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여성의 애도중심 미술치료 개인 사례연구

        정효윤,김유정 한국예술치료학회 2021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애도중심 미술치료가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여성의 애도와 우울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 살펴보 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반려동물을 상실한지 2개월된 38세 기혼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 여 Kübler-Ross의 애도과정 5단계를 바탕으로 구성한 애도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2019년 4월 4일부터 2020년 1월 30일까지 주 1~2회, 한 회기 당 70분 내외씩 총 34회기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반려동물 애도 척도(PBQ)와 한국판 벡 우울척도 2판(K-BDI-Ⅱ)을 사전・사후・추후 비교, 분석하였으며, 투사검사는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TP)를 사전・사후・추후 질적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회기별 미술치료 관찰기록지 를 통해 회기와 단계별로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 애도의 비애/슬픔, 트라 우마, 죄책감 영역 점수가 감소되었고, 성인여성의 우울 점수가 크게 감소되었다. 이는 그림검사(HTP)에서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어 애도중심 미술치료가 성인여성의 애도 완화 및 우울 감소에 긍정적 변화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여성의 애도중심 미술치료 회기 및 단계에 나타난 애도와 우울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미술치료 작업과정과 결과물을 통해 반려동물 상실에 대한 현실 수용 및 새로운 삶의 의미를 통찰하였다. 또한 우울감의 변화를 자각하고 일상생활을 회복하여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음을 볼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반려동물을 상실한 성인여성의 애도 완화와 우울 감소에 대한 애도중 심 미술치료의 가치를 제시하였으며, 미술치료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 및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grief-focused art therapy on grief and depression in an adult female who has lost her companion animal. For this study, a 38-year-old married woman who had lost her companion animal two months ago was selected as the subject and was conducted a grief-focused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the five stages of grief model of Kübler-Ross 1-2 times a week: 70 min., per session and 34 sessions in total from April 4, 2019, to January 30, 2020. As study tools, Pet Bereavement Questionnaire (PBQ) and Korean Version of Beck's Depression Inventory Version II(K-BDI-II) were used for pre-, post-, and follow-up comparisons, and as a projective test, House-Tree-Person (HTP) was used for pre-, post-, and follow-up qualitative comparisons. In addition, each session and each stage of the program was analyzed qualitatively with session-specific art therapy observation record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in the domains of grief/sadness, trauma, and guilt decreased, and the score in adult female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This change can also be found in HTP, which suggests that grief-focused art therapy positively influences adult female grief alleviation and depression reduc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in sessions and stages of grief and depression in an adult female who had lost her companion animal, it was found that she could accept the reality of her loss of companion animal and discern the meaning of new life through the art therapy process and the outputs. Positive changes emerged as she perceived the changes of depression and returned to everyday lif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effectiveness of grief-focused art therapy for an adult female who has lost a companion animal to alleviate grief and reduce depression. In this regard,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provided the fundamental data for both feasibilities in the art therapy settings and follow-up studies.

      • KCI등재

        차량 부품 고장 상태 분석 방안에 대한 사례 연구

        정효윤,장명훈,전홍배 한국CDE학회 2019 한국CDE학회 논문집 Vol.24 No.3

        Sudden vehicle problems during its operation cause great damage to the driver. In this vein,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conditions of critical vehicle parts and take the suitable actions in adva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ditions. These days the development of ICT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oT (Internet of Things) enables us to collect health status data and environmental data of vehicle parts, which leads to take much concern on Condition- Based Maintenance (CBM). In this study we will propose an approach to identify the fault status of the ignition plug in the vehicle’s engine part based on the gathered part status data.

      • KCI등재

        高句麗ㆍ倭의 전쟁과 외교

        정효윤(Jung Hyo-oon) 고구려발해학회 2006 고구려발해연구 Vol.24 No.-

        Researcher tried to think for war of two countries through the foreign relationship Koguryo and Yamato from East Asia situation in this paper. At first, the Yamato was not close by Koguryo geographically. Therefore, the purpose of character of two countries' war was not conquest for a territorial expansion and a scramble. As a result, as for the participation in a war of Yamato, it is considered that the side to call the dispatch of troops of war was strong in war with Koguryo of Kudara. In addition, it was unfolded on the side of limited war than a range of war developed overall. Koguryo and war and diplomacy of Yamato show the characteristic that there is entirely through Kudara. This is a result by an element of geopolitics, but it cannot be said that diplomacy of the two countries including war was decided by the foreign policy of Kudara. Because the reason is why Koguryo and a national interest of Yamato acted on there with precedence.

      • KCI등재
      • KCI등재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들의 복지 의존성에 대한 사회복지공무원들의 인식유형

        정효윤 ( Hyo Yoon Jeong ),신원식 ( Won Shik Shi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論叢 Vol.41 No.-

        이 연구의 목적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들의 복지 의존성에 대한 사회복지공무원들의 주관적 인식을 파악하고, 인식유형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수급자 복지 의존성 감소와 공공부조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회복지공무원 18명을 대상으로 40개의 진술문을 가지고 Q 분류를 한 결과, 인식유형은 네 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제도적부작용형 은 복지 의존은 공공부조제도 실시에 따른, 부수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인식하며, 수급자격 요건을 강화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공공부조제도개혁형 은, 복지 의존은 정치·경제·제도 등의외부적 요인 때문이라고 인식하며, 자립 프로그램의 강화와 관대한 급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셋째, 일을 통한 자립형 으로 복지 의존의 원인을 수급자의 노동의욕, 자립의지의 문제라 보며, 취업을 통한 개인적인 자립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생각한다. 넷째, 신규복지정책도입형 은 자활성공률이 낮고, 탈수급 이후의 삶의질이 개선될 것이라고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수급을 선택한 것이라고 인식하며, 새로운 사회복지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결과와 함의를 토대로, 의존성 완화를 위한 방법과 자립 프로그램의 방향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public social workers(PSW) on the recipients welfare dependency(WD)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ception types. The result of Q sort with 40 statements targeting 18 PSW showed that there were 4 types. First, the institutional side effect type perceives that WD is an incidental phenomenon occurred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assistance program. The PSW in this type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requirements for the recipient in order to reduce the WD. Second, the public assistance program reform type perceives that WD is caused by an external factors such as politics, economics and institutions. The PSW think that the self sufficiency program should be reinforced and public assistance benefits should be more generous than it is at present. Third, the self sufficiency type through work perceives that WD is caused by personal labor will andself sufficiency intention of recipients. So, it was indicated that the focus should be made on individual self sufficiency through taking a job, not reinforcement of benefits. Four, new welfare policy introduction type perceives that WD is an inevitable choice since self sufficiency success rate is practically low and it is impossible to expect that the quality of life after leaving welfare becomes better than it is at present. The PSW think that a new social welfare policy is necessary to solve such situation. Based on the result and implication, the scheme to reduce the dependency and the orientation of the self-sufficiency program were suggested.

      • 펀드플로우와 시장위험

        박종원,정효윤 한국금융공학회 2009 한국금융공학회 학술발표회 Vol.2009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금융시장의 자료를 이용하여 펀드플로우와 금융시장의 위험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펀드플로우의 변화가 금융시장의 전반적인 위험수준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펀드플로우와 금융시장의 위험간의 관계에 대한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일각에서 제기하고 있는 펀드런에 의한 금융시장의 시스템리스크 유발가능성을 탐색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펀드플로우와 금융시장 수익률 및 위험에 대한 분위수 회귀분석의 결과는 펀드플로우가 금융시장의 수익률 및 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시장상황에 따라 차별적임을 보여준다. 이는 시장의 하락과 상승국면뿐만 아니라 펀드자금의 유출이 심한 상황과 자금유입이 큰 상황에서 펀드플로우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여향이 차별적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VAR모형의 분석결과는 주식형펀드의 자금유출입이 주식시장의 위험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반면에, 주식시장의 변동성 변화는 미래의 주식형 펀드플로우에 양(+)의 영향을 미침을 보여준다. 채권시장과 단기금융시장의 경우 펀드플로우는 시장위험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예측오차의 분산분해를 통해 구성한 전이지수의 분석결과는 한국자본시장에서 서브프라임 사태의 영향이 본격화된 시기인 2007년 말 이후 펀드시장에서 발생한 펀드플로우 변화가 주식시장의 위험에 지속적으로 전이되는 현상이 나타났음을 보여준다. 반면, 채권시장의 경우 2008년 말 이후 펀드플로우에 가해진 충격이 채권시장의 위험에 전이되는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단기금융시장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체계적으로 발생하지 않는다.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서 보인 특정시기를 중심으로 하는 전이효과의 지속현상은 펀드플로우에 가해진 충격이 시장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앞서의 분위수 회귀분석의 결과와 VAR모형의 추정결과, 그리고 분산분해의 설명력 등을 고려하여 판단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금융시장에서 펀드플로우의 변화가 시장수익률과 시장위험의 변동을 설명하는 설명력이 매우 제한적이어서 일부에서 우려하는 펀드런에 따른 금융시장의 시스템리스크의 증가와 전반적인 위기의 확산으로 나타날 가능성은 높지 않음을 말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