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토산 함유 주사형 지지체가 성체 줄기세포 분화 중 골 형성 유전자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정창호 ( Chang Ho Jeong ),위찬우 ( Chanwoo Wee ),고성균 ( Sung Kyun Ko ),병훈 ( Byunghoon Jeong ),장철원 ( Cheolwon Jang ),임원봉 ( Wonbong Lim ) 한국키틴키토산학회 2024 한국키틴키토산학회지 Vol.29 No.1

        Several injectable materials have been applied for bone substitute in bone defect however, nothing has achieved acceptance in clinic.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whether chitosan-alginate gel/mesenchymal stem cell composites are potentially injectable substitute materials for bone remodeling. The chitosan-alginate gel/mesenchymal stem cell composites were implanted in the bone defect lesion of rat calvaria to investigate the mRNA expressions of implanted mesenchymal stem cells. The implantation of chitosan-alginate gel/mesenchymal stem cell promoted the expression of collagen type 1 in bone defect lesion and induced the growth of osteoblast cells, thereby promoting new bone formation. In addition, the new bone formation process was improved by increasing the expression of Col13a1, Tnn, Fignl1, and Chad, which are related to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s, and decreasing the expression of MMP13, which is related to the differentiation of osteoclas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chitosan-alginate gel/mesenchymal stem cell composites could be a useful tool for treatment of bone defect as a bone substitute.

      • KCI등재

        프로폴리스 및 알콜 추출물의 화학성분

        정창호(Chang Ho Jeong),배영일(Young Il Bae),이호재(Ho Jae Lee),심기환(Ki Hwan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2 No.4

        프로폴리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프로폴리스 원괴와 그 추출물의 화학성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조지방 86.41%, 가용성 무질소물 7.32%, 조단백질 2.71%, 회분 1.05% 및 조섬유 0.20%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무기성분은 Na(120.40 ㎎%), Ca(115.40 ㎎%) 및 K(105.87 ㎎%) 순으로 나타났으며, Ca 함량은 알콜 추출물보다 물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은 총 3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sucrose가 152 ㎎%로 높게 나타났고, glucose 114 ㎎% 및 fructose 6 ㎎%로 함유되어 있었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lysine, cystine 및 glutamic acid로 나타났으며, 그 함량은 각각 395.29 ㎎%, 267.66 ㎎% 및 248.14 ㎎%로 나타났다. 지방산은 총 8종이 분리되었으며, 주요 지방산으로는 oleic acid(51.89%), myristic acid(20.86%) 및 palmitic acid(20.28%)로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의 flavonol 화합물을 분석한 결과 myricetin, quercetin, apigenin 및 kaempferol이 주요 flavonol 화합물로 나타났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다른 추출물 보다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프로폴리스에 함유되어 있는 polyphenol 성분들은 gall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epicatechin 및 epicatechin gallate로 확인되었다. In order to use as a new functional food material, chemical components of propolis and its extracts were surveyed. The contents of crude fat, nitrogen free extract, crude protein, ash and crude fiber in propolis were 86.41%, 7.32%, 2.71%, 1.05% and 0.20%,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s were in the order of Na (120.40 ㎎%), Ca (115.40 ㎎%), K (105.87 ㎎%) and Ca were higher in water extract than alcohol extract. Free sugars were composed of sucrose 152 ㎎%, glucose 114 ㎎% and fructose 6 ㎎%. The major amino acids of propolis were lysine 395.29 ㎎%, cystine 267.66 ㎎% and glutamic acid 248.14 ㎎%, respectively. Eight fatty acids in propolis were identified and the major fatty acids were oleic acid (51.89%), myristic acid (20.86%) and palmitic acid (20.28%). Myricetin, quercetin, apigenin and kaempferol were shown as major flavonols and total flavonol contents were higher in 50% ethanol extract than any other extracts. Major polyphenol compounds in four kinds of extracts were gallic acid, chlorogenic acid, catechin, epigallocatechin gallate, epicatechin and epicatechin gallate.

      • KCI등재

        독일의 상호문화교육과 타자의 문제

        정창호(Jeong, Chang-Ho) 한독교육학회 201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6 No.1

        급속한 외국인의 유입과 함께, 현재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와 다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다. 이 글은 현재의 다문화적 문제와 그것의 해결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타자의 문제에 대한 좀 더 심층적인 문제제기가 필요하다는 데서 출발한다. 현재 국내외의 다문화주의 및 교육에 대한 논의가 일방적 동화주의를 비판하면서 타자 또는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가운데 통합하는 ‘다양성 속에서 통일 모델’로 수렴되고 있는 마당에서, 타자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는 이러한 ‘다양성 속에서의 통일’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을 통해서 가능한가를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먼저 독일 상호문화교육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타자에 대한 태도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재구성하였다(제2장). 이를 배경으로 타자에 대한 세 가지의 기본적 이해방식을 검토하였다. 먼저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서 타자는 전형적으로 무, 결핍을 의미했고, 근대의 헤겔은 타자의 자립성을 인정하려는 시도를 보였으나 체계와 총체성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했기에 불완전한 시도에 머물렀다. 한편 20세기 초의 사회학자 짐멜은 타자 또는 이방인을 인간 삶의 보편적 현상으로 간주함으로써 자기와 타자를 상호 보충, 보완의 관계로서 파악하여 현대의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타자관을 제시하였다(제3장). 이어서 다문화 교육이 단지 차이와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관용을 넘어서 타자와의 공생(symbiosis)을 위한 공통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어떤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간략히 제시하였다(제4장). A multicultural society consists of people, who have different conventions, manners and cultures. It could become a chance, to develop a new cultural identity of the society. But through a fast increase of heterogeneity it could also threaten a minimal consensus which is a necessary condition of any stable society. In this sense, I think,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lies in the problem of difference, otherness, etc. So the important 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lies in the question, how we could create a common way of life, which make a productive transaction between strangers possible. But this is not so easy as we expect. We can see it easily through the history of countries which has already experienced multiculturality and multi-ethnicity. In this article, I have reconstructed the development of german intercultur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other and stranger. With this background I have examined three theoretical concepts of the other: 1) the other as privative being(Plato, Aristotle), 2) the other as a moment of self-realization(G.W.F. Hegel) 3) the other as a complementary being of self(G. Simmel). Thereafter, I have insisted that we should try to extend steadily a cultural social consensus between strangers, which is possible through a democratic dialog with a hermeneutic sensitivity.

      • KCI등재

        ‘위험사회’ 에서의 교육의 책임과 역할에 대한 성찰

        정창호(Changho Jeong) 한독교육학회 201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9 No.2

        이 글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발생했던 후쿠시마 원전폭발 사고를 계기로 현대 사회에서 교육이 맡아야 할 역할과 책임에 대해서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후쿠시마 사태와 교육의 문제를 좀 더 풍부한 일반교육학적 맥락에서 연관시키기 위해 먼저 제2장에서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론’의 기본 착상을 소개하였다. 벡에 따르면 현대 사회는 전통의 근대화와는 다른 새로운 근대화의 단계로 진입했는데, 이는 전자가 스스로 산출한 파국적 위험들이 오늘날 분명하게 드러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제 우리는 파국적인 위난과 위험을 완전히 통제, 제거할 수 있다는 헛된 환상에서 벗어나서 상시적인 위험과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워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성찰적 근대화’가 요구된다. 제3장에서는 전통의 근대화의 두 축이었던 과학과 정치에서의 성찰성(reflexity)을 검토함으로써 위험사회를 교육의 문제와 연관시킬 수 있는 매개 고리를 마련하였다. 벡에 따르면 근대 사회의 필연적 발전 과정에서 사실적으로 발생한 ‘잠재적 성찰성’은 근대화의 자기모순을 성찰할 수 있는 자율적인 주체의 형성을 통해서만 실현가능하다. 벡은 이러한 작업을 ‘제2의 계몽’이라고 부른다. 제4장은 현대 교육의 역할과 책임이 바로 이 제2의 계몽을 실현하는 데에 있다고 보고, 이에 적합한 교육을 성찰적 주체의 형성, 성찰적 주체 형성을 위한 교육실천, 성찰적 교육학의 필요성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5장은 후쿠시마 사태와 같은 현대의 재난은 또 하나의 특수교육학 즉 위험교육학을 요구하기 이전에 먼저 교육 본연의 과제에 대한 더욱 철저한 반성을 요구한다는 결론으로 끝맺는다. Diese Schrift setzt sich mit der Frage auseinander, welche Rolle und Verantwortung die gegewartige Erziehung ubernehmen sollte, in Hinsicht der Kernkraftwerk-Katasrophe in Hukusima, Japan 2011. Im Kapitel 2 wird Becks Theorie der Risikogesellschaft vorgestellt. Nach seiner Analyse tritt der Modernisierungsprozess seit 19. Jh. in eine neue Phase ein, die durch alltagliches aber katasrophales Risiko im normalen Leben charakterisiert werden kann. Wir sind dadurch mit einer neuen Anfordrung gegenüberstellt worden, zu lernen, wie wir mit dem alltaglichen Risiko zusammenleben können. Im Kapitel 3 wird der Begriff Reflexive Modernisierung dargestellt. Diese Dastellung bietet einen guten Ansatzpunkt für eine reiche Verbindung zwischen Risikogesellschaft und Erziehung. Die Reflexive Modernisierung als eine potentielle Moglichkeit ist nur durch Bildung oder Erziehung der reflexiven und autonomen Subjekt realisierbar. Beck nennt diesen Prozess die zweite Aufklarung. Das Kapitel 4 geht davon aus, dass die Rolle und Verantwortungen der Erziehung in der Realisierung zweiter Aufklärung liegen. Was bedeutet diese für die Erziehung und Erziehungswissenschaft? Ich habe versucht, diese Frage in drei Punkten zu beantworten: Bildung der reflexiven Subjekten, Notwendigkeit der reflexiven Erziehungswissenschaft, einige pädagogische Richtungen in Risikogesellschaft. Die Konklusion dieser Schrift liegt darin, dass die gegenwärtige Risikogesellschaft eine tiefe Reflexion in die eigentliche Aufgabe der Erziehung anfordert.

      • KCI등재

        한국 교육개혁에 빌레펠트 실험실학교(Laborschule Bielefeld)가 주는 시사점

        정창호(Chang-Ho Jeong) 한독교육학회 2012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7 No.1

        이 글은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의 주립 실험학교(Versuchsschule)인 ‘빌레펠트 실험실학교’의 설립배경, 기본 구조 및 운영 상의 특징을 소개하고 이로부터 한국의 학교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빌레펠트 실험실학교는 독일의 개혁 교육학자 Hartmut von Hentig의 주도아래 설립된 학교이다. Hentig는 Hutchins의 ‘항존주의’와 Dewey의 ‘실험주의’라는 일견 서로 상충하는 교육학 전통을 종합함으로써 하나의 독특한 개혁학교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1장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Bielefeld 실험실학교의 설립을 주도한 Hentig의 교육철학과 거기에 기초한 이 학교의 설립배경을 제시하고, 제3장에서는 실험실학교의 개혁교육적인 운영과 실천을 살펴보며, 제4장에서는 이 학교가 ‘실험학교’로서의 자신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서 어떤 독특한 조직적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어떻게 학술적인 교육연구가 실험적인 교육실천과 맞물려 있는지를 서술한다. 제5장에서 필자는 빌레펠트 실험실학교가 표방하는 교육이념 및 실천 그리고 실험적 교육의 정신이 오늘날 한국의 학교교육의 개선과 혁신 더 나아가 한국 교육 전반에 대해 주는 시사점들을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Laborschule Bielefeld in order to find som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education in general and especially for the making of good schools in Korea. The founder of Laborschule Bielefeld (since 1974) is a german progressive pedagogue Hartmut von Hentig, whose pedagogical position relies on two seemingly contrary trends, namely the perennialism of R. M. Hutschins and the educational experimentalism of J. Dewey. In chapter II, I have described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Hartmut von Hentig and his original concept of Laborschule. In chapter III, the characteristics of Laborschule Bielefeld as a reformative school was presented with some details. In chapter IV, I have concentrated on the experimentalism of the school, which is embodied in a co-operating system of the school with a professional research institut. I think, this systematic co-operation of a pedagogical practice and theory, teacher and researcher is something to be most noticed from this school in relation to the actual debates in Korean education, which seem to be often merely drifting with partial spirits and ideological quarrels.

      • KCI등재

        황색과 자색 양파의 화학성분

        정창호(Chang Ho Jeong),김진희(Jin-Hee Kim),심기환(Ki Hwan Sh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5 No.6

        황색과 자색 양파를 기능성식품 재료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을 조사하였다. 황색과 자색 양파의 수분 및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92.80%, 5.13%와 92.47%, 5.59%로 나타났으며, 황색양파와 자색양파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K(123.64, 114.41㎎%), Na(34.09, 33.57 ㎎%) 및 Ca(18.77, 27.59 ㎎%)이었다. 황색양파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744.2 ㎎%)와 fructose(705.9 ㎎%)였으며, 자색양파에서는 sucrose(692.8 ㎎%)와 fructose(517.3 ㎎%)였다. 황색과 자색 양파의 총 아미노산 중 glutamic acid, phenylalanine 및 aspart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황색양파의 유리아미노산은 hydroxy-Lproline(27.34 ㎎%), L-serine(27.34 ㎎%) 및 L-arginine (26.25 ㎎%) 순이었고, 자색양파에서는 L-glutamic acid (16.35 ㎎%), ammonium chloride(15.22 ㎎%) 및 L-serine(10.93 ㎎%) 순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은 황색양파(19.20㎎%)보다 자색양파(28.34 ㎎%)가 높았으며, 황색과 자색양파의 quercetin 함량은 각각 15.24 ㎎%와 5.70 ㎎%였고, 총 폴리페놀 함량은 황색과 자색 양파에서 각각 0.319 ㎎/g 및 0.248 ㎎/g이었다. The chemical properties of yellow and red on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nctional food materialization and processing. The moisture and nitrogen free extract contents of yellow and red onion were 92.80%, 5.13% and 92.47%, 5.59%, respectively. Miner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were rich in K (123.64 and 114.41 ㎎%), Na (34.09 and 33.57 ㎎%) and P (27.04 and 20.56 ㎎%). The major free sugar of yellow onion were glucose (744.2 ㎎%) and fructose (705.9 ㎎%). Whereas major free sugar of red onion were sucrose (692.8 ㎎%) and fructose (517.3 ㎎%). Glutamic acid, phenylalanine and aspartic acid in yellow and red onion were major amino acids. Abundant free amino acids in yellow onion were hydroxy-L-proline (27.34 ㎎%), L-serine (27.34 ㎎%) and L-arginine (26.25 ㎎%). Abundant free amino acids in red onion were L-glutamic acid (16.35 ㎎%), ammonium chloride (15.22 ㎎%) and L-serine (10.93 ㎎%). Ascorbic acid contents are higher in red onion (28.34 ㎎%) than in yellow onion (19.20 ㎎%). Quercetin and total polyphenol of yellow and red onion were 15.24 ㎎%, 5.70 ㎎% and 0.319 ㎎/g and 0.248 ㎎/g, respectively.

      • KCI등재

        연습의 교육적 의미에 대한 고찰

        정창호(Jeong, Chang-Ho) 한독교육학회 2012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7 No.3

        Otto F. Bollnow, a philosopher of existentialism, suggested in a book published 1978 an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the exercise(Übung) as a special human activity and the self-realization of a human-being. He regards the human-being as an exercising being(ein übender Mensch) . This article is written in order to examine und reconstruct the pedagogical and philosophical meanings of exercise in the recent education. It relies mainly on the book of Bollnow, Vom Geist des Übens. In the first place, I begin with a reflection, that the exercise is mostly ignored in the theory and practice of Korean education and I would show some examples, which imply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and self-realization. Secondly I would analyse and articulate the fine philosophical arguments of Bollnow about the relationship. Conclusively I would insist that the didactics of exercise (Didaktik der Übung), which Bollnow suggested and advocated, should be seriously reconsidered, especially in the face of many demands from the post-modern situations of today. 독일의 교육철학자인 Otto F. Bollnow는 『연습의 정신에 관하여』에서 ‘연습’이라고 불리는 인간 고유의 활동이 인간의 자기실현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주장한다. 그가 보기에 인간의 본질은 ‘연습하는 존재’라는 데에 있다. 본고는 인간 존재의 본질적 활동으로서의 ‘연습’에 관한 Bollnow의 철학적 논의를 토대로 하여 현대 교육의 지형에서 연습이 가질 수 있는 교수학적 및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본고는 먼저 현재 한국의 교수학적 이론과 실천에서 연습의 과정이 경시되고 있다는 반성에서 출발하여 연습이 인간 정신의 도야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들을예증한다(제2장), 이어서 Bollnow가 제시한 연습에 대한 섬세한 철학적 논의를 논자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재구성한다(제3장). 그리고 결론적으로 탈근대적인 현대 사회의 변화된 지형과 관점 위에서 Bollnow가 70년대에 구상했던 ‘연습의 교수학’을 다시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성이 있음을 지적하고, 더불어 최근 불거진 학교폭력 문제와 연관하여 연습에 대한 올바른 인식의 중요성을 재 강조한다(제4장).

      • KCI등재후보

        다문화교육의 반성적 기초로서의 상호문화철학

        정창호(Chang Ho Jeong) 한독교육학회 2017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2 No.3

        본고는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상호문화철학이라는 새로운 철학 프로젝트 또는 연구경향을 다문화교육 일반 더 나아가 한국의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천의 철학적 기반을 강화한다는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먼저 논자는 미국의 대표적 다문화교육론자인 Banks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의식이 ‘다원성 속에서의 통일’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문제의식은 상호문화철학의 중심문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양자의 접점은 양자가 공히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등장한 문화적, 인종적 이질성과 갈등을 공생의 삶으로 발전시키려 한다는 점에 성립한다. 이러한 접점에 초점을 맞추어서 필자는 현재 상호문화철학의 주요한 대표자들이라고 할 수 있는 F. Wimmer, R. A. Mall, 그리고 Fornet-Betancourt의 주요한 입장과 개념 그리고 이론들을 검토하였다. 비머의 중심주의 비판과 다중대화(Polylog)의 개념, 말의 상호문화적 해석학과 ‘겹침’ 테제 그리고 포넷-베탕쿠어가 제시한 비판주의적 문화관과 상호문화적 대화의 의미 그리고 상호문화적 대화의 근본전제들을 검토하였다. 비머를 통해서는 상호문화철학의 핵심적인 목적을 그리고 말을 통해 상호문화적 대화와 공생을 위한 해석학적 방법을 그리고 포넷-베탕쿠어를 통해서는 신자유주의적 세계화를 거슬러 상호문화적인 세계 사회의 실현을 위한 실천적 문제의식들을 드러내는 데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상에서 살펴 본 상호문화철학의 개념과 방법론 그리고 이론들로부터 다문화교육의 이론과 실천을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으로 결론을 맺었다. The intercultural philosophy(die Interkulturelle Philosophie) is a philosophical movement or project which has been developed mainly by west-european philosophers since 1980er. An important background of it is the globalization which has been enhancing the heterogeneity and cultural conflicts of intranational and international society. My hypothesis is that we could have some useful philosophical sugges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rom the researches of intercultural philosophy. So I have tried in Chapter 2 to make a theoretical bridge between the intercultural philosophy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both have the same socio-cultural landscape of multiculturalism and share the goal namely, constructing a peaceful unity of the various cultural and racial groups, without illegitimate oppressions of course. In Chapter 3, I have surveyed the important ideas and theories of representative intercultural philosophers, for example Franz Wimmer, R. A. Mal und Raul Fornet-Betancourt, in order to give some philosophical supports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Chapter 4, I hav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could be made from the analyses above. The key point of this study is, however, an appeal to activate interactions and communictions betwee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intercultural philosophy.

      • KCI등재

        진공창호시스템 부위별 표면온도 분포 및 결로 발생 특성에 관한 실험연구

        정창호(Jeong, Chang-Ho),박재성(Park, Jae-Sung),여명석(Yeo, Myoung-Souk),김광우(Kim, Kwang-Woo)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10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temperature and condensation on a window were assessed, using vacuum insulated glass units produced by the in-vacuum chamber method. For this purpose, mock-up test was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 of preliminary study about the test methods of the surface condensation resistance performance of a window system. A general double glass window(DG Window) was selected as an alternative for comparison. As a result, in the same location,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vacuum insulated glass window(VIG Window) was 4~6 ℃ higher, in comparison with a general DG window. The surface temperature on the center of glass in the VIG window was higher than that on the frame, because of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vacuum insulated glass(VIG). On the other hand, the surface temperature on the edge of glass in the VIG window was still lower (0.9~1.5℃), than that on the frame. Therefore, for improvement of the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 VIG window, a strategy to reduce heat loss in the glass-intersection,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a frame with equal or greater thermal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the vacuum insulated glass, are required. Under the condition of room air temperature 20℃ and relative humidity of 50%, the calculated outdoor air temperature was .21.2℃, when indoor surface condensation on the VIG window begins to occur. Analyzing based on the standard weather data for Seoul, it was expected that surface condensation on the VIG window would not occur.

      • KCI등재

        국내 시판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영양성분 분석 및 항산화 활성

        정창호(Chang-Ho Jeong),최성길(Sung-Gil Choi),허호진(Ho Jin H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7 No.11

        국내 시판되는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 각각의 일반성분은 수분 10.47%와 22.67%, 조단백질 2.66%와 2.64%, 조지방 2.04%와 1.67%, 가용성물질소물 81.36%와 70.19%, 조섬유 1.48%와 0.85% 및 회분 1.99%와 1.98%였다. 총페놀화합물 함량은 라즈베리(5.340 ㎎/g)보다 블루베리(9.028 ㎎/g)가 높게 나타났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주요 무기성분은 Ca(451.34 and 97.48 ㎎/100 g), K(355.40 and 215.20 ㎎/100 g), P(321.10 and 294.04 ㎎/100 g) 및 Na(137.58 and 137.67 ㎎/100 g)이었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의 총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2,011.44 ㎎/100 g과 2,098.82 ㎎/100 g이었으며, 주요 아미노산으로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및 leucine이었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 80% 메탄올 추출물의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5 ㎎/mL에서 각각 88.67%와 62.77%, 76.34%와 30.53%의 소거활성을 보였다. 블루베리와 라즈베리 80%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은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β-carotene-linoleate와 FTC method를 이용한 항산화활성은 블루베리가 라즈베리보다 2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The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commercial blueberry and raspberry were investigated. The proximate compositions were 10.47% and 22.67% in moisture, 2.66% and 2.64% in crude protein, 2.04% and 1.67% in crude fat, 81.36% and 70.19% in nitrogen free extracts, 1.48% and 0.85% in crude fiber, and 1.99% and 1.98% in ash of blueberry and raspberry, respectively. Total phenolics content were higher in blueberry (9.028 ㎎/g) than in raspberry (5.340 ㎎/g). Major elements of blueberry and raspberry were Ca (451.34 and 97.48 ㎎/100 g), K (355.40 and 215.20 mg/100 g), P (321.10 and 294.04 ㎎/100 g), and Na (137.58 and 137.67 ㎎/100 g). The total amino acid contents of blueberry and raspberry were 2,011.44 ㎎/100 g and 2,098.82 ㎎/100 g, respectively. Amino acid were mainly composed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leucine.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80% methanol extract from blueberry and raspberry were 88.67% and 62.77%, 76.34% and 30.53% at a concentration of 5 ㎎/mL. The 80% methanol extract from blueberry and raspberry showed considerable antioxidative activity against reducing power in dose-dependent manner. Antioxidative activities using β-carotene-linoleate and FTC method were twice higher in blueberry than raspber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