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윤리-정치적 진리와 순자의 正名-三惑을 중심으로

        정재현(Chong, Chaehyun)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1 철학탐구 Vol.63 No.-

        이 논문은 『순자』 「정명」편의 三惑을 중심으로 하여 순자의 정명사상이 유가의 윤리-정치적 진리를 확보하기 위한 것임을 밝히려고 한다. 이를 위해 순자의 명과 실의 개념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삼혹을 해명한다. 기존의 삼혹 해석은 순자가 직접 사용한 명과 실의 개념을 사용해서 해석하지 않고, 또한 지나치게 명가와 후기묵가의 주장들에만 초점을 맞추어 해석한 측면이 있다. 이 글은 이와는 달리 순자 삼혹의 모든 주장들을 “혹어용명이난명,” “혹어용실이난명,” “혹어용명이난실”이라는 삼혹을 규정하는 표현들은 물론이고, 이 삼혹을 방지하기 위한 순자의 제안들을 모두 동원해서 해석해 보려고 한다. 이를 통해 순자의 정명이 단순히 논리적, 언어철학적인 측면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윤리-정치철학적인 측면이 있음을 보일 것이다. This paper tries to reveal that Xunzi’s rectification of names is to secure the ethico-political truth, focusing on the three cognitive delusions(sanhuo 三惑) at Zhengming pien(正名篇) of Xunzi(荀子). To this end, the Xunzi’s concepts of the name and object are clarified, and based on this, the three cognitive delusions are explained. The existing interpretations on the three cognitive delusions do not interpret them using the concepts of name and object used by Xunzi, but also focus mainly on the arguments of the Gongsun Long(公孫龍), Hui Shih(惠施) and Neo-Mohists(後期墨家). In contrast to this, this paper deals with all the expressions made by Xunzi on the three cognitive delusions- all statements of sanhuo, the characterizations of sanhuo in terms of the concepts of name and object, and the remedial measures to prevent sanhuo. Through these attempts, it will be shown that Xunzi"s rectification of names is not simply logical and linguistical, but also ethical and political.

      • KCI등재

        사단칠정론은 철학이론인가?

        정재현 ( Chaehyun Chong ) 한국유교학회 202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3

        이 논문의 목표는 사단칠정론이 철학이론이 아님을 보이고, 철학이론이 되기 위해서 어떤 것이 필요한지를 제시하려는 것이다. 나는 이러한 주장을 위해 철학이론은 철학문제의 해결을 지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경험사실을 그 토대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내가 생각하는 경험사실은 당대의 과학이 제공하는 정보는 물론이고, 수양을 통해 얻은 체험 및 정치, 사회제도이다. 리기론에 기반한 기존의 사단칠정론은 이러한 경험사실들의 기반이 없기에 적절한 철학이론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앞서 제시한 세 가지 경험사실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새롭게 사단칠정론을 구성한다면 우리는 철학이론으로서의 사단칠정론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so-called theory of Four-Seven (四端七情論) is not a philosophical theory, and to present what is necessary to become a philosophical theory. I insist that philosophical theory should aim to solve the philosophical problem and for this, it should be based on the facts of experience. The facts of experience I think are not only the information provided by science of the time, but also the experiences gained through self-cultivation and political and social systems. The existing theory of Four Seven based on the theory of li-gi(理氣論) cannot be an appropriate philosophical theory because there is no basis for these experiences in it. Therefore, if we newly construct the theory of Four-Seven by using one of the three experiences presented above, we will be able to have the theory of Four-Seven as a philosophy theory.

      • KCI등재
      • KCI등재

        道의 철학과 道의 언어학

        정재현(Chaehyun Chong) 한국양명학회 2003 陽明學 Vol.- No.10

        이 글의 목적은 道라는 개념을 통해 고대 중국의 철학사상과 언어사상을 효과적으로 해명하는 것이다. 고대 중국의 철학사상은 고대 중국의 언어이론, 고전 중국어의 언어형태와 서로 상용하면서 발전했다. 그 상응의 매개가 바로 道이다. 고대의 중국철학자들이 추구한 도란 윤리 규범성, 전체성, 역동성, 비환원성의 특성을 지닌다. 그와 상응하는 중국의 언어학도 그 의미론이나 형태론에서 그러한 도의 특성들을 드러낸다. 그리고 이러한 도의 언어이론, 도의 철학사상과 상응하는 고전중국어의 구조적 특성은 주ㆍ술 관계의 문장구조가 명확히 표현되지 않고, 문장 내에서의 한 단어의 역할 즉, 품사의 구별이 없고, 의미를 확정하는 데 있어서 글자의 순서나 문맥에 의존하고, 단어와 문장 간의 구별이 불분명하고 문자의 상형성 내지 표의성이 있으며, 계사가 부재한다는 것 등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ancient Chinese philosophy and linguistics through the concept of the Dao. Ancient Chinese thought had developed together with ancient Chinese theories of language and the linguistic features of Classical Chinese. The concept of the Dao served as an intermediary among them. The Dao which ancient Chinese philosophers sought for has several characteristics: ethical normativity, wholeness, dynamicity, non-reducibility. linguistic studies also revealed them. The following linguistic features of Classical Chinese are the cause and/or the effect of such Dao-based philosophy and linguistics: No explicit subject-predicate sentential structure, no parts of speech, heavy reliance on the word order and context for meaning determination, no explicit distinction between compound words and a sentence, the pictographic or the ideographic features of Chinese graphs, and non-existence of a copula.

      • KCI등재

        인공지능으로 유교성인 만들기 ― 한국철학의 정초를 위한 실험철학적 시론 ―

        정재현 ( Chong Chaehyun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21 동양문화연구 Vol.35 No.-

        이 글의 목적은 ‘유교 성인 AI 만들기’의 사고 실험을 통해 어떻게 한국철학이 가능할 것인지를 모색해보는 데 있다. 한국철학은 한국인이 부딪힌 구체적인 사회현실의 문제점들 속에서 보편적 해결방식을 모색해보는 것이다. 유교 성인 AI 만들기는 공정성 훼손, 부의 양극화, 이념적 대립의 한국문제를 유교 성인이라는 대안으로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가리킨다. 이러한 사고가 가능한 것은 유교 성인의 교육프로그램과 AI의 학습과 정이 유사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중앙집권적이고, 연쇄적이며, 이성적인 것이 아니고, 국소적이고 통합적이며, 감정적인 것이다. 이러한 유사성의 지적은 덕의 행동주의적 해석, 감정의 기능주의적 해석, 깨달음에 대한 객관주의적 해석의 가정하에 이루어진다. ‘유교 성인 AI 만들기’의 시도는 그 구현에 있어서 설사 실패로 돌아가더라도, 철학적이고 교육적인 측면에서는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결국 ‘유교 성인 AI 만들기’는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집단 지성의 탐구 과정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how Korean philosophy will be possible through the thought experiment of ‘Making Confucian Sage AI’. By Korean Philosophy, I mean the attempt to find universal solutions to the specific social realities faced by Koreans. Making Confucian Sage AI refers to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present Korean problems of the damage of fairness, the extreme wealth polarization,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among Koreans. This kind of thinking is possible because the educational program for Confucian sage and the learning process of AI are similar. It is characterized not by centralized, sequential, and rational, but by local, integrated, and emotional. These similarities are pointed out under the assumption of a behaviorist interpretation of virtue, a functionalist interpretation of emotion, and an objectivist interpretation of enlightenment. Even if this attempt to 'make Confucian sage AI' fails in its implementation, it will be of great help in terms of philosophical and educational aspects. This is because, in the end, ‘making Confucian sage AI’ will be a process of exploration of collective intelligence to solve social problems.

      • KCI등재

        四端七情論辯의 名學的 解釋

        정재현 한국중국학회 2002 중국학보 Vol.46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lucidate the Four-Seven Debate between T'oegye and Kobo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udy of Names (ming-xue, 名學), which is so-called Chinese logic. This interpretation of the Four-Seven Debate says that the T'oegye-Kobong debate results from mutual encouragement toward the common goal, that is, becoming a sage, not from any difference in their studies. Their differences are explained in terms not of ideology or learning, but of preference or intention. Besides, their different preferences or intentions are not contrary, but rather complementary. It, however, is also true that this interpretation is too explanatory to disclose the limitation of the Four-Seven Deb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