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강건강지표를 활용한 건강수명 연구경향 분석: 최근 10년간의 논문분석(2010-2020)

        정현우,양정연,박희정,Jung, Hyunwoo,Yang, Jungyeon,Park, Hee-Jung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 2021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Vol.22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early describe research trends on health life expectancy using oral health indicators that have been published from 2010 to 2020 then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Methods: Online academic databases in English (PubMed, Web of Science and Embase) were used to find those articles by applying a variety of keywords, including terms (adjusted life year, adjusted life expectancy, dental and oral). We identified relevant articles based on the following classification method of Mathers: (1) health gaps, (2) health expectancies. Results: Among 1,728 articles from the online databases, the final 13 studies satisfied the inclusion criteria and were selected for analysis. Health life expectancy studies indicate that research growth was recently achieved overseas. Among the literature collected in this study, 10 studies using health gap indicators yielded seven Disability-Adjusted Life Year (DALY), and three calculated Quality-Adjusted Life Year (QALY), which differed in the nature of the survey data used in the study measuring DALY and QALY. There are only three health expectancies and the number of papers were smaller than the health gap study. Conclusion: Establishing a foundation to calculate health life expectancy indicators through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oral health level are needed. More studies in the area of health life expectancy estimation research is based on actual prevalence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re also needed.

      • KCI등재

        마늘 및 양파 주산지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취약성 분석 - 전라도, 경상도를 중심으로 -

        정현우,백신원,김한중,Jung, hyunwoo,Paik, sinwon,Kim, hanjoong 한국농촌계획학회 2017 농촌계획 Vol.23 No.4

        In recent years, the proportion of arable land in the nation has grown from 36.2 percent in 1990 to 43.7 percent in 2013. The study first performed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agricultural production, transportation, processing facilities, agricultural machinery leasing facilities, and water supply facilities. It was developed for the evaluation of the vulnerability of each gun of garlic and onions based on the distance from the three groups of arable bodies to the facility and the processing capacity of facilities. In view of these regional imbalances, the store, distribution and processing facilities in the main stream were found in Haenam, South Jeolla-do, and the relatively low regions of the gun were located in Goheung-gun and Hampyeong-gun. Among other regions, agricultural machinery rental facilities were high in Changnyeong-gun, Haenam, and two regions, while the water supply facilities were high in the southern area of Haenam and South Jeolla-do. The Gyeongsang-do showed relatively high levels of comparison vulnerability index compared to Jeolla-do regions. In particular, through the management plan to improve the facilities needed to improve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productuivity through the planning of the need for additional support through the rural readjustment project.

      • 갈수기간 하천건천화 드론모니터링 관리 시스템 개발

        정현우 ( Hyunwoo Jung ),박정수 ( Jeongsoo Park ),김한중 ( Hanjo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최근 국지적 가뭄현상 뿐만 아니라 하천 주변 및 유역 내 토지이용의 변화 로 인하여 지표수 및 지하수 사용량 증가와 지표의 불포화지역의 확산에 따른 지하수위 저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또한 농업생산성 증대를 위한 토지이용 형태의 다양화로 인한 지하수 기반의 농업 용수이용 증가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하천수량이 감소하고 있으며 다양한 유출경로를 통해 하천으로 유입되던 수량이 수질개선 대책으로 하류의 수처리시설로 유입되면서 상류의 하천 유입수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이로 인해, 수문 환경 변화와 하천 건천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2017년 극심한 가뭄피해를 경험하면서 보다 더 적극적인 수자원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다양한 과학적 측량장비와 원격탐사기법의 발달로 수자원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인공위성 영상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위성영상은 넓은 지역에 유리하지만 소유역의 모니터링에 있어서는 해상도가 낮아 활용범위에 제한적인 단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 모니터링에 효율적이고 원하는 관측시기에 필요한 영상을 얻기 용이한 드론을 활용하여 시험지역의 갈수기간 항공영상을 수집하고, 이 영상을 활용하여 하천 단면 추출하고 하천건천화 과정을 평가할 수 있도록 시계열별 하천단면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하천 인근 수리시설 현황 및 기상자료 등을 기존 모델에 적용한 모의결과와 대상지역의 주기적인 유량 조사를 통한 모의/실측 유출비교를 실시하였다. 유출모형을 기반으로 하여 건천화 영향인자를 고려한 유출량 분석과 지하수 개발에 따른 건천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수계에서의 거리에 따른 지하수 관정 분포에 따른 영향 반경 분석결과와 드론을 활용한 정기/비정기적인 모니터링 영상 기반의 건천화 모니터링을 성과를 활용하기 위한 건천화관리 지원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 KCI등재

        스포츠교육(학)이 스포츠코칭을 만났을 때

        정현우(Hyunwoo Jung)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18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교육과 스포츠코칭의 변화과정을 담론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스포츠교육학의 연구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학교체육(정과체육 → 학교스포츠 → 유·청소년 스포츠 담론)과 스포츠코칭(경험적 → 과학적 → 교육적 담론)의 주요 담론의 변화와 체육지도자 자격제도의 현실을 고려할 때 스포츠교육(학)과 코칭의 만남은 선택과 우연보다는 필연적 과정이라 볼 수 있다. 스포츠교육학의 영역의 확장에 따라 기존의 스포츠코칭 영역의 개념, 연구, 실천에 대한 이해가 요구되고 있으며, 반대로 스포츠코칭이 엘리트체육에서 생활체육영역으로 확대되는 과정에서 교육적 개념, 연구, 실천에 대한 당위성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체육지도자 자격제도에서 스포츠교육학 지식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스포츠교육학은 기존 체육수업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유소년, 생활, 노인 스포츠지도사들이 각각의 대상을 지도하는데 필요한 교육적 지식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미래 스포츠교육학은 (1) ‘운동소양’과 같은 스포츠교육학 방향의 구체화, (2) 유아, 청소년, 성인 등 대상별 발달단계 및 요구 탐색, (3) 스포츠교육의 다양한 목적, 학습자, 종목의 특성 등을 고려한 실천적 연구, (4) 체육지도자(교사, 코치, 강사 등)의 전문성 함양 등을 위한 연구에 주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는 스포츠와 관련된 교육현상에 대한 교육학적 지식을 생산하고 재분배야 하는 입장에서 학교체육은 물론 생활체육, 전문체육, 여가, 건강, 무용, 무도교육까지 연구주제를 확대해야 하며, (교육, 스포츠)철학, (교육, 스포츠)심리학, 정책학, 생리학 등 인접학문과의 교류를 통해 교육현상을 보다 적절히 탐구해야 한다. 나아가 스포츠교육학 지식이 체육지도자 제도를 중심으로 스포츠제도와 정책을 개선하는데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port pedagogy in terms of analyzing the change process of sports education and sports coaching through discourse analysis. Considering the change of major discourse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physical education’ → ‘school sports’ → ‘youth sports’ discourse) and sports coaching (‘craft’ → ‘scientific’ → ‘educational’ discourse) and the reality of sports instructor qualification system, the encounter between sports education and sports coaching is inevitable. On the one hand,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concept, research and practice of sports coaching according to expansion of the field of sports pedagogy, 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for educational concept,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process of sports coaching being expanded from elite sport to sports for all. Furthermore, sport pedagogy should provide pedagogical knowledge necessary for sport instructor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fication system. In this regard, the future directions of sport pedagogy will be as follows: (1) Clarification of the direction of sport pedagogy such as ‘sports literacy’; (2) the developmental stages and needs of youth, adult, older people; (3) practical study considering various purposes of sports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learner and a range of sports; (4) professional development of sports coach. Finally,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 Pedagogy should expand its research topics and explore the educational phenomenon appropriately through multi-discipline approach including (education, sports) philosophy, (education, sports) psychology, policy science, physiology. In addition, sports pedagogy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the improvement of sports policy and system centered on the sports instructor qualification system.

      • KCI등재

        초등 체육과 교육과정의 움직임 역량 국제비교 연구

        정현우(Hyunwoo Jung),손지훈(Jihoon Son)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021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체육과 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에서 움직임 역량의 특징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향후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필요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홍콩, 캐나다 온타리오주를 선정하여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에서 움직임 역량의 반영 수준과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교육목표에서는 홍콩과 온타리오가 움직임 역량을 포함하고 있었다. 교육내용에서는 한국이 표현활동의 일부로만 움직임 요소를 반영한 것에 반해, 홍콩은 움직임 기술을, 온타리오는 움직임 역량을 핵심 교육내용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한국과 홍콩은 일반적인 교수·학습 방향을 제시한 것에 비해, 온타리오는 움직임 역량 요소별로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안내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향후 체육과 교육과정 개정 시, 기본 움직임 기술에 기반을 두고 의도적으로 움직임 역량을 교육해야 하며, 발달단계와 기술의 전이를 고려하여 교육내용과 교수·학습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움직임 역량에 대한 연구 활성화의 필요성과 초등학교 교사의 움직임 역량 전문성 함양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movement competency in the curriculum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national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explor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curriculum revision. For this, Korea, Hong Kong, and Ontario were selected, and the level and pattern of reflection of movement competency in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e educational goal, Hong Kong and Ontario included movement competency. In the educational content, while Korea reflected movement elements as part of expression activities, Hong Kong set movement skills and Ontario set movement competency as the core educational content. In addition, while Korea and Hong Kong presented general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s, Ontario provided specific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each movement competency eleme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tentionally educate the movement competency, and to design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stage and movement skills transfer. Lastly, the necessity of revitalizing research on movement competency that can be used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and fostering the movement competency expertis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suggested.

      • 마늘 및 양파 주산지의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취약성 분석

        정현우 ( Hyunwoo Jung ),강구 ( Gu Kang ),김한중 ( Hanjoong Kim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우리나라 전체 경지면적중에서 밭이 전체 경지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 36.2%에서 2013년 43.7%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밭은 논 이외 농지라는 소극적 인식에서 벗어나 우리 사회의 핵심 미래 자원으로 보려는 관점이 나타나고 최근 중국과의 FTA 체결이후부터는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밭작물이 농업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는 있지만, 밭작물의 상당 부분은 아직도 기반정비가 미흡한 곳에서 재배되고 있다. 농업생산기반시설은 농업생산기반 정비사업으로 설치되거나 그 밖의 농지 보전이나 농업 생산에 이용되는 시설물 및 그 부대시설과 농수산물의 생산·가공·저장·유통시설 등의 영농시설을 일컫는다.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취약성 분석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밭작물의 생산성 증대와 안정적인 수확 후 활동 등을 위해서 필수적인 기초 농업용수공급을 위한 생산기반시설에 의한 적정 지원범위에 대한 실질적인 자료 및 평가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념채소류 중 생산기간이 길뿐만 아니라 수확량 변동으로 인한 가격변동이 큰 마늘 및 양파를 대상 품목으로 삼았으며, 주산지 작물재배 농가 경영체에 대한 지역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ArcGIS를 이용해 저장·유통·가공시설, 농기계 임대시설의 네트워크 분석과 저장·유통·가공시설, 농기계 임대시설의 데이터 속성에 따른 특성분석으로 구분하여 유형분류와 등급화를 하였으며, 해당년도의 지역별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비교 분석과 각 지역별 주산지의 농업용수 공급실태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생산기반시설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이를 통하여 적극적인 관리를 통하여 농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농업생산기반 시설의 취약성지원개선 필요성과 생산기반시설 개보수 사업 범위 선정 등에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가스터빈 블레이드 내부 냉각 유로 요철이 열전달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정현우(Hyunwoo Jung),유재영(Jaiyoung Ryu) 대한기계학회 2021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1 No.11

        The rib turbulator plays important role to remove the heat by enhancing heat transfer of coolant passage wall. Various author investigated the configuration of the rib turbulator by experiment and computational methods, however, their investigations were confined to low Reynolds number and very high rotation number while the present gas turbine in land-based power plant have been developing to achieve higher temperature and Reynolds number close to 500000.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fluid behavior and thermal transfer in rib turbulated coolant passage with high Reynolds number and rotating speed of 3600RPM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methods. The Nusselt number and friction factor were quantified for evaluating thermal characteristics and pressure drop. The averaged Nusselt number was almost equal in first passage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cond passage according to increase of Reynolds number. Moreover, smaller rib spacing induces better heat transfer but larger pressure loss.

      • KCI등재

        기하학적 형태계측학을 이용한 조선시대 머리뼈 형태의 변이 양상 연구

        정현우(Hyunwoo Jung),우은진(EunJin Woo),박순영(Sunyoung Pak) 대한체질인류학회 2015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8 No.1

        전통적인 형태계측학에서는 머리뼈지수, 위얼굴지수와 같은 측정치들의 비율을 이용하여 머리뼈의 형태를 분석한다. 그런데 이러한 비율들은 좌표 정보가 아니기 때문에 이 정보들만으로는 3차원 공간에서 전체의 형태를 구현할 수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전통적인 형태계측학으로는 머리뼈를 구성하는 각 부위의 형태들이 갖는 유기적인 관계들을 종합적으로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형태계측학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하학적 형태계측학을 이용하여, 조선시대 집단의 머리뼈 형태에서 나타나는 변이의 양상들을 분석하고 그 특징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15세기에서 20세기 초반에 해당하는 서울·경기 지역의 고고학 유적들에서 출토된 조선시대 사람뼈 57개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머리뼈 형태에 대한 좌표는 MicroScribe G2X (Immersion Corporation, USA)를 이용하여 수집하였으며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여 머리뼈 부위의 형태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여성은 머리뼈 너비 및 길이, 정수리점 위치, 머리뼈뒤면 형태, 얼굴뼈 길이에서, 남성은 머리뼈 길이, 너비, 높이, 꼭지돌기 크기, 얼굴뼈 길이에서 집단 내 변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집단 전체의 머리뼈 길이가 짧아지는 동시에 너비는 넓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와 함께 발생하는 머리뼈 높이와 얼굴뼈 길이의 변화 양상 및 상대성장과의 유사성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조선시대 머리뼈 형태에 변이를 일으키는 주요 부위들과 그에 따른 변이 패턴은 향후 한국인의 머리뼈 형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raditional morphometrics uses ratios between measured values such as the cranial index and the upper facial index. However, with these ratios alone, it is impossible to represent the shape of the entire cranium in a three-dimensional space because ratio does not express coordinate data. This methodological limitation of traditional morphometrics makes it difficult to evaluate relations between cranial parts. However, it is important to assess relations between cranial parts because cranial parts change their shapes in an integrated way. Therefore, this study adopted geometric morphometric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morphometrics and provide a more enhanced visual analysis of the cranial shape. Using geometric morphometrics, this study focused on variations of cranial shapes in a population from Joseon Dynasty to obtain their specific characteristics. This study investigated variations of cranial shapes in 57 individuals from Seoul·Gyeonggi province who lived in the 15th to the early 20<SUP>th</SUP> centuries. The coordinates of the crania were collected by MicroScribe G2X (Immersion Corporation, USA)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riations in cranial shapes of females were reflected mostly in width, length of cranium, position of bregma, shape of posterior part of cranium, and length of facial bone. The cranial shapes of the males varied mostly in length, width, height of cranium, size of mastoid process, and length of facial bones. The cranial length became shorter when the cranial width became broader in both sexes. However, cranial height and facial length showed different variations between the two sexes. In addition, the variation in females only showed evidence of static allomet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cranial shapes in a population from Joseon Dynasty and will be useful in future studies such as analysis on between-group differences. By identifying within-group variations first, researchers focusing on between-group differences will likely avoid erroneous conclu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