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당 태도갈등이 투표행위 변동에 미치는 영향

        정한울(Han-wool Jeong) 한국정당학회 2013 한국정당학회보 Vol.12 No.1

        본 연구는 18대, 19대 총선패널조사 데이터(KEPS 2008, 2012)를 활용하여 투표결정시기의 지연, 선거 기간 내 투표선호의 교체, 선거 간 투표선호의 교체, 분할투표 등 투표행태 변동에 정당에 대한 태도갈등이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다차원-상충성 태도이론에 근거하여 한국의 거대 양당에 대한 정당태도를“상극적 정당태도층”,“일극적 정당태도층”,“상충적 태도갈등층”,“전통적 태도갈등층”으로 분류하여 상관관계 및 선형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 전 계층에서 상극적 정당태도는 감소하고 정당태도갈등이 증가하고 있다. 사회경제적 배경변인과 정당 지지, 이념 등의 정치적 변인을 통제한 조건에서도 투표결정시기의 지연, 선거기간 내에서의 스윙투표, 선거 간 스윙투표를 설명하는 변수로 유의미함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태도갈등이 분할투표에 미치는 영향력은 검증되지 않았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san attitude conflict” towards volatility in Korean voting behaviors in the 18th and 19th general elections. Using the “cross-dimensional ambivalence” model for measuring partisan attitude conflict, the empirical tests for verifying the influence of attitude conflict provided some robust findings. Firstly, the partisan attitude conflict among Korean voters has been rising. Secondly, it played significant role in late-deciding voting and inconsistent voting behaviors within and between the elections, but not in split voting.

      • KCI등재

        대한민국 민족정체성의 변화

        정한울(Han-Wool Jeong)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17 평화연구 Vol.25 No.2

        기존 연구들은 “한민족공동체”라는 단일민족을 전제한 가운데 국적, 정치적 제도와 법적 책임의 준수와 같은 정치적, 시민적 요건이 중시되면서 남한과 북한을 별개의 국가로 인식하는 분리된 국가정체성이 강화되어 온 현상에 주목해왔다. 즉 “하나의 민족, 하나의 국가” 정체성에서 탈피하여 “하나의 민족, 두개의 국가” 정체성이 강화되어 왔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의 〈한국인의 의식, 가치관 조사〉의 1996년, 2006년, 2016년 조사결과를 토대로, 한국사회에서 국가 정체성 차원 뿐 아니라 민족 정체성 차원에서도 남과 북을 별개의 민족으로 보는 분리주의적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즉 “두개의 민족, 두개의 국가(two nations, two states)” 정체성이 부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를설명하는 가설로서 (1) 사회적 배경 (2) 경제상황 (3) 정치성향 및 미디어 노출 요인 (4) 민족정체성과 국가정체성의 상호작용 요인을 제시하고 경험적 검증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정치적 요인보다 세대와 같은 사회경제적 요인의 설명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특히 전후 세대 및 젊은 세대의 분리주의적 민족정체성의 급부상 현상에 주목해야 하며, 하나의 민족개념에 기반한 통일정책 전반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This article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cause change in the national identity which has been ignored so far in South Korea. This study (1) reviews the existing studies on the change in national identity (2) explores the rise of national separatism since the late 1990s in South Korea (3) examines the effects of social, economic, political, and media factors on the separatism.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the Korean government in 1996, 2006, and 2016, this study provided robust finding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wo (ethic) nations-two states” identities are emerging, as “one nation-two states” or “one nation-one state” identities, which have been widespread, declined. Second, the empirical tests using the logistic regression and ordinal regression(PLUM) shows that demographic variables, especially generational effect, more than other variables-economic situation, self-ideological identification, media effects and so on-played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the separatism in national identity. Third, the ethic and cultural separatism has been correlated with the rise of political separatism reluctant to reunification of two Koreas.

      • KCI등재

        외주민주주의 시대의 여론조사

        정한울(Han-Wool JEONG) 한국정당학회 2016 한국정당학회보 Vol.15 No.1

        한국에서 여론조사가 정치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은 계속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론조사결과(보도)가 유권자의 정치적 태도나 투표행태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는 EAI · SBS · 중앙일보 · 한국리서치의 2007년, 2012년 대선패널조사(KEPS 2007; 2012)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여론조사 보도가 누구한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7대, 18대 대선에서 대체로 정치적으로 세련되지 못한 유권자층과 정치적 동기가 강한 당파층에서 여론조사 정보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투표행태에서는 첫째, 여론조사 정보는 대체로 지지 후보 변경 빈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수적 유권자층에서는 지지변경보다 지지를 유지, 강화하는 교호작용이 확인되었다. 둘째, 여론조사가 박근혜 후보에 대한 호감도 강화에 영향을 미친 반면, 문재인 후보에 대해서는 호감도 변화효과가 뚜렷하지 않았다. 셋째, 여론조사 보도는 문재인 후보 지지자들이 투표에서 지지를 철회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impact of public opinion survey on the individual vote choices in Korean elections. Although the influences of polls on Korean politics have increased so as to evoke the controversies about “Outsourcing Democracy,” the empirical studies of the poll’s effect on politics-especially on elections are scarce in Korea. This study (1) outlines how the impact of polls has been evolved in Korean elections, (2) explores who are influenced by the reporting polls in their choices, and (3) examines the impact on the preference conversion, favorability towards the candidate, and swing voting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The findings from empi- rical tests are as follows: (1) less sophisticated or more partisan voters are inclined to be more influenced, (2) preferences and favorability for Guen-hye Park among her supporters were likely to be reinforced, and (3) Moon Jae-in supporters were more pressured to withdraw their vote due to information on polls reported by media during the election.

      • KCI등재

        민주화 이후 정당 태도갈등의 심화 요인 연구

        정한울(Jeong, Han-wool)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2 亞細亞硏究 Vol.55 No.4

        It is widely acknowledged that Korean election studies rest on the assumption that public attitudes are unidimensional and bipolar in South Korea. The assumption, however, masks the change in public political attitudes toward the parties after the democratic consolidation in South Korea. This paper intends to introduce the model of ambivalence for measuring partisan attitudes and examine three questions. First, this paper intend to find whether the ambivalent attitudes or the inconsistency of attitudes in Korean political attitudes-expecially partisanship-has increased. Second,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le causes of party ambivalence- weakening constraints from the political predispositions such as partisanship or ideological identification, and the enhanced internal psychological conflicts. Measuring partisan attitudes with the cross-dimensional framework. Finally, this paper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o verify what extent and how the ambivalence influences the other political behaviors; issue preferences, political attitudes, voting behaviors, etc. The implications of the empirical test demonstrate that the ambivalent voters who shows cognitive dissonance are not ignorant nor indifferent, but responsive and rational.

      • KCI등재

        한국사회 시민단체 신뢰위기의 진단과 대안 모색

        정한울(JEONG ,Han Wool) 참여연대 참여사회연구소 2016 시민과세계 Vol.- No.29

        한국 시민단체는 신뢰의 위기를 겪고 있는가? 본 연구는 제도로서의 시민단체 일반과 행위자 차원에서 한국 시민단체운동을 이끌었던 ‘참여연대’에 대한 시민들의 신뢰도 조사 데이터 분석을 통해 신뢰도 위기의 특징과 그 원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1) 타 기관과 시민단체 신뢰도 변화 (2) 행위자 차원에서 시민단체 지도자에 대한 신뢰도 변화 (3) 개별 조직별 신뢰도 변화를 분석한다. 다음으로 하위 집단별로 시민단체 일반과 대표적인 시민단체인 참여연대의 신뢰도 변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제도로서의 시민단체, 시민단체 지도자, 참여연대 등 개별기관에서 공히 신뢰도 하락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특정 이념적 성향을 기반으로 활동을 전개하는 시민단체-참여연대, 뉴라이트 등-들일수록 정치적, 이념적 지지 기반이 약화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정부와 시민단체, 대기업과 시민단체를 부(-)의 상관관계로 인식하는 경향이 약화되고 오히려 정(+)의 관계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화되고 있다고 주장한다. Are civic groups in Korea undergoing a crisis of tru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rust crisis and its causes by analyzing a couple of public opinion survey datasets on NGO as a general institution and the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PSPD) which has led the civic movement for democracy in Korea as an individual organiz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analyzes longitudinal changes in public trust on NGO in the institutional level, (2) civic leaders in actor level, and (3) individual civic organizations. Next, we analyze public trust of NGO in general and the PSPD by cross-sectional comparison. The main results are three folds. First, public trust has been falling for NGO in institutional level, civic group leaders, and individual NGOs. Second, it is confirmed that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support for political NGOs such as the PSPD and the New Right Group, which develop activities based on specific ideological tendencies has been weakened. Finally, the results citizens perceptions towards the government, civic organizations, and large companies(Chaebol) were correlated positively, not negatively.

      • KCI등재

        저전압 에스램용 선별 동작 사전 증폭 회로

        정한울(Hanwool Jeong) 한국전기전자학회 2021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5 No.2

        본 논문에서 제안된 에스램 사전 증폭 회로는 에스램 데이터 읽기 과정에서 감지 증폭을 활성화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55% 감소함으로써 기존 회로 대비 읽기 속도를 현격히 개선하였다. 이는 사전 증폭 과정에서 공정 편차에 의한 트랜지스터의 성능 편차를 보상하는 고유 회로에 기인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전 증폭으로 인한 추가 에너지 소모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전 증폭이 필요한 경우에만 사전 증폭기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선별 활성화 회로를 제안하여 추가 에너지 소모를 4.45% 이내로 제한하였다. The proposed preamplifier for the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educes the time required for the sense amplifier enable during the read operation by 55%, which leads to a significant speed up the total spped. This is attirbuted to the novel circuit techqniue that cancels out the transistor mismatch which is induced by the process variation. In addition, a selective enable circuit for preamplifier circuit is proposed, so the proposed preamplifier is enabled only when it is required. Accordingly the energy overhead is limited below 4.45%.

      • KCI등재

        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R-러닝 수업활동의 가능성과 한계

        정한울(Jung, Han-Wool),한수정(Han, Soo-Jeong)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1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인식한 R-러닝 수업에 대한 가능성과 한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R-러닝 로봇을 사용한 경험이 있는 유치원 교사 6명이며, 반 구조화된 인터뷰와 교사 저널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R-러닝 수업의 가능성으로는 로봇 자체에 대한 매력적인 교수매체로서의 역할에 가능성이 있고, R-러닝을 통해 유아는 자신의 사회성 개발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R-러닝 수업의 한계로 첫째, 교사는 R-러닝 수업에 대한 방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둘째, R-러닝을 하기 위한 로봇의 일부 기능적 문제가 있으며 셋째, R-러닝의 컨텐츠 내용의 부족하다는 것이 한계로 지적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arly Childhood Teachers’ possibility and limit of R-Learning. The Subjects were 6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experienced to use Robot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 and teachers’ journals. The results showed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R-learning. As possibilities of R-learning, it was found that robot is an attractive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obot might be an assistant teacher. Third, robot helps children improving their social development. Fourth, teachers might get confident while using robots in their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there was limitations of R-learning. First, teachers need to understand what R-learning means. Second, there are some functional problems of R-learning. Third, there are lack of qualitative contents of R-learning. Finally, robots need to be general to every children.

      • KCI등재

        Dehydrothermal Treatment로 제작한 흡수성 콜라겐 골유도재생술 차단막

        방강미,정한울,김성포,양은경,김기호,김성민,김명진,장정원,이종호,Pang, Kang-Mi,Choung, Han-Wool,Kim, Sung-Po,Yang, Eun-Kyung,Kim, Ki-Ho,Kim, Soung-Min,Kim, Myung-Jin,Jahng, Jeong-Won,Lee, Jong-Ho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11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3 No.2

        Purpose: Collagen membranes are used extensively as bioabsorbable barriers in guided bone regeneration. However, collagen has different effects on tissue restoration depending on the type, structure, degree of cross-linking and chemical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ammatory reaction, bone formation, and degradation of dehydrothermal treated porcine type I atelocollagen (CollaGuide$^{(R)}$) compared to of the non-crosslinked porcine type I, III collagen (BioGide$^{(R)}$) and the glutaldehyde cross-linked bovine type I collagen (BioMend$^{(R)}$) in surgically created bone defects in rat mandible. Methods: Bone defect model was based upon 3 mm sized full-thickness transcortical bone defects in the mandibular ramus of Sprague-Dawley rats. The defects were covered bucolingually with CollaGuide$^{(R)}$, BioMend$^{(R)}$, or BioGide$^{(R)}$ (n=12). For control, the defects were not covered by any membrane. Lymphocyte, multinucleated giant cell infiltration, bone formation over the defect area and membrane absorption were evaluated at 4 weeks postimplantation. For comparison of the membrane effect over the bone augmentation, rats received a bone graft plus different covering of membrane. A $3{\times}4$ mm sized block graft was harvested from the mandibular angle and was laid and stabilized with a microscrew on the naturally existing curvature of mandibular inferior border. After 10 weeks postimplantation, same histologic analysis were done. Results: In the defect model at 4 weeks post-implantation, the amount of new bone formed in defects was similar for all types of membrane. Bio-Gide$^{(R)}$ membranes induced significantly greater inflammatory response and membrane resorption than other two membranes; characterized by lymphocytes and multinucleated giant cells. At 10 weeks postoperatively, all membranes were completely resorbed. Conclusion: Dehydrotheramal treated cross-linked collagen was safe and effective in guiding bone regeneration in alveolar ridge defects and bone augmentation in rats, similar to BioGide$^{(R)}$ and BioMend$^{(R)}$, thus, could be clinically use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