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eneration of ints14 Knockout Zebrafish using CRISPR/Cas9 for the Study of Development and Disease Mechanisms

        정지혜,전상훈,김해빈,정승현 한국발생생물학회 2023 발생과 생식 Vol.27 No.4

        INTS14/VWA9, a component of the integrator complex subunits, plays a pivotal role in regulating the fate of numerous nascent RNAs transcribed by RNA polymerase II, particularly in the biogenesis of small nuclear RNAs and enhancer RNAs. Despite its significance, a comprehensive mutation model for developmental research has been lacking. To address this gap,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patterns of INTS14 during zebrafish embryonic development. We generated ints14 mutant strains using the CRISPR/Cas9 system. We validated the gRNA activity by co-injecting Cas9 protein and a single guide RNA into fertilized zebrafish eggs, subsequently confirming the presence of a 6- or 9-bp deletion in the ints14 gene. In addition, we examined the two mutant alleles through PCR analysis, T7E1 assay, TA-cloning, and sequencing. For the first time, we used the CRISPR/Cas9 system to create a model in which some sequences of the ints14 gene were removed. This breakthrough opens new avenues for in-depth exploration of the role of ints14 in animal diseases. The mutant strains generated in this study can provide a valuable resource for further investigations into the specific consequences of ints14 gene deletion during zebrafish development. This research establishes a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exploring the molecular mechanisms underlying the functions of ints14, its interactions with other genes or proteins, and its broader implications for biological processes.

      • KCI등재

        만 3세 유아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물’ 주제 탐구ㆍ표현 활동의 협력적 실행과정과 변화

        정지혜,서영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to improve children’s voluntary participation in a theme·representation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is in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process for voluntary participation? Second, What is change of teacher and children through process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or voluntary participation?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teacher and researcher conducted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at a childcare center in Seoul. The study period was from June to September 2013, and action research performed 3 cycles. Observation, interview record, journals of teacher and researcher and activity results of childre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MAXQDA 11. This study used a modified model of Kim & Kwon (2015) that modified the research model of Kemmis & McTaggart (2005) to fit this study. Each collaborative action cycle was implemented through 5 stages: plan, action, observation, reflection and improvements. These stages were repeated for 3 cycles. The first step of action research was focused on activities based on interest of children. The second step of action research was focused on representative activities. The third step of action research was focused on cooperative activity. Through the process of this study, children became active and developed constant inquiry attitude to the subject, and the teacher established the practical knowledge for the participation of the children education activity.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for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establishing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voluntary participation of children. 이 연구의 목적은 만 3세 유아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물’ 주제 탐구ㆍ표현 활동에서 협력적 실행과정을 살펴보고 유아와 교사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에소재한 직장보육시설에서 교사와 연구자가 2013년 6-9월까지로, 총 3차 실행하였다. 관찰, 면담기록, 교사와 연구자의 저널, 활동 결과물 등의 자료를 MAXQDA 11를 활용하여 정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Kemmis와 McTaggart(2005)의 연구모형을 수정하여 사용한 김영희와 권민균(2015)의 연구 모형을 이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실행과정은 계획, 실행, 관찰, 반성 및 평가, 수정된 계획의 5단계로 이 단계가 3차에 걸쳐 순환, 반복되었다. 1차 실행은 표현활동, 2차 실행은 과학실험활동, 3차 실행은 협동 활동이 중심이 되었다. 연구의 실행 과정을 통하여 유아는 주제에 대하여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탐구 태도를 가지게되었고 교사는 유아의 활동 참여를 위한 실천적 지식을 구축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유아교사의 전문성 증진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를 가지며 유아의 자발적 참여를 도모하는 교수전략수립을 위한 교사교육프로그램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 만 3세 유아를 위한 [물] 주제 탐구,표현 교육 활동의 자발적인 참여를 위한 협력적 실행 연구

        정지혜,서영민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1

        이 연구는 [물] 주제 탐구.표현 교육 활동에 유아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위한 협력적 실행 연구이다. [물] 주제 탐구.표현 교육 활동의 자발적인 참여를 위한 교사의 노력과 유아의 참여 과정을 기술하고 의미를 성찰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쩨, [물] 주제 탐구.표현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유아들의 자발적 참여에 대한 협력적 실행 연구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둘째, [물] 주제 탐구.표현 교육 활동에 참여하는 유아들의 자발적 참여에 대한 협력적 실행 과정에서 유아와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이다. 이를위해 서울에 소재한 대학 부설 어린이집 만 3세 1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2013년 8월 5일부터 9월30일까지 총 6주간(39회기)에 걸쳐 활동을 실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동영상 촬영, 교육활동일지, 교육활동 관찰 자료, 성찰일지, 활동 결과물이다. 연구 절차는 문제파악 및 계획단계, 계획의 실천과 변화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관찰 단계, 과정 및 결과에 대한 반성 단계, 수정된 계획에 의한 실천과 반성의 반복단계이다. 이 과정을 통해 유아들은 [물] 주제 탐구.표현 교육 활동에 적극적인 태도록 자발적 참여하게 되었으며 [물]에 대한 심층적인 탐구가 가능하게 되었다. 유아들은 [물]에 대한 관심을 교육 확동시간 뿐만 아니라 어린이집 하루 일과를 통하여 자연스럽게 드러내었다. 교사는 유아들의 [물] 주제 탐구.표현 교육 활동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교수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이루어졌다. 또한 유아들의 잠재적인 능력을 확인하고 체제적인 교수 설계에 대한 인식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유아 교육 현장에서 유아의 자발성을 끌어내기 위한 교사의 교수학습방법 및 교수 전략 구축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Recent Progress on Kubas-type Hydrogen-storage Nanomaterials: from Theories to Experiments

        정지혜,임지순,Hoonkyung Lee 한국물리학회 2015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6 No.11

        Transition-metal (TM) atoms are known to form TM-H2 complexes, which are collectively called Kubas dihydrogen complexes. The TM-H2 complexes are formed through the hybridization of the TM d orbitals with the H2 and orbitals. The adsorption energy of H2 molecules in the TM-H2 complexes is usually within the range of energy required for reversible H2 storage at room temperature and ambient pressure (−0.4 −0.2 eV/H2). Thus, TM-H2 complexes have been investigated as potential Kubas-type hydrogen-storage materials. Recently, TM-decorated nanomaterial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ir promising high capacity and reversibility as Kubas-type hydrogen-storage materials. The hydrogen storage capacity of TM-decorated nanomaterials is expected to be as large as 9 wt%, which is suitable for certain vehicular applications. However, in the TM-decorated nanostructures, the TM atoms prefer to form clusters because of the large cohesive energy (approximately 4 eV), which leads to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hydrogen-storage capacity. On the other hand, Ca atoms can form complexes with H2 molecules via Kubas-like interactions. Ca atoms attached to nanomaterials have been reported to be able to adsorb as many H2 molecules as TM atoms. Ca atoms tend to cluster less because of the small cohesive energy of bulk Ca (1.83 eV), which is much smaller than those of bulk TMs.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Kubas interactions can occur in d orbital-free elements, thereby making Ca a more suitable element for attracting H2 in hydrogen-storage materials. Recently, Kubas-type TM-based, hydrogen- storage materials were experimentally synthesized, and the Kubas-type interactions were measured to be stronger than the van der Waals interactions. In this review, the recent progress of Kubas-type hydrogen- storage materials will be discussed from both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viewpoints.

      • KCI등재

        메주로부터 분리한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의 Bacillus polyfermenticus CJ9

        정지혜,장해춘,Jung, Ji-Hye,Chang, Hae-Choon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2009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ol.25 No.4

        메주로부터 항진균 및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분리하고 동정하여 B. polyfermenticus CJ9로 명명하였다. B. polyfermenticus CJ9의 생육에 따른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항세균 활성은 배양 12시간에 최대 활성을 나타내며 72시간까지 90% 이상 활성을 유지하다 120시간에 활성을 완전히 상실하였다. 항진균 활성은 배양 24시간 이후부터 최대 활성을 나타내었고, 사멸기 이후 활성이 다소 감소되었으나 배양 120시간까지 활성이 유지되었다. B. polyfermenticus CJ9은 식품과 인체에 유해한 곰팡이, 효모,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과 항세균 활성을 동시에 나타내었다. B. polyfermenticus CJ9의 항세균 활성은 $37^{\circ}C$ 에서 24시간 열처리 후에 활성을 상실하였으며, pH 5.0~9.0 구간에서는 안정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pH 3.0~4.0 구간에서 활성이 감소하였다. 항진균 물질은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시 활성이 감소되었으나 역가가 완전히 소실되지 않았으며, pH 3.0~9.0 구간에서 안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세균 물질과 항진균 물질은 proteinase K, protease, trypsin, $\alpha$-chymotrypsin 등의 단백분해효소 처리로 역가를 상실하거나 일부 감소되어 단백질성 물질임을 추정하였다. B. polyfermenticus CJ9의 항세균 물질과 항진균 물질을 $C_{18}$ Sep-Pak column에 흡착된 분획으로부터 역가를 확인하여 소수성 물질임을 알 수 있었으며, Tricine-SDS-PAGE 및 direct detection 실험을 통하여 분자량을 확인한 결과 항진균 물질은 약 1.4 kDa의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항세균 활성 물질은 열 불안정성 때문에 동 실험법상에서 그 분자량을 확인할 수 없었다. B. polyfermenticus CJ9이 생산하는 항균 물질은 항세균 및 항진균 활성을 동시에 가지는 단백질성 물질로서 천연 식품보존제 및 정장제재로 활용이 기대되며, 이를 위하여 항세균 물질과 항진균 물질의 정제 및 구조분석 등의 연구가 필요하다. A CJ9 bacterial strain, which showed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was isolated from meju and identified as Bacillus polyfermenticus based on Gram staining, biochemical properties, as well as its 16S rRNA sequence. B. polyfermenticus CJ9 show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various pathogenic molds, yeasts, and bacteria.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stable in the pH 5.0~9.0, but the activity was lost at $37^{\circ}C$ for 24 hr. The antifungal activity was stable in the pH range of 3.0~9.0 and reduced at $121^{\circ}C$ for 15 min, but antifungal activity was not completely destroyed. The antibacterial activity was completely inactivated by proteinase K, protease, trypsin, and $\alpha$-chymotrypsin. The antifungal activity was also completely inactivated by protease and $\alpha$-chymotrypsin, and reduced its activity by proteinase which indicated that the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compounds have proteineous nature. The apparent molecular mass of the partially purified antifungal compound, as indicated by using the direct detection method in Tricine-SDS-PAGE, was approximately 1.4 kDa. The molecular mass of the antibacterial compound could not be determined because of its heat-liable characteris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