人’을 폭넓게 고찰할 필요가 있으며, 휴저왕이 흉노영역으로 도망간 진시황의 후예나 혹 진나라 귀족이며 이들이 진시황이 천하통일 후 만든 금인을 모방하여 제작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물론 이는 어디까지나 가설이다. 이러한 가능성까지 열어두고 김일제와 관련한 기록을 재검토하고 유적 등을 새롭게 발굴 조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를 보다 포괄적이고 심층적으로 연구할 방향설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朴趾源의 古董書畵 인식과 鑑賞之學

        정훈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9 한국문화 Vol.0 No.88

        The article aims to re-examine Park Ji-won’s records on antiquities, calligraphy and painting(古董書畵) left behind and discuss art criticism(鑑賞之學) in detail. Park Ji-won(1737-1805) has written a wide range of observations on antiques and art works and his thoughts on them in Yeonam-jip and Yeolhailgi. First of all, Park Ji-won diagnosed the trend of collecting antiques and art works that rapidly flowed from China and spread widely around Seoul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nformation o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which is the basis of antique and art flavoring, was recorded in detail. In addition, Park Ji-won wrote about the qualities that enthusiasts need to enjoy antiques and artwork. Park aimed to remind Joseon’s antique and artwork lovers that the important thing in enjoying antiques and artworks is art appraisal and CheongGong(淸供). Park’s record on antiques and art works is at the heart of the reconstruction of art criticism. First he tried to break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antiques were auspicious. He then suggested that the culture of enjoying antiques and art works as a medium for measuring the situation in China, not only in aesthetic areas. Finally, Park Ji-won discussed art criticism compared to nine grades official selection system(九品中正). Through this perspective, he was wary of the independence and ahistoricity of art. This marks a very unique status in the logical geography of Joseon’s artistic criticism at the time.

      • KCI등재

        朝鮮後期 燕行錄에 나타난 遼東

        정훈식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7 한국민족문화 Vol.29 No.-

        This paper is aimed at reviewing various aspects of discourse on Liantong of the period through Liaotong-related text in yeonghaengnok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The discourse on Looting was spread especially after Pyeongja Hoarn- Manchu's invasion in 1636-, and it was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the yeonhaengnok. We can see three aspects in the discourse of Liaotong that was captured in Yeonhaengnok. First, It is the memorial discourse of the ancient territory. The recognition the fact that Liantong was our ancient territory was rapidly spread while Yeonhaengsa traveled through the Liaotong area. This was successfully applied to forget the disgrace of the Manatee's invasion. Secondly, It's the discourse on space of Liaotong. This focused on examination of the space meaning for the Liaotong with experience of prosperous street and vast open field. Through this effort, they had confirmed the Liaotong as the space of communication, which Chosen could be connected to the world. Lastly, It's the discourse on the history of Ming-Ching war. The discourse on finding out the origin of Liaotong's political situation was found when passed on the Ming-Ching war area. this discourse tried to find out the way of Chorine's right recognition of Liaotong political situation analyzing the reason for the shift of Ming-Ching Dynasty unlike the effort to overcome the disgrace of Manta's invasion through the memory of the ancient territory. As explained above, we confirm that the discourse of Liaotong of the latter period of Chosen Dynasty does not merely rely on the memory of the ancient territory like the one of Koguryo.

      • KCI등재

        조선시대 대일사행과 울릉도⋅독도

        정훈식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9 독도연구 Vol.- No.27

        이글은 조선시대 대일사행기록에 나타난 울릉도와 독도 관련 기록을 살펴본 논문이다. 울릉도 독도 관련 기록은 1617년 회답겸쇄환사 종사관 이경직의 『扶桑錄』과 1719년 통신사 필담창화집 『桑韓星槎餘響』, 그리고 계미통신사행을 통해 저술된 성대중의 『日本錄』과 원중거의 『和國志』, 마지막으로 1882년 수신사행을 기록한 박영효의 『使和記略』에서 확인된다. 비록 소략하지만, 울릉도 독도에 대한 대일사행의 인식과 대일사행이 오간 시대의 양국의 인식을 동시에 살필 수 있는 소중한 기록이다. 먼저 이경직의 『부상록』에 보이는 기록은 임진왜란 이후 대마도의 이중적 행태를 알 수 있게 해준다. 전후 공식적으로는 두 나라의 국교재개를 위해 가교역할을 하면서도, 선초부터 드러낸바 있는 울릉도를 점거하려는 욕망을 숨기지 않고 있는 대마도를 분명히 인식케 하는 기록이다. 둘째로 필담창화집 『상한성사여향』에 보이는 조선지도는 울릉도 우산도를 명칭과 함께 분명하게 표기해둔 기록이다. 이는 당시 에도시대 막부와 긴밀히 관계 맺고 있는 이들이 간행한 책이라는 점에서 당시 일본의 영토인식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는 기록이라 할 수 있다. 다음, 계미통신사 사행원으로 일본을 다녀온 성대중과 원중거의 기록에 나오는 울릉도ㆍ독도 기록은 안용복, 대마도 관련 내용과 얽혀 전한다. 사행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대마도의 농간을 고발하는 과정에서 과거 안용복의 울릉도 도해 사건이 다시 호명된 것인데, 곧 두 사람은 조선이 앞으로 일본과 대마도를 구별해서 봐야 하며 특히 대마도를 경계해야 한다는 논리를 펼쳤다. 대마도가 울릉도를 점거하려는 야욕을 안용복이 꺾었기 때문에 특별히 기록하였다. 마지막으로 박영효의 『사화기략』에 전하는 기록은 에도막부의 울릉도 도해금지령이 메이지유신이후 해이해져 울릉도ㆍ독도로 도해하는 일본인이 빈번히 발생하는 상황과 맞물려 있다. 이 시기는 메이지 정권이 울릉도ㆍ독도에 관해 에도막부의 정책을 계승하고 있는 시기임을 반영하지만, 머지않아 독도 점거를 감행하는 메이지정권의 조치를 예견하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기록은 오늘날 독도와 관련하여 한⋅일간의 갈등이 지속되는 시점에서 근원적 해법을 모색하는 데 의미 있는 지혜를 제공하는 자료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cords related to Ulleungdo and Dokdo in the records of diplomatic missions to Japan during the Joseon Dynasty. Records related to Ulleungdo and Dokdo were recorded in Busangnok written by Lee Kyung-jik, who visited Japan in 1617, SangHanSungSayeohyang, the Collection of written conversations and poems on diplomatic missions in 1719, Ilbonnok written by Sung Dae-Joong, and Hwagukji written by Won Joong-Ger on diplomatic missions in 1763, and It is confirmed in Sahwagiryak written by Pak young-hyo in 1882. Although this record is brief, it is a valuable record that can recognize both Japan's perception of Ulleungdo and Dokdo and both Japan's perceptions of the Ogan era.

      • KCI등재

        北京學의 시각에서 본 조선 후기 燕行錄 I-筆記雜錄의 시기별 고찰을 중심으로-

        정훈식 한국고전번역원 2023 民族文化 Vol.64 No.-

        This paper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Peking in the P’ilgi Chaprok in Yeonhaengrok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transformation of Peking from the capital of the Ming Dynasty to the capital of the Manchu Qing dynasty gave late Joseon intellectuals the opportunity to thoroughly rethink the significance of Pek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re were an increasing number of records that categorized and organized various long and short descriptions of Peking based on visits and stays in Peking, and the descriptions became more extensive as time passed. As a result of organizing and examining in overview approximately 50 texts from the time period, we found that in the 17th century, there was a tendency to perceive Peking in a negative manner based on ideas against the Qing, but in the 18th century, when the Qing dynasty continued, there was a growing trend to re-perceive Pek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d reality,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a remarkable school of thought called the Bukhak school(北學派). Their thesis was based on the accumulated achievements of Pekingology, which sought to understand Peking in a realistic and impartial manner, but the school was especially prominent in the recognition of Peking as the center of the Chinese civilization and the need to learn from Peking, which influenced the Joseon Dynasty. The nineteenth century was the most prolific period for miscellaneous records, and by this time, the level of classification and organization of Peking had advanced remarkably, reaching the stage of thorough and in-depth descriptions of Peking. From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journals represent a concrete process of expanding knowledge through a proper understanding of Peking and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Pekingology. 이 논문은 조선후기 연행록 소재 필기잡록에서 북경이 어떻게 기록되어 왔는가를 살핀 글이다. 대명의 수도에서 만주족 청의 수도가 된 북경은 조선후기 지식인들에게 전면적으로 새롭게 생각해야 할 대상으로 바뀌었다. 조선 후기 연행록에는 북경에 체류하는 동안 견문을 바탕으로 북경을 길고 짧은 여러 내용을 내용을 항목별로 분류하여 정리한 기록이 시간이 갈수록 점차 많아지고, 記述의 수준이 높아진다. 대략 50여 편에 이르는 텍스트를 대상으로 항목을 정리하고 개략적으로 살핀 결과, 17세기에는 숭명배청 사상에 바탕을 두고 부정적으로 북경을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강건치세가 이어지는 18세기에는 변화된 현실에 맞게 북경을 재인식하고자 하는 흐름이 커져, 이 가운데 일부는 북학파라는 주목할 만한 학파를 형성하였다. 이들의 논지는 그간 북경을 현실에 부합하고, 공정하게 북경을 이해하고자 하는 북경학의 축적된 성과를 바탕으로 하되, 북경을 문명의 중심지로 인정하고 북경을 배워야 한다는 의론을 특히 두드러지게 내세워 조선의 조야에 영향을 미쳤다. 19세기에는 필기잡록체 기록이 가장 많이 저술된 시기로, 이 시기에 이르면 북경을 분류하고 정리하는 수준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북경에 관하여 거의 전면적이고 심층적으로 기술하는 단계에 이른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연행록은 북경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한 지식의 확대와 북경학의 성립과 발전의 구체적인 과정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사행록의 역사적 전개와『일동기유』

        정훈식 열상고전연구회 2007 열상고전연구 Vol.26 No.-

        사행문학의 역사적 흐름에서 보면 수신사행록은 통신사행록의 전개가 거의 종결되고 근대적 기행문으로 변화되기 시작하는 이행기 기행문의 한 갈래라 할 수 있다. 사행왕래의 기간이 짧고 그 기록도 많지는 않지만, 전근대 해외 사행록의 소멸과 근대적 기행문의 탄생이라는 전환 시대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수신사행록은 매우 중요한 위치에 놓여있다. 국문학에서 수신사행록에 대한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한 편이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최초의 수신사행록인 일동기유를 중심으로 사행록의 지속과 변모라는 관점에서 그 현상과 요인을 다시 고찰해 보았다. 일동기유는 사행록의 전형적 모습을 따르고 있지만, 변화된 사행의 조건에서 사행록의 말로를 예견케 하는 대목들이 산견된다. 새로운 운송수단 등 사행의 여러 조건과 양상이 달라져 이것이 사행기록의 글쓰기에 어느 정도 영향을 끼쳤다. 또한 사행에서 중요한 문화적 교류였던 시문창화가 수신사행록에서도 이어졌지만 그 양상은 조선통신사와 비교했을 때 사뭇 달랐다. 이렇게 사행록의 여러 성격이 변화한 것은 세계사적 범위에서 일어난 역사적 격변에 기인한다.또한 그동안 일동기유를 다룰 때 중요하게 논의되었던 일본인식의 문제도 다시 살폈다. 사실 이 시기 조선은 여전히 중세체제에 머물러 있었으며 일본은 이미 근대라는 시간으로 건너가 있었다. 따지고 보면 수신사행은 일본이라는 공간을 여행한 것 외에 근대라는 시간여행을 한 셈이다. 근대 일본에서 사행을 수행하는 동안 일본은 조선에 근대로 이행할 것을 줄기차게 강요하였다. 일본은 조선으로 하여금 자국의 근대화를 두루 유람하고 이것을 적극 수용할 것을 요구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중세 지식인의 관념과 시각으로 근대일본을 온전히 이해한다는 것 자체가 사실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수신사행록 일동기유는 조선의 근대 수용전후의 인식의 양상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