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어/쉘 구조의 나노입자 제조 및 증착 공정을 활용한 염료감응 태양전지

        정홍인 ( Hongin Jeong ),유종렬 ( Jhongryul Yoo ),박성호 ( Sungho Park ) 한국화학공학회 2019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7 No.1

        기상으로 전달된 Ti 전구체가 열 플라즈마에서 고순도의 결정질 코어-TiO<sub>2</sub>로 합성됨과 동시에 기판에 바로 증착시킬 수 있는 공정을 제시한다. 제조된 코어-TiO<sub>2</sub>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원자층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ALD)에 의하여 Al<sub>2</sub>O<sub>3</sub>로 코팅된다. 코어-TiO<sub>2</sub>와 코팅된 쉘-Al<sub>2</sub>O<sub>3</sub>의 형태학적 특징은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및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TEM-EDS)를 통해 분석하였다. 제조된 코어-TiO<sub>2</sub>/쉘-Al<sub>2</sub>O<sub>3</sub> 나노입자의 전기적 특성은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의 작동전극에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Dynamic light scattering system (DLS),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X-ray Diffraction (XRD)을 통하여 코어-TiO<sub>2</sub>의 평균입도, 성장속도 및 결정구조의 무게분율을 분석한 결과, 평균입도는 17.1 nm, 코어박막의 두께는 20.1 μm이고 주 결정구조가 Anatase로 증착된 코어-TiO<sub>2</sub>/쉘-Al<sub>2</sub>O<sub>3</sub> 나노입자를 적용한 DSSC가 기존의 페이스트 방식으로 제작한 DSSC보다 더 높은 광효율을 보여준다. 기존의 페이스트방식을 활용한 DSSC의 에너지변환효율 4.99%에 비하여 선택적으로 조절된 코어-TiO<sub>2</sub>/쉘-Al<sub>2</sub>O<sub>3</sub> 나노입자를 작동전극으로 사용한 경우가 6.28%로 26.1% 더 높은 광효율을 보여준다. This study proposed the fabrication and deposition of high purity crystalline core-TiO<sub>2</sub>/shell-Al<sub>2</sub>O<sub>3</sub> nanoparticles. Morphological properties of core-TiO<sub>2</sub> and coated shell-Al<sub>2</sub>O<sub>3</sub> were confirm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EM)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TEM-EDS).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prepared core-TiO<sub>2</sub>/shell-Al<sub>2</sub>O<sub>3</sub> nanoparticles were evaluated by applying them to a working electrode of a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The particle size, growth rate and the main crystal structure of core-TiO<sub>2</sub> were analyzed through dynamic light scattering system (DLS),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d X-ray diffraction (XRD). The core-TiO<sub>2</sub>, which has a particle size of 17.1 nm, a thin film thickness of 20.1 μm and a main crystal structure of anatase, shows higher electrical efficiency than the conventional paste-based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In addition,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6.28%)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using the core-TiO<sub>2</sub>/shell- Al<sub>2</sub>O<sub>3</sub> nanoparticles selectively controlled to the working electrode is 26.1% higher than the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4.99%)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DSSC) using the conventional paste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중장년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

        정홍인(Jeong, Hong In)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1

        본 연구는 중장년에게 있어 성공적 노화의 예측요인으로 입증된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과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를 통해 중장년에게 의미있는 성공적 노화의 선행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신체적․인지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의 대표변인으로 주관적 건강상태, 인지기능,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를 상정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한민국 대표 기업공시채널 KINO(http://kind.krt.co.kr)에 등록된 유가증권, 코스닥, 코넥스 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 3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SPSS 23.0과 Amos 21.0, Mplus 6.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성공적 노화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모형의 적합도는 RMSEA=.059, TLI=.932, CFI=.944로 적합도 지수의 기준값을 모두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건강상태와 사회적지지만이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수로 나타났으며 인지기능과 자아존중감은 성공적 노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 중 사회적 요인인 사회적 지지가 중장년의 성공적 노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성공적 노화에 있어 기존 선행연구와 배치되는 결과이며 생애주기에 따라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다름을 시사한다. 즉, 중장년은 사회적 관계망 내에서 자신의 역할을 인식하며, 일을 통해 본인의 정체성과 의미를 확립하고 있음에 따라 사회적 지지가 성공적 노화를 촉진시키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우리나라의 상황적 맥락이 반영된 중장년을 대상으로 성공적 노화의 모형을 탐색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between the successful agingrelated predictive factors and the successful aging in the middle aged office.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ch a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ere confirmed by the existing literatur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he middle aged office employees, who are generally defined an age group from 40 to 60.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targeted to employees working at companies registered to securities, KSDAQ, and KONEX in Korea. SPSS WIN 23.0 and AMOS 21.0, and Mplus 6.12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below. First,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successful aging was appropriate as RMSEA=.059, TLI=.932, CFI=.944. Seco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variables for successful aging but cognitive function and self-esteem were not significant. Third, social support, which is a social factor, w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other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교수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 : 대구·경북권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홍인(Jeong Hongin),우성미(Woo Sungmi)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1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환경과 COVID 19 로 대학생들의 진로준비에는 많은 혼란이 초래되었고, 대학과 교수의 역할에도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시급히 규명하여 취업시장 한파를 돌파할 수 있는 준비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교수지지의 역할과 학습민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교수지지, 진로준비행동, 학습민첩성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변인 간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 경북권 내 4년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165명의 데이터는 SPSS와 AMOS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지지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지지가 높을수록 학습민첩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민첩성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 학습민첩성이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수지지와 학습민첩성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며, 교수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이 연결되기 위해서는 학습민첩성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대학과 교수는 학생이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준비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사회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새로운 것을 학습할 수 있는 역량으로 학습민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학생의 학습민첩성과 진로준비행동에 교수지지가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밝혀진 만큼, 교수 본연의 역할인 학습과 진로지도 역량을 제고하고 학교 또한 교수의 역량 제고를 위해 필요한 지원을 적극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상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and COVID 19 have caused a lot of confusion in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professors is also required.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ag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o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rofessor supp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learning agility were reviewed, and the model between variables was established based on this. For the practical verification of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from four-year universitie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and 165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1.0 program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ofess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rofessor support, the more sensitive it was to learning agili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arning agility, the more significant it ha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inally, it was found that learning agility between professo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artially mediated.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rofessor support and learning agi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at learning agility must be sensitively expressed in order for professo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be connected.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universities and professors should pay attention to help students prepare for a career that suits them, and improve learning agility with the ability to flexibly respond to social changes and learn new things. In addition, as it has been found to be a prerequisite for students learning agil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original role of professors, learning and career guidance capabilities, and schools should also actively provide necessary support to enhance professors capabiliti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정홍인(Jeong Hongin),이효섭(Lee Hyoseop)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규명을 위하여 서울 지역 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20부를 배포하였으나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271부였으며,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과 삶의 균형은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이 유지될수록 생활만족도는 증진하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일과 삶의 균형은 사회적 자본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과 삶의 균형이 타인과의 신뢰, 규범, 네트워크라는 사회적자본 형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셋째, 사회적 자본 역시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타인과의 사회적 자본이 형성될수록 생활의 만족도는 증진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자본의 매개효과가 밝혀졌다. 즉, 일과 삶의 균형과 생활만족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형성 정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는 더욱 높아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상기 연구결과를 통해 일과 삶의 균형과 사회적 자본이 생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이는 조직구성원에게 일과 일 외의 균형적인 삶이 확보될수록 생활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불어 일과 삶의 균형이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본이 형성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구성원 간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협동적 활동들이 많을수록 생활만족도가 증가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상기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and tr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related previous studies. For the empirical identification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office workers in Seoul. A total of 320 copies were distributed, but the data used for analysis were 271.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work-life balan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the more work-life balance is maintained, the more life satisfaction is increased.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work-life balance also affects social capital.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work-life bala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norms, and networks with others. Third, social capital was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life satisfaction, which means that life satisfaction increases as social capital with others is formed.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revea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the higher the degree of social capital form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life balance and life satisfaction,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roved that the work-life balance and social capita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life increases as an organization member has a balanced life between work and work. In addi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in order for the work-life balanc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social capital must be form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that the more cooperative activities based on trust among members,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중장년 사무직 근로자의 성공적 노화의 선행요인과 성공적 노화 인식 간의 관계에서 경력발달과업의 매개효과

        정홍인 ( Jeong Hongi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8 HRD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성공적 노화의 선행요인으로 이미 입증된 주관적 건강상태 및 인지기능,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성공적 노화 인식 간의 관계에서 경력발달과업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장년 사무직 근로자 359명을 대상으로 SPSS 23.0, AMOS 21.0, M-plus 6.1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장년의 경력발달과업 성취수준이 높을수록 성공적 노화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장년의 경력발달과업은 주관적 건강상태와 인지기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지지와 성공적 노화 인식 간 경력발달과업은 부분매개하였다. 반면, 자아존중감은 경력발달과업을 1차 매개할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사회적지지와 경력발달과업이 순차적으로 매개할 경우 성공적 노화 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or effect of the middle-aged office employees’ career developmental tasks in relation to the successful aging-related predictive factors and the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such as subjective health condition, cognitive function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were confirmed by the existing literatur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was the middle-aged office employees, defined as an age group from 40 to 60, and 359 people were utilized for the data analysis. SPSS WIN 23.0, AMOS 21.0, and M-plus 6.12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below. First, the achievement level of employees’ career developmental tasks, which was added to a predictive factor of successful ag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effect of successful aging. Also,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dictive factors of successful aging previously verified and successful aging, the subjective health condition and cognitive function influenced the successful aging when the achievement level of employees’ career developmental tasks was completely mediated. There was no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 in relation to the self-esteem and the career developmental tasks, but the result showed that it was significant when the social support and the achievement of career developmental tasks were consecutively mediated. Based on the results,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 KCI등재

        티타늄합금 단조 형상의 5축 가공 특성에 관한 연구

        정홍일(Hong-Il Jung),공정리(Jeong-Ri Kong),김해지(Hae-Ji Kim) 한국기계가공학회 2022 한국기계가공학회지 Vol.21 No.3

        Owing to the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of titanium alloys, they are widely used as materials for aircraft components. However, in terms of machining, dimensional deformation methods vary significantly, such as forging, owing to their difficult-to-cut property and the uncontrollable vibration generated during machining. A method to minimize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machining by applying advanced tools and controlling the sequence of machining processes, which can improve the machinability and precision of titanium alloy-forged low-angle components, is proposed herein. Using the proposed tool and based on a process order experiment, the efficiency of the machining process is verified by measuring the dimensional deformation of the low-angle component.

      • KCI등재

        바닥 복사난방 배관설비에서 배관파열 사례 연구

        정홍도(Hongdo Jung),신용한(Younhan Shin),박진관(Chenkwan Park),정효민(Hyomin Jeong),정한식(Hanshik Chung) 대한설비공학회 2012 설비공학 논문집 Vol.24 No.10

        Heating pipes burst was occurred in the apartment complex that was applied floor radiant heating system. There were two opinions for the cause of the bursted heating pipes that was the flaw during construction and defects in the product and also there were conflicting among them. Officials analyzed i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rupture. Tensile test results showed different tensile strength between the lower part of heating pipe and the upper part of heating pipes. The lower tensile strength is maintained while the top was not secured. The reason why rupture heating pipes is that flow velocity isn’t secured and then the air get stagnant. Stagnant air makes hardening. It is caused rupturing. The proper flow rate was confirmed 0.166 m/sec after experiment. It isn’t make stagnant air inside heating pipes.

      • KCI등재

        남편의 성역할 인식과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에서 연령과소득의 조절된 조절효과

        우성미 ( Sungmi Woo ),정홍인 ( Hongin J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남편의 성역할 인식과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의 관계에서 연령과 소득의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복지패널 13차 데이터 1,611명을 대상으로 SPSS Process macro 3.5.3을 활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편의 성역할 인식은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둘째, 남편의 성역할 인식과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 간의 관계에서 남편 연령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에 대한 남편의 성역할 인식과 연령의 조절효과는 소득에 의해 유의하게 조절되었다. 소득이 높은 X세대와 Y세대는 남편의 평등한 성역할 인식이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아내의 경제활동 참여에 대한 부부 관련 다양한 변인들에 대한 후속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age and incom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recognition of gender role and wife’s labor force participation.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husband’s perception of gender role has a positive impact on his wife’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second, There was not the moderate effect of husband’s 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perception of gender role and his wife’s labor force participation. Third, the husband’s perception of gender role and the moderate effect of age on his wife’s labor force participation were significantly moderated by income. High-income generations X and Y found that their husbands’ awareness of gender roles increased their wives’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subsequent research on various eccentric couples related to wives’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