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편집형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뇌의 구조적 변화와 기능적 변화 : 뇌자기공명영상소견, 신경인지기능 및 정신증상간의 상관관계

        강철민,이영호,영조,이정흠,김수지,박현진,Kang, Cheol-Min,Lee, Young-Ho,Jung, Young-Jo,Lee, Jung-Heum,Kim, Su-Ji,Park, Hyun-Jin 대한수면의학회 1998 수면·정신생리 Vol.5 No.1

        연구배경 : 본 연구는 정신분열병에서 뇌의 해부학적 변화가 있는가를 관찰하고 이런 변화와 인지기능, 신경학적변화, 임상증상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하였다. 방법 : 편집형 정신분열병 환자군 20명(남15, 여5)과 성별, 연령을 조합한 정상대조군 23명(남15, 여8)을 대상으로하여 뇌자기공명촬영의 면적측정을 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환자군을 대상으로 신경심리학적검사, 연성신경학적 증후, 그리고 임상증상을 평가하여 뇌자기 공명 촬영 측정치와 상관관계를 보았다. 결과 : 1)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모든 뇌설계와 기저핵의 크기가 유의하게 커져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환자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우측 전두엽이 작아져 있는 경향을 보였고(p=0.057), 좌측 측두엽의 크기가 환자군에서 작아져 있는 경향을 보였다(p=0.089). 2) 뇌실의 크기 증가가 이전의 입원 횟수의 증가와 정상관관계를 보였고(p<0.01), 이외에 다른 구조물에 대한 측정치와 임상적 요인들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3) 위스콘신 카드 분류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인 구조물은 좌측 측두엽과 좌측 피각이었다. 이중 좌측 측두엽의 크기와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의 보속 오류검사 점수사이에는 정상관관계를 보였고(r=0.5636, p<0.05), 피각은 역상관관계를 보였다.(r=-0.5733, p<0.01). 대조군과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구조물 중 웩슬러 지능검사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조물은 하나도 없었고, 좌측 편도(r=0.5727, p<0.05)와 좌측 피각(r=0.4686, p<0.05) 이 각각 언어성 지능 점수와 정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벤톤 신경심리검사의 유의한 상관을 보여 주었던 구조물은 우측 전두엽과 좌측 편도이었다. 이외에 좌우측 측두엽은 촉각형태 지각 검사 점수(각각 r=0.4998, p<0.05; r=0.5018, p<0.05)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고 좌우측 미상핵(각각 r=0.4611, p<0.05; r=0.4726, p<0.05) 및 좌측 피각(r=0.5370, p<0.05)은 직선지남력 검사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에서 뇌실 측정치는 어떠한 신경심리 검사와도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4) 우측 전두엽의 크기가 작을수록 연성 신경학적 징후 총점수도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r=-0.6174, p<0.01), 복합적 연성 신경학적 징후 점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는 구조물은 좌우측 편도(r=-0.4548, p<0.05; r=-0.4597, p<0.05)와 우측 담창구(r=- 0.4646, p<0.05) 이었다. 뇌실 측정치는 연성 신경학적 징후와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5) 우측 측두엽은 간이정신상태 검사상의 양성 증상 척도 점수와 역 상관관계를(r=-0.4483, p<0.05) 보였고 좌측 해마는 양성 및 음성 증상척도의 양성 증상점수(r=0.5028, p<0.05)와 일반증상점수(r= 0.5696, p<0.01) 및 간이 정신상태 검사의 총점수(r=0.6050, p<0.01)와 유의한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외에 우측 측뇌실의 측두각은 간이 정신상태 검사 상의 양성증상과 유의한 정상관관계를(r=0.4729, p<0.05) 를 보였다. 기저핵중에서는 우측 담창구가 양성 및 음성 증상 척도의 음성 증상 점수(r=-0.6062, p<0.01), 간이 정신상태 검사상의 음성 증상 척도(r=-0.5016, p<0.05) 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고 좌측 담창구가 간이 정신상태 검사상의 음성 증상 척도 (r=-0.4683, p<0.05) 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뇌의 구조 변화는 임상적 경과에 따른 변화인 뇌실 확장 및 뇌의 신경발달학적 이상에 기인하는 기저핵의 증가, 우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ole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of the brain in the pathophysiology of schizophrenia. Methods : The authors measured the regions of interest on the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the brain in 20 patients with paranoid schizophrenia(15 men and 5 women) and 23 control subjects(15 men and 8 women). We also assessed the neurocognitive functions with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the Bento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and the Weschler IQ test-Korean version, soft neurologic signs, and psychiatric symptoms in the patient group. Results : In the patient group, all ventricles and basal ganglia including caudate nucleus and globus pallidus were significantly enlarged.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values of right frontal lobe and left temporal lobe, there was a tendency of decrease in the values of right frontal lobe and left temporal lob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values of ventricles and the frequency of previous hospitaliz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ther values of regions of interest and clinical data. The value of the right frontal lob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 of soft neurologic signs, which is suggestive of th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value of frontal lobe and the scores of the various subscales of Benton Neuropsychiatric Inventory. In contrast, the value of left amygdala and putame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verbal IQ on the Weschler IQ test. Structural changes of the temporal lobe areas were related with the positive and general symptom scores on PANSS, while those of the basal ganglia were related with the negative symptom score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uctural changes of the brain in the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how the dual process, which is suggestive that the enlarged ventricle show the neurodegenerative process, while enlarged basal ganglia, and shrinked right frontal and left temporal lobe show the neurodevelopmental abnormalities. Among these changes, structural changes of the frontal lobe related with various neuropsychological deficits, while those of left temporal lobe related with language abnormality. Relative to the relation between structural changes and psychiatric symptoms, structural changes of the temporal lobe areas were related with the positive and general symptoms, while those of the basal ganglia were related with the negative symptoms.

      • KCI등재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후방십자인대 절제가 대퇴경골간 굴곡-신전 간격에 미치는 영향

        영복(Young Bok Jung),박세진(Se-Jin Park),정호중(Ho-Joong Jung),김상준(Sang Joon Kim),이종석(Jong-Seo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1 No.6

        목적: 슬관절 전치환술 시 후방십자인대의 절제가 대퇴경골간 굴곡-신전 간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6년 4월까지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슬관절 전치환술을 시행 받은 환자 58명, 69예를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를 하였다. 모든 수술은 변형된 대퇴사두근하 도달법을 사용하였으며 내측 연부조직 유리술을 시행한 다음 근위 경골 절제 후 원위 대퇴골 절제를 시행하였다. 근위 경골 절제 시 얇은 osteotome을 이용하여 후방십자인대의 손상을 보호하였다. 수술 시 경골과 대퇴골 절제 후 후방십자인대의 긴장도와 육안적 모양이 정상임을 확인한 후 balancer/tensor device (Stryker Howmedica Osteonics<SUP>ⓡ</SUP>, Allendale, NJ, USA)를 이용하여 후방십자인대 절제 전과 절제 후에 슬관절의 대퇴경골간 굴곡-신전 간격을 수동적으로 가능한 한 최대부하를 가한 상태에서 측정하였고, 술 전 및 술 후 측정한 슬관절 측면 방사선 사진상에서 관절선의 변화 및 후방 경골경사의 변화를 측정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후방십자인대 절제 후 굴곡 간격은 평균 3.6±1.5 ㎜ 증가하였고, 신전 간격은 2.0±1.0 ㎜ 가량 증가하여 후방십자인대의 절제로 인해 굴곡-신전 간격이 전체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신전 간격보다 굴곡 간격이 평균 1.6 ㎜ 정도 더 증가하였다. 결론: 슬관절 전치환술 시 후방십자인대의 절제는 굴곡 간격을 3.6 ㎜, 신전 간격을 2.0 ㎜ 가량 증가시키므로, 굴곡 간격이 1.6 ㎜ 더 증가하였으며 선택적인 후방십자인대 절제가 굴곡-신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술기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To assess the effects of a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section on the tibiofemoral joint gap in total knee arthr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The effect of a PCL resection on the tibiofemoral joint gap was analyzed prospectively in 58 patients (69 knees) who had undergone TKA between May 2003 and April 2006. The knee was exposed using a modified subvastus approach. The medial soft tissue was released and a tibial cutting was made first. The tibial insertion of a PCL was protected during the tibial resection by inserting a thin osteotome in front of the posterior spine. An extension and flexion gap were measured using a balancer/tensor device (Stryker Howmedica Osteonics<SUP>ⓡ</SUP>, Allendale, NJ, USA) under manual maximal stress before and after the PCL resection. The change of the joint line and the posterior inclination on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lateral roentgenograms was also assessed. Results : After the PCL resection, the flexion gap and extension gap increased by an average of 3.6±1.5 ㎜ and 2.0±1.0 ㎜, respectively. Although the PCL resection resulted in an increasing a flexion gap and extension gap, the increase in the flexion gap was larger than that of the extension gap by 1.6 mm. Conclusion : A PCL resection resulted in an increase in the flexion and extension gaps by 3.6 ㎜ and 2.0 ㎜, respectively. Therefore, a PCL resection would be a good alternative method for controlling the flexion-extension gap in TKA.

      • KCI등재후보

        직접공급방식 지역난방시스템의 적정공급온도 및 단위부하 분석

        용호(Jung Yong-Ho)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10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논문집 Vol.4 No.3

        District Heating System(DHS) is one of the most excellent systems in terms of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he current indirect connection in Korea is applied to the case of big scale, it brings about heat loss in its network. Moreover, high-priced heat exchanger facilities are required. Direct connection has some advantages such as energy saving and low initial cost compared with indirect connection since heat exchange is not required in machine room. Furthermore,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heat, geo-thermal heat and heat pump and others can be applied to the direct connection in district heating as supply temperature is comparatively low. However, direct connection is not economical for heavy load and it is difficult to keep the temperature of supply water low. When direct connection is applied, it is the most important to supply stable heat source to consumers. In the previous study, appropriate supply pressure for direct connection are suggested.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fundamental data for applying the direct connection in district heating to Korea by investigating the unit heating load and optimal temperature based on supply condition and stability for consumers from the previous stu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s; 1) Heating loads(including domestic hot water supply) for each consumers in conventional direct connection system were proved to be excessive comparing to simulated results. 2) The optimal range of supply water temperature was 60~90℃ in case of supply for domestic hot water to each households.

      • 파일 유사도를 이용한 에너지 효율적인 파일 전송 기법

        정호민(Ho Min Jung),강성운(Sung Woon Kang),이정근(Jeong Gun Lee),고영웅(Young Woong Ko)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1B

        모바일 단말에서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구현할 때,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단말에서 파일 전송을 수행함에 있어서 에너지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주요 아이디어는 클라이언트 부분에서 파일 유사도를 사용하여 대표 해시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보내온 대표 해시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인덱스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계산한다. 유사도에 따라 중복제거 파일 전송방식을 사용할지 일반적인 파일 전송을 할지 결정한다. 실험 결과 10%이상의 유사도를 가지는 파일들에 대해서 제안하는 기법이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음을 보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