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愚潭 丁時翰의 활동과 17세기 후반 南人學界

        정호훈 한국철학사연구회 2007 한국 철학논집 Vol.0 No.22

        정시한(1625∼1707)은 17세기, 한반도 중부 지역을 근거지로 활동했던 남인을 대표한다. 이황과의 학문적 인연을 모태로 하여 형성된 남인의 주 활동 무대는 경상북도였지만, 서울 경기 등 중부권에서도 적지 않은 남인들이 살고 있었다. 정시한은 원주에서 거주하며 이 지역의 남인 학풍을 확대함에 주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정시한의 학문 활동은 몇 가지 점으로 집약된다. 하나는 변무록(辨誣錄)의 작성, 그리고 그를 통한 자신의 정치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이었다. 이는 구체적으로 할아버지 정호관의 정치활동과 연관하여 그의 집안에 들씌워진 정치적 부담을 해소하려는 작업이었다. 정시한이 벌인 또 다른 학문 활동은 퇴계 이황의 사단칠정설을 옹호하는 작업을 활발히 펼친 점이다. 그는 사칠변증(四七辨證)과 같은 글에서 나타난 대로, 이황 학문이 이이의 학문과는 성격을 달리한다는 점을 당대 조선학계에 알리려는 작업을 활발히 펼쳤다. 이때 그가 보인 활동은 이황의 학문에 대한 학리적 해석을 넘어 서인 학문을 조선사회로부터 구축(驅逐)한다는 정치적 성격까지 지니고 있었다.정시한의 학문활동은 17세기 후반, 중부권의 남인이 자기의 학문 영역을 확대하던 양상을 잘 보여준다. 정시한의 개성은 영남지역의 남인들과 적극 교류하는 가운데 이황의 사유를 토대로 이기심성론(理氣心性論)의 세계를 깊이 천착한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기, 중부권의 남인들이 가지고 있던 학문적 관심은 허목의 고학(古學)에의 천착과 박학성(博學性), 유형원의 반계수록 저술과 새로운 국가상 모색, 윤휴의 새로운 경서 해석 등에서 볼 수 있듯, 매우 다양한 모습을 보이며 전개되었다. 그 성취 또한 괄목할 만 했다고 할 수 있는데, 정시한의 성과 또한 이 시기 남인들의 사유 세계를 한층 고양하고 확대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형원의 학문 연원과 『반계수록』의 정치론-서경덕계 학맥과 연관하여-

        정호훈 한국사상사학회 2022 韓國思想史學 Vol.- No.72

        In this article, I looked at the origin of Yu Hyeong-won's studies and reviewed the political theory of Bangye-surok in relation to it. It is part of the work to trace the academic background where Bangye-surok's theory of national reform could have been created. People who influenced Yoo Hyeong-won during his growing up were Northerners in terms of political orientation, and generally related to Seo Gyeong-deok's studies in terms of academics. They had a personality that could not be found in Yi Hwang or Lee Yi・Seong-Hon's descendants, and it can be summarized as having an openness to study of various personalities and Qi(氣). In addition, they paid much attention to the ancient legal system. Around the time he was writing Bangye-surok, Yu Hyeong-won, who had experienced a change in his thinking that put importance on the natural law, away from the world view that emphasized Qi, prepared the basic ideology of Bangye-surok and conceived laws based on this. Yu Hyeong-won believed that the law of a new country should contain the laws of heaven, and found the way to realize the laws of the kingdom in the laws of the country. From his point of view, all legal systems derived from the Gongjeon system(公田制) were unified with heavenly principles, and at this time, the legal systems found by Yu Hyeong-won passed through the ancient time experience.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aid that Yu Hyeong-won's Bangye-surok was able to emerge based on the academic trend formed in Seo Gyeong-deok's academic lineage and a new understanding of heavenly principles. Yu Hyeong-won, while writing Bangye-surok, referred to Chinese and Korean scriptures and historical books, as well as Chinese and Joseon political theories, so it may not be very effective to search for the academic background of Bangye-surok by linking it to a specific academic lineage. However, it is probably not a coincidence that Bangye-surok has achievements that cannot be found in major scholars who were 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Lee Hwang and Lee Lee Yi's studies. 이 글에서는 유형원(柳馨遠)의 학문 연원을 살피고 이와 연관하여 반계수록(磻溪隨錄) 의 정치론을 검토하였다. 반계수록 의 국가개혁론이 만들어질 수 있는 학문적 배경이 어디에 있었던가를 추적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성장기 유형원에게 영향을 끼친 인물들은 정치 성향으로는 북인(北人)과 북인계 남인(北人系 南人)이었고 학문으로는 대체로 서경덕의 학문과 연결되어 있었다. 이들은 이황이나 이이・성혼의 후학들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개성을 지니고 있었는데, 기를 중시하고 다양한 성격의 학문에 경도되는 개방성을 갖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이들은 고대의 법제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반계수록 을 집필하던 무렵, 기(氣)를 중시하던 세계관을 벗어나 천리(天理)를 중시하는 사유의 전환을 경험했던 유형원은 이를 바탕으로 반계수록 의 기본 이념을 마련하고 법제를 구상했다. 유형원은 새로운 국가의 법은 천리를 담아야 한다고 보아, 천리의 실현 방식을 국가의 법제에서 찾았다. 그가 보기에 공전제(公田制)로부터 비롯하는 제반 법제는 천리와 법제가 통일되어 있었는데, 이때 유형원이 찾은 법제는 고대의 시간 경험을 거친 것이었다. 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유형원의 반계수록 은 서경덕계 학맥 속에서 형성된 학문적 경향, 그리고 천리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기반으로 출현할 수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유형원이 반계수록 을 저술하며 중국과 한국의 경서와 사서, 중국과 조선의 정치론을 두루 참조하였으므로 반계수록 의 학문 배경을 특정 학맥과 연결하여 찾는 일이 그다지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이황과 이이 학문의 영향권 속에 있던 주요 학자들에게서 찾을 수 없는 성취를 반계수록 이 지니었던 사실은 우연은 아닐 것이다.

      • KCI등재

        16․7세기 『小學集註』의 成立과 刊行

        정호훈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9 한국문화 Vol.47 No.-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Sohak chipju (小學集註, Collected Commentaries of Elementary Learning)> was compiled during the late 16th century, as well as the manner in which this work was disseminated within Chosŏn society from the late 17th century onwards. In additi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is book is also examined at length. The compilation of the <Sohak chipju> by Yi I(李珥) in 1579 was a significant event in the history of Chosŏn philosophy. Yi I’s compilation of the <Sohak chipju> and subsequent widespread dissemination amongst the public made it possible for the people of Chosŏn to learn <Sohak(小學, Elementary Learning)> based on commentaries that differed from those found in the <Xiaoxuejicheng(小學集成)> annotated by He Shixin and in the <Xiaoxue jishuo(小學集說)> compiled by Cheng Yu of the Ming Dynasty. The <Sohak chipju> had several significant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history of Chosŏn philosophy. First, the <Sohak chipju> was the first annotation of <Sohak> to be summarized by a Chosŏn scholar. In this regard, Chosŏn’s sadaebu class had long been aware of the need to take steps to further entrench Confucianism within Chosŏn society. Second, the production of this book stands as proof positive of the vast academic capabilities of the Yi I School of Thought. To this end, neither the Yi Hwang nor the Sŏ Kyŏngdŏk School of Thought proved able to produce this kind of work. As such, the compilation of the <Sohak chipju> can be regarded as a significant tool with which to understand the academic differences between the Yi I School of Thought active in the Kiho area (covering Kyŏnggi, Hwanghae and Ch΄ungnam Provinces) and the other school of thoughts. Third, the compilation of the <Sohak chipju> was a sign that the Westerner (Sŏin) faction had reached the center of Chosŏn’s politics and philosophy. The <Sohak chipju> was not only a work which was regarded as being representative of the Westerner faction, but also contained many contents which this Westerner faction intended to disseminate throughout Chosŏn society. Reading this book allowed the people of Chosŏn to become aware of not only the tenets of Confucianism, but also of those promoted by Yi I.

      • KCI등재

        『晝永編』의 자료 구성과 知識 세계

        정호훈 진단학회 2010 진단학보 Vol.- No.110

        This paper treats the aspects of historical materials of Juyoungpyeon(『晝永編』). Juyoungpyeon is the summary book of various topics that the author had saw, felt, and thought usually. This book have similar aspects with Jibong-yuseol(『芝峯類說』), and Seongho-saseol(『星湖僿說』). Comparing with those two books, however, “Juyoungpyeon have not classified system and lots of contents. The articles of Juyoungpyeon are not classified systematically. However, it has the almost three kinds of articles. The first one is relevant with the new historical materials, which contain historical factor. The second one arrang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act or phenomenon that happened in the past or is progressing in the present. The last one denies famous knowledges and perspectives at that time and shows its own point of view. Those three kinds of articles are mingled in Juyoungpyeon. The attitude and manner of author Jeong Dongyu(鄭東愈) completely reflect the movement of the world of thought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endeavered to create a new knowledge by focusing on the method of historical research. 이 글에서는 『주영편』을 구성하고 있는 자료․주제와 그 지식 세계의 특성을 정리하며 이 책의 사료적 성격을 살펴 보려고 했다. 『주영편』은 저자 정동유의 인식 태도, 그리고 담고 있는 내용, 학문 방법에서 독특한 개성을 지니고 있었다. 정동유는 세상에 절대 권위를 가진 지식, 견해는 없으며, 세상의 변화, 지식의 변화를 시간의 흐름 속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사실에 근거한 판단을 대단히 중시하는 태도이기도 했다. 한편, 사건과 사실을 판단하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정동유는 개인의 識見이 대단히 중요하다는 것을 누차 강조했다. 이때의 식견은 『맹자』에 나오는 “踐形以秉彛”로 설명되는데, 본래 가지고 태어난 천성을 실천함으로써 유지하는 판단 능력, 곧 선천의 고유 덕성과 결합된 지적 능력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주영편』에 실려 있는 기사는 정동유가 살았던 조선의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는 새로운 자료와 관련된 항목, 과거에 일어났던 혹은 현재에도 진행되고 있는 사실 혹은 현상의 내력을 탐구 정리하는 항목, 현재 통용되거나 널리 알려져 있는 지식과 견해를 부정하고 자신의 견해를 밝히는 내용 등 크게 보아 세 가지 성격의 기사가 뒤섞여 있다. 정동유는 겉으로 보기에 작고 세세하며 그다지 의미 있을 것 같지 않은, 일상의 풍속, 관념, 상식들을 중요한 탐구 대상으로 삼아, 그것들의 역사적 내력을 살피고 그러한 내력 속에서 그것들이 가지고 있는 새로운 사실과 의미를 드러내며 또 그것들에 대한 기존의 견해가 오류이며 허구임을 입증하고자 했다. 『주영편』은 단적으로, 일상의 생활 세계의 일과 같은 사소한 것이 지식 탐구의 주요 대상이 되고, 그에 관한 지식이 역사적 접근을 통하여 새로이 세워지는 모습을 보여주는 책이라 할 것이다.

      • KCI등재

        芝峯李睟光의 학문관과 정치론

        정호훈 한국실학학회 2018 한국실학연구 Vol.0 No.35

        The personality of Yi Soo-kwang(李睟光) can be obtained from the point of view of openness in his life and academic field. He sought to build diverse knowledge and hoped to become a scholar fully aware of the principle of the nature and the human world. Yi Soo-kwang considered reorganizing the national law Gyeong-gugdaejeon(經國大典) to be enough for social reconstruction after the Imjin(壬辰) war. The idea of the reform of the tribute system, the practice of the Hopae law(號牌法), and the activation of a monetary economy can be said to be an extension of this thinking. These measures were combined with the intention of strengthening national discipline or strengthening the role of the state. 이수광의 개성은 특별한 경계를 두지 않고 관계를 확장하는 개방성을 삶과학문 영역에서 두루 구현한 점에서 구할 수 있다. 그는 博學을 추구했으며, 천․ 지․인의 三才에 달통하는 儒者가 되길 원했다. 이수광은 임란 이후의 사회 재건을 위해서는 경국대전을 修明하면 충분하다고 여겼다. 그가 구상한 貢納制 개혁론, 號牌法실시론, 상품화폐경제 활성화론은 이러한 사고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방책들은 하나같이 국가의 기강을 강화하거나 국가의 역할을 좀 더 강화하자는 의도와 맞물려 있었다.

      • KCI등재

        조선후기 『花潭集』 刊行의 推移와 徐敬德 學問

        정호훈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8 한국문화 Vol.0 No.84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d the circumstances in Seo-Gyungduk(徐敬德)’s book Hwadam-Jip(花潭集) published in Korea several times, focusing on composition of publications, publishers and publication period. Hwadam-Jip was published five times by the end of the 18th century when it was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after Seo-Gyungduk’s Death. Personality in the book, word composition method, contents of recording, publishing place, publisher, etc. have changed every time. Initial publication was led by Seo-Gyungduk's disciples and the people connected with them, and later publications were led by scholars in the Gaesong(開成) area. Such a change is deeply related to the declining of northern scholars, growth of the Gaesong region scholarship. The paper of this time is the minimum navigation for Hwadam-Jip publication which lasted five times. From the 19th century, how was the evaluation of Seo-Gyungduk in the academic and cultural world of Gaeseong, how Hwadam-Jip was utilized, and how such evaluation and utilization had power I would like to set aside a future ta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