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의 현상학적 전환

        정재현(Chung, Jae Hyun),박욱주(Park, Wook Joo) 새한철학회 2018 哲學論叢 Vol.94 No.4

        본 연구는 초기 사이버네틱스의 기본이념에 대한 드레이퍼스(Hubert L. Dreyfus)의 비판적 성찰의 핵심 요소들을 부분적으로 간략하게 살펴보고, 그가 수행한 작업이 오늘날의 인공지능 연구자들에게 어떤 인간학적인 함의를 전해줄 수 있을지를 철학사적 관점에서 보충적으로 성찰하고 짚어보는 데 주된 목표를 설정한다. 본 연구의 핵심적인 물음은 다음과 같다. “오늘날까지 사이버네틱스 연구자들을 지배하는 존재론적 가정의 철학사적 기원은 무엇인가? 인간의 의식에 대한 이들의 가정은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를 맞이하는 오늘날 어떤 양태의 근원적 문제들을 유발하는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사이버네틱스의 역사, 그리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사이버네틱스의 기본이념에 대한 드레이퍼스의 비판적 성찰을 간략히 고찰한다. 여기서는 인간 의식과 인공지능 간의 근원적 차이, 그리고 초기 사이버네틱스 연구자들 사이에 공유되던 존재론적 가정의 진면목과 문제점에 대한 드레이퍼스의 견해를 살피는 데 초점을 맞춘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이런 존재론적 가정에 대해 그가 수행하지 못한 철학사적 분석을 추가로 진행함으로써 그의 사이버네틱스 성찰이 가진 함의를 오늘날의 인공지능 개발 현실에 발맞춰 길어내는 데 주력한다. 무엇보다 인공신경망 기반 기계학습 인공지능이 각광받는 오늘의 현실에서도 드레이퍼스의 현상학적 성찰이 유의미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을지를 살피는 데 논의의 초점을 맞춘다. The present study is aimed at examining core factors in Hubert L. Dreyfus` critical reflections on the basic ideology of early cybernetics, an investigation followed by an additional reflection on some anthropological implications of his critique for today`s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ers. The present study raises the following questions: "What is the philosophical origin of the ontological assumption which has dominated contemporary cybernetics researchers? What types of fundamental problems has this assumption on human consciousness caused by now?"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first undertakes the task of looking over the history of cybernetics and its basic ideology, which has been subject to Dreyfus" reflective criticism. The first part of this study concentrates on his observations on fundamental differences between human consciousnes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is views on the real nature and problems of ontological assumption, which were widely shared by early cybernetics researchers. Afterwards, the present study proceeds to an additional philosophical-historical analysis of cybernetics` ontological assumption in such a way that this study can shed some light on the implications of Dreyfus` reflections on cybernetics. The focus of the later part of this study is on the existential validity of his phenomenological reflections in today`s reality in which an interest in machine learning, which i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s, prevails among cybernetics researchers and the public.

      • KCI등재

        "올바름"에서 "베풀음"으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를 해방시키기 위하여

        정재현 ( Jae Hyun Chung ) 한국중세철학회 2006 중세철학 Vol.0 No.12

        본 연구는 인간의 자유가 현실적으로 지녀야 하는 뜻에 대해서 살피고자 하는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유가 억압 구조에서 더 고귀한 것으로 여겨진다는 점에 주목한다. 말하자면 자유의 역설적 구조이다. 그런데 자유는 억압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지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학문의 전유물로만 간주될 수는 없다. 그래서 인간학적인 접근이 요청된다. 게다가 자유의 역사에서 신 또는 초월자와의 관계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인간의 자유가 유한하다는 것은 특별히 신의 완전하고 무한한 자유에 비추어 인식되어 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유에 대하여 살피기 위해서 신학적 영역과 인간학의 영역은 불가분리의 관계를 지닌다. 인간학적 접근을 통해서는 자유의 역설적 구조가 어떤 형태로 드러나는지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신학적 영역에서는 인간의 자유가 그저 유한에만 머무르지 않고 미래를 지향하고 개방시키는 실제적 힘을 뜻하는 초월적 성격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 나타난다. 따라서 자유의 현실적 구조와 그것이 인간을 어떤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지 살피기 위해 우리는 신학적 접근과 인간학적 접근을 통합할 필요가 있다. 자유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가지기 위해 본 연구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의지론을 새롭게 읽고자 한다. 그런데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의지론은 신정론이라는 의도에서 시작되고 있다. 그렇지만 그의 자유론을 신정론의 측면에만 국한시켜 본다면, 인간의 자유는 설명하기 힘든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 그에게 자유의지는 신의 형상과 인간의 죄성이라는 두 축 사이에 끼여 오묘하면서 애매한 형태의 모순으로 이해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신의 형상이라는 측면에서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이지만, 인간의 죄성이라는 측면에서 인간은 오염된 존재로서 선을 향한 자유를 잃어버린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이것은 아우구스티누스의 자유론을 신정론의 방향에서만 접근했을 때 초래되는 결과이다. 신정론의 관점은 신의 `올바름`에만 초점을 맞춘 것이어서 자유를 인간의 삶과 적극적으로 연관시킬 것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말하자면 `신이란 무엇인가?`로 표상되는 신의 정체 물음에만 초점을 맞추고 이에 대답하려는 데에만 집중했기 때문에 자유와 뗄 수 없는 관계에 있는 `왜 사는가?`라는 물음을 던질 수밖에 없는 인간의 삶이 이에 견주어질 비중을 지닐 수는 없었다. 한 마디로 `무엇` 물음이 지배하던 시대인지라 신 자체의 올바름만이 관건이었고 이 물음을 넘어서거나 제켜놓고서라도 인간의 자유에 진지하게 주목하는 `왜`라는 물음은 될 수 있는 대로 억눌려지고 덮여져야 할 뿐이었다. 이 점에서 우리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신정론적 의도가 초래하는 자유의 모순된 구조를 비판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 논문은 신정론적 관점을 넘어서 `신학적-인간학적` 관점에서 그의 자유의지론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그런데 신정론의 관점으로 부터 신학적-인간학적 관점으로 전환하려고 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인간을 향한 신의 `베풀음`을 뜻하는 `은총`의 개념이다. 말하자면 아우구스티누스의 은총론에서 하나의 가능성이 발견된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설파하려는 자유는 신의 `올바름`에만 주목하는 신정론적 차원에서보다는 인간을 향한 신의 `베풀음`을 뜻하는 은총에서 그 뜻이 분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자유의 역설적 구조를 실현하게 되는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o the real meaning of freedom in our actual lif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laces its focus on the fact that freedom is considered more previous in the oppressive structure. In other words, it observes the paradoxical structure of freedom. Since freedom receives attention and significance wherever there is oppression, it cannot be regarded as exclusive property of specific science. Thus, it requires anthropological approach. Furthermore, God or the transcendent has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history of human freedom. For the finitude of freedom has been recognized in comparison with the perfect and infinite freedom of God. Accordingly, theological approach and anthropological one are inseparable from each other. In the anthropological approach, the paradoxical structure of freedom is revealed, whereas in the theological approach human freedom appears to have transcendent quality for future-oriented liberation. Hence, we need to integrate those two approaches in order to look into the real feature of freedom. In this study we try to read the free will theory by Augustine with a view to constituting an integrating view of human freedom. As well known, Augustine`s theory begins with the intention of theodicy. However, if we stay in the theodicy perspective, human freedom cannot but fall into a dilemma which cannot be resolved easily. For his theory of free will is understood as an obscure contradiction between the image of God and human sinfulness. In the image of God, human being is free, while in sinfulness the human is described as losing freedom for the good. This is an inevitable consequence of theodicy standpoint with regard to freedom. Theodicy concentrates on the `righteousness` of God in such a way that freedom hardly receives significance in relation to human life. That is to say, focus is placed upon the question of God`s identity so much so that freedom cannot be connected with human life. In this sense, this study criticizes the contradictory structure of human freedom which is induced by theodicy. Concomitantly, this study tries to reconstitute his theory of free will beyond the theodicy inten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oves its concern to the concept of grace which implies the `unconditional giving` of God. For freedom in the Augustinian sense makes sense more plausibly not so much in theodicy as in grace. In the thought of Augustine, the grace of God is depicted as the power of enabling humans to participate in the divine freedom which leads them to authentic freedom. In a word, it is a liberation of human freedom by divine grace. Here freedom becomes symbol for the liberation of life. This means that human freedom is liberated from the classical metaphysics which regards freedom merely as an ethical element. Freedom appears as symbol for the goal of life, and not as a given constituent of human being. If freedom is understood in such terms, apparent contradictions in life may be accepted in terms of paradoxical reciprocity. In this way, freedom may accomplish its own meaning if it is considered the symbol of integration rather than as a partial element.

      • KCI등재

        우상파괴를 통한 종교해방

        정재현(Chung, Jae-Hyun) 한국신학연구소 2014 신학사상 Vol.0 No.166

        본 논문은 종교의 존재이유를 부정하는 무종교인들이 늘어가는 현실에서 종교인과 무종교인에게 공통적으로 적절한 종교의 의미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무종교인들의 종교 비판에서 핵심 주제인 종교적 우상화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종교인의 신앙을 성찰하고 나아가 무종교인도 공감할 수 있는 종교의 진정성을 향한 길을 찾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우상화의 문제와 관련하여 일본 선불교의 교토학파를 이끌었던 니시타니의 공 사상과 이보다 앞서 유럽기독교를 비판했던 포이어바흐의 투사이론을 견주면서 재해석하는 방식을 취한다. 우상화가 자기보존본능에 의한 것이니만큼 결국 인간의 자기중심주의에 뿌리를 둔 종교적 현상으로서 자기집착이나 자기도취와 같은 일상적 행태가 그 근본원인임을 드러낸다. 따라서 해결방안은 '자기'의 문제로 귀결될 수밖에 없으니 자기 비움이 우상파괴의 지름길이고 이것이 곧 종교를 우상화의 굴레로부터 해방시켜냄으로써 종교의 본래성을 회복시키는 길이라고 주장한다. 여기서 이들 두 사상가가 서로 다른 종교와 문화적 배경에도 불구하고 비종교화를 통한 종교의 본래성 회복이라는 '종교의 역설'을 갈파하는 공통성을 지닌다는 점을 확인하는 것은 큰 수확이다. 물론 공의 '자체'와 '투사'가 받을 수도 있는 오해가능성에 대한 경계의 필요성 논의도 덧붙인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construct an appropriate meaning of religion for the non-religious as well as the religious, in the context in which the population of the non-religious who deny the meaning of religion grows very rapidly. For this, this essay thoroughly analyzes idolization, which frequently appears in the criticism of religion among the non-affiliated, thereby criticizing the faith of believers, and furthermore, tries to find the way towards the authentication of religion which even the non-affiliated might accept. More concretely, it tries to reinterpret the sunyata thought of Nishitani who leads the Kyoto School in Japanese Zen Buddhism and the projection theory of Feuerbach who criticizes the traditional European Christianity in a conjunctive manner. Since idolatry is driven by the natural instinct of self-preservation, it is evident that the ordinary behaviors such as self-attachment or narcissism in religion are its basic cause. Accordingly, focus is to be placed on the issue of 'self' for solving this problem. It is thus claimed that self-emptying is the way to iconoclasm, and thereby being the method of recovering the authenticity of religion by liberating religion from the bondage of idolatry. Here it is clearly confirmed that both Nishitani and Feuerbach share in common 'the paradox of religion,' namely, the recovery of the genuineness of religion through de-religionizing, in spite of their respective religions and cultures. Also it includes a critique that both thinkers should have prepared for the possible misinterpretation of their key notions such as 'self in sunyata' and 'projection.'

      • KCI등재

        함석헌의 생명 사상

        정재현(Chung Jae-Hyu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0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24 No.-

        본 연구는 한국 현대사의 사상적 거목인 함석헌 선생의 사상을 생명의 관점으로 재조명한다. 그의 예언자적 통찰은 생명이 죽음으로부터의 자유라는 일반적 통념의 역사를 뒤엎는다. 오히려 그는 죽음과 얽힌 삶의 역설, 영원히 살고자 하는 욕망으로부터의 자유가 바로 참 생명임을 갈파한다. 즉 인간의 본질과 삶의 가치에 대한 의미론적 차원의 물음이 참 생명됨이요, 생과 사의 모순이 역설적 통일을 통해 전환됨으로써 생명은 참에 이른다는 것이다. ‘참’으로서의 생명은 각각의 고유함을 지키면서 또한 다름과의 만남을 통해 ‘함’이 가리키는 실천에 이른다. 생명은 이성의 동일성으로 누를 수 없는 ‘서로 다른 고유함’이다. 또한 생명의 고유함은 바로 시간을 가리키는 ‘언제’와 공간을 가리키는 ‘어디서’로 이루어진 ‘누가’로 표현될 수 있다. 그 ‘누가’는 자신의 삶과 죽음의 얽힘 속에서 ‘왜’라는 자기만의 물음을 안고 살아가고 있는 고유한 누가이다. 함석현의 대듦과 맞섬으로서의 생명은 바로 이러한 고유함과 다름을 잃지 않으려는 생명의 속성이다. 이 생명이 ‘함’에 이르는 것은 다시금 자기부정을 통해 둘 사이의 경계를 허물어뜨림으로써, 즉 역설의 자유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로써 ‘합’은 ‘다름과의 만남’을 통해 사실에서 의미로의 심화를 거쳐 더욱 풍성해진 생명에 이른다. ‘삶과 죽음의 얽힘’이 가리키는 역설은 ‘비움과 버림으로서의 함’에서 절정에 이른다. 그리고 생명의 그러한 역설적 자유는 우리에게 사회-역사적 사명을 준엄하게 요구한다. 특히 한국기독교 역사에서 교회가 사회적 책임에 대해 방기하고 있는 현실을 예리하고도 단호하게 비판하고 가야할 길을 제시하는 그의 예언자적 통찰로부터 그의 생명 사상이 지닌 사회-역사적 차원에서의 종교적 의미까지 아울러 살펴낼 수 있다. 즉, 역설적 자유로서의 생명은 죽음 없이 영원히 살고자 하는 우상화된 종교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요, 이를 통해 부패해가는 한국 기독교의 개혁을 위한 자기부정의 깃발을 다시금 이 땅의 교회에 세우는 길이라고 함석헌은 외친다. 반세기 전의 외침이지만 오늘날에도 여전히 절실한 가르침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This paper tries to elucidate,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issue of life, the core thought of Ham Seok-Heon, who is considered a great thinker in the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His prophetic insight into the reality of life overturns the history of vulgar notion of life as the negation of, or freedom from, death. Rather, he contends that life would be true only if it is freedom from 'the freedom from death’ by overcoming the desire for eternal life. According to him, life becomes authentic only when we ask the question of the essence of the human and its value. That is to say, only through the paradoxical unity of life and death can we arrive at the stage of true being. Life as ‘the true’ can be put into practice, which he calls ‘doing’, through encountering with others while keeping its own irreplaceable uniqueness. The uniqueness of life, which cannot be overruled by the principle of identity of reason, may be understood as ‘who’ that is composed of ‘when’ designating time and ‘where’ signifying place. This ‘who’ is unique in the sense that s/he tries to ask his/her own question of ‘why’ in the context of the paradoxical unity of life and death. Life as the ‘challenging’ and ‘countering’ which Ham emphasizes represents the core essence of life which wants to keep its own uniqueness and difference. The true of this life comes to arrive at the stage of 'doing', once again, through breaking the barrier between life and death, namely, through their paradoxical unity. Owing to this can 'doing' become a more abundant and fruitful life by means of transition from fact to meaning. The paradoxical unity of life and death culminates in the exercise of paradoxical freedom by 'doing as emptying and abandoning.' In other words, the paradoxical freedom of life vigorously requires us of our socio-historical mission. Accordingly, we may draw upon religious significances from his prophetic proclamation which criticizes the reality of church which ignores its own responsibility for society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in Korea. That is, life as paradoxical freedom proclaims the message of warning against the religion of idolatry which is longing for eternal life as over against the paradoxical unity of life and death. Furthermore, it also represents the way in which the flag of self-emptying may be set up in the church for the reformation of Christianity in Korea. Although Ham shouted this with his deep agony about a half century ago, his message still appears to us as urgent and necessary teaching for our life and society.

      • KCI등재

        ‘종교적 인간’에서 ‘신앙하는 인간’으로: 종교신학에 대한 파니카의 비판을 통하여

        정재현(Chung Jae-Hy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09 신학사상 Vol.0 No.146

        본 연구는 절대적 진리를 표방하는 종교가 여럿인 현실에서 종교들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가 라는 물음과 나아가 과연 그런 판단이 진정한 신앙을 위해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라는 물음을 관심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종교신학에서 개진된 관계유형에 대한 논의들을 분석하고 평가한다. 아울러 그러한 논의들이 나름대로 의미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었으니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시도한다. 구체적으로 소위 배타주의, 포괄주의, 다원주의로 분류되는 유형들을 대표하는 주장을 담은 연구물들을 분석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이들 중의 어느 하나를 택하여 지지하면서 다른 입장들을 반박하는 방식으로 입장표명을 하기보다는, 오히려 각 입장이 그러한 현격한 대조와 차이에도 불구하고 공교롭게도‘하나의 종교’라는 몰역사적인 허상의 전제를 공유함으로써 바람직한 종교적 정체성을 위해서는 오히려 모두 적절하지 않다고 비판한다. 그리고 그 대안으로서 인간에게 개체적인‘신앙’이라는 범주를 통해‘삶의 다름과 믿음의 뜻’이 얽히도록 해야 하며 이를 위해‘종교적 인간’이‘신앙하는 인간(homo fidei)’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역설한다. 이 대목에서 위의 유형분류를 넘어서는 신앙적 각성을 위한 통찰을 시도하는 파니카의 연구를 주요한 전거로 사용한다. 우상 파괴를 향한 그의 신학적 성토가 한국 교회를 향해서도 소중한 깨우침이 될것이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question concerning the relation of various religions claiming absolute truth and the significance of such relations for authentic fait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elational typology of religions such as exclusivism, inclusivism, and pluralism. However, this study does not choose one among others and support it by opposing the others; rather, it claims that none of the existing positions are appropriate for a desirable relation of religions. For although they are remarkably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y inevitably share in common the unrealistic assumption of ‘one religion’for all different individual believers by using one and the same name of religion. Thus this study tries to figure out a more desirable and appropriate alternative by suggest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humans from ‘homo religiosus’to ‘homo fidei’for more authentic sense of faith. For this transition, this study uses the relevant works of Raimundo Panikkar, whose vigorous voice of iconoclas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awakening of Korean Christianity characterized by narcissistic idolatry.

      • KCI등재후보

        기독교 신앙에 대한 철학적 성찰 -믿음과 깨달음의 얽힘에 주목하면서-

        정재현 ( Jae Hyun Chung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1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7 No.2

        본 연구는 기독교에서 신의 은총에 대한 과도한 집중과 강조로 인하여 믿음을 삶에서의 구체적인 실천/행위와 별개로 간주해 왔던 전통적인 접근이 초래한 문제들을 진단하고 이에 대하여 믿음의 본 뜻을 전인적으로 새롭게 일구어 냄으로써 믿음에 대해 행위, 깨달음, 또는 수행 등이 별 개의 부수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믿음 자체를 구성하는 본질적 요소들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이미 행해져오고 있는 기독교 신앙에 대해 그 대상과 정체, 근거, 그리고 방법에 대해 현상적으로 분석하고 각 항목에서 그 대안을 모색함으로써 신앙성찰의 방식을 통해 그러한 주장에 이르는 전개과정을 취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우선 기독교에서 믿음의 대상인 하느님이 그 자체로 서의 하느님이 아니라 인간이 믿고 싶은 대로 믿고 있는 하느님임을 드러냄으로써 성찰의 필수성을 주장하고, 그럴 수밖에 없는 이유를 믿음의 정체에 대한 논의에서 밝힘으로써 해결의 실마리를 모색한다. 결국 믿음을 삶에 이음으로써 믿음의 이유에 대한 종교적 설정의 허구성을 드러내고 그러한 허구성을 극복하기 위한 믿음의 길로서 깨달음과 수행의 뜻을 캐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로써 믿음과 수행이 서로 속해 있으면서 서로를 이루는 관계임을 밝히고 이를 통해 기독교사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었던 믿음과 행위의 관계에 대한 성찰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뜻도 아울러 도모하고자 했다. 이러한 새로운 자리 매김이 불교를 포함하는 동양종교들과 건강한 대화와 교류를위해 의미로운 것임은 재론의 여지가 없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rt that, even in Christianity, faith and awakening be intrinsically interwoven with each other in such a way that awakening or practical act is not a separate subsidiary but an essential component of faith. For this purpose, it analyzes the problems raised by the conventional tendency to overemphasize the divine grace, and tries to elaborate the significance of faith in terms of the whole process of human life. For such analysis, this study deals with the object of faith, the identity or essence of faith, the reason or basis of faith, and the way of faith consecutively and consistently. In other words, it takes the method of faith-reflection in order to arrive at such conclusion. More concretely speaking, this study begins its analysis of God as the object of faith in Christianity who cannot be believed in terms of Godself but as desirably believed by human existences. This analysis includes a discussion on the essence of faith which may explain why people believe God in accordance with what they want to believ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vacuity of the reason or basis of faith such that there should be no substantial reason for faith. Consequently, the unconditional faith which overcomes narcissism and idolatry caused by vulgar and blind beliefs appears to be the way in which faith and awakening may be interwoven and co-constitutive with each other in such a way as to include kenosis and iconoclasm. This task not only implie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perennial controversy over the relation of faith and act in the history of Christianity, but also provides a clue to a more fruitful encounter and dialogue between Christianity and Eastern religions including Buddhism.

      • KCI등재

        인격성의 폭력과 탈신화화: 신정록적 발상에 대한 불트만 해석학의 처방을 시도하며

        정재현(Chung,Jae-Hyu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6 신학사상 Vol.0 No.172

        본 논문은 세월호 사고와 같은 비극적 사건에 대한 해명을 위해 신의 의지적인 개입을 말하는 신정론적 발상이 지니고 있는 신화적 사유의 문제를 들추어 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화에 대한 해석학적 성찰을 통해 보다 적절하게 이해하는 길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신화적 사유의 뼈대를 이루는 의인화오 이의 핵심적 개념으로서의 인격성으로 신을 이해하고 묘사하는 신정론적 발상의 의도하지 않은 왜곡과 억압이 초래하는 노예화의 문제를 비판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그 안에 깔린 해방적인 의미를 재구성하기 위해 탈신화화를 제시한 루돌프 불츠만의 해석학적 연구를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유한성과 신의 신비성에 대한 반응으로서의 신화가 자연 세계 안에서 벌어지는 문제 상황에 대해서 초자연적인 힘을 자연적인 차권으로 끌어들임으로써 안정을 구하려는 본느의 산물임을 밝힌다. 그러나 바로 이런 과정에서 알 수 없는 삶의 현실을 신의 의지로 해명하기 위해 인격성이라는 범주를 과도하게 신에게 적용함으로써 뜻하지 않게 신을 악마로 묘사하고 인간은 폭군이 된 신에 대한 공포와 억압으로 내몰려지게 되는 심각한 오류에 이를 수밖에 없음을 지적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인격성이 저지르는 폭력을 고발하고 결국 신성의 전체를 싸잡을 수 없는 부적절한 범주임을 주장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피조세계의 자연법칙이 포함하는 뮌격성이 신성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포함도어야 함을 역설한다. 아울러 신의 무인격성에 대한 인간의 무지와 미결이 인간 삶의 불가피한 요소이며 신의 적극적 탈출의 결과라는 점도 강조한다. 결국 인간이 신을 전체로 싸잡아 알려고 하려는 시도가 안정욕구에서 비롯되었으나 인격성의 폭력의 원인이로되,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계시가 요구하는 죽음과 모름네 대한 성찰로 삶의 뜻을 겸허하게 새길 것을 귀결시킨다. 물론 탈신화화의 해석학이 신의 존재에 대한 부정을 담고 있다는 형이상학적 반론의 부적절성을 지적함과 동시에 해석학적 성찰이 지니는 한계에 대한 적극적인 수용의 필요성도 덧붙인다.

      • KCI등재

        정보통신기술(ICT) 자본재가 여성 고용변화에 미친 영향

        정재현 ( Chung Jae-hyu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1 여성경제연구 Vol.17 No.4

        1990년대 이후 정보통신기술은 대중들에게 대표적인 신기술로 인식되었다. 여기서는 신기술의 대표인 정보통신기술이 여성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신기술을 생산과정에 도입하거나 각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 기술을 체화한 자본재의 가격이나 사용자 비용이 충분히 하락해야 한다. 다른 생산요소에 비해 그 자본재 가격이 충분히 하락하면 생산요소 중 하나인 노동을 대체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다른 한편 자본재 가격 하락으로 비용이 감소하여 생산가격이 하락하거나 기업의 이윤 증가로 이어진다. 가격 하락과 이윤 증가는 최종수요를 증가시켜 생산과 고용을 늘리는 규모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이 연구는 대체효과와 규모효과를 고려하여 1990년 이후 산업별로 정보통신기술 자본재가 여성 고용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정보통신기술 자본재의 물가지수는 1990년에 비해 2017년에 1/5 수준으로 하락하여 정보통신기술 자본재 확산의 기반을 만들었다. 이 시기에 정보통신기술 자본재의 사용자 비용이 1% 감소할 때 여성 취업자는 0.37% 증가하였다. 이런 여성취업자 변화에서 대체효과는 1998년에서 2008년 사이에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전기·가스 및 수도사업, 건설업, 정보통신업, 금융 및 보험업 그리고 공공행정 및 국방은 유의한 양의 대체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여성 취업자 변화에서 규모효과는 유의한 영향을 확인할 수 없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 및 사회복지업에서만 가격변화에 따른 유의한 양의 규모효과만 확인할 수 있었다. Since the 1990s, ICT(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has been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new technology by the public.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CT on women's employment. In order to introduce a new technology into the production process or use it in each industry, the price of capital goods or user costs that embed the technology must be sufficiently reduced. If the price of capital goods falls sufficiently compared to other factors of production, the capital goods must replace labor, as one of the factors of production. On the other hand, lower capital goods prices reduce costs, leading to lower prices or higher corporate profits. Falling prices and increasing profits can lead to scale effects that increase production and employment by increasing final demand.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CT capital goods on women’s employment by industry after 1990, taking into account the substitution effect and scale effect. The price index of ICT capital goods fell to 1/5 in 2017 compared to 1990,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spread of ICT capital goods. When the user cost of ICT capital goods decreased by 1%, the women’s employment increased by 0.37%. It was analyzed that the substitution effect in this change of women’s employme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between 1998 and 2008. By industry, a significant amount of substitution effect was confirmed for Manufacturing, Electricity, gas and water supply, Construc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inancial and insurance activit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defense. However, the scale effect could not b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of women’s employment. By industry, only Human health and social work activities were able to confirm only a significant scale effects due to price changes.

      • KCI등재

        죽음에 대한 철학적-종교적 이해 -삶과 죽음의 역설적 얽힘을 향하여-

        정재현 ( Chung¸ Jae-hy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9 가톨릭철학 Vol.0 No.12

        본 연구는 죽음에 대한 철학적-종교적 성찰을 통해 보다 적절한 삶의 뜻을 추구하려는 목적을 지닌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동서고금을 통해 개진된 기존의 관점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그 문제와 한계들을 극복하는 대안을 모색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삶과 죽음의 관계에 대한 통속적 곡해의 사례들로 기존의 철학적-종교적 관점들에 대한 비판도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생명의 필연적 사멸성에 주목한다. 물론사멸성 즉 ‘죽기 마련임’은 생명을 거스르는 자기모순이라기보다는 생명 자체의 원리이다. 그런데 ‘원리’라는 것이 가리키기도 할 ‘구조적 필연성’은 삶의 나날에서는 ‘현실적 불가피성’으로 새겨지는 것이 일상적인 경험이다. 결국 ‘죽기 마련임’은 ‘죽을 수밖에 없음’을 가리키게 된다. 말하자면 죽음이 생명의 원리라는 통찰은 달리 어찌해볼 수도 없는 힘과 무게를 지닌 ‘숙명’을 뜻한다. 그런가하면 이와는 정반대로, 죽음은 삶의 온갖 올무로부터 벗어나는 해방의 사건으로 읽혀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과연 죽음은 삶을 지배하는 숙명인가, 아니면 삶의 올가미로부터의 해방인가? 숙명으로서의 죽음이 삶을 옥죄이는 것이라면 해방으로서의 죽음은 삶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것이어서 모두 삶에 대해서는 그 바깥에 머무를 수밖에 없다. 즉, 삶을 옥죄이는 숙명이나 삶으로부터 벗어나려는 해방 모두 죽음을 삶과의 정면대결적인 모순관계로 몰아가는 관점들인 것이다. 그런데 죽음이 ‘옥죄이기’로서의 숙명이든 ‘벗어나기’로서의 해방이든 삶에 대해서 모순적인 대결관계에 놓이게 되면 이것은 무엇보다도 삶에 대해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숙명 ‘때문에’ 죽을 수밖에 없다면 죽음이 삶에 대해 인과율적 저주일 수밖에 없으며, 해방을 ‘위하여’ 죽는 것이라면 삶에 대해 죽음이 목적론적 기만으로 전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제는 더 이상 죽음이 그저 숙명이나 해방 사이에서 양자택일적인 모순관계로 읽혀져서는 안 될 것이다. 나아가 죽음이 삶의 바깥으로 내몰림으로써 오히려 삶이 죽음으로부터 소외되어 저주받고 기만당하는 비극이 지속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인간의 전인적 삶을 이루는 유한성과 초월성의 역설적 얽힘이라는 통찰에서 해법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아울러 인간의 몸도 이에 대한 예증으로서의 뜻을 지니는데 몸은 그 전체를 이루고 있는 각 부분이 모두 죽음으로써 살아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역설의 예증을 기독교 성서를 통해 전해지는 예수의 삶과 죽음에서 확인함으로써 규범적 모형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이러한 통찰이 우리의 일상적 삶에서 실천될 수 있는 현실적 가능성까지 도모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lucidate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life through understanding its relation to death in philosophico-religious term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cludes critical analyses of the existing perspectives on the relation of life and death presented in human history, and suggests an alternative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involved in such perspectives. Then, what is death in regard to life? Our understanding of death depends on how we live our lives. If seen from the perspective of attachment to life, death appears to be fate which signifies the inevitability of extinction. However, there is opposite view that death may be liberation from the bondage of life. And in fact, these contrasting standpoints of death have prevailed the human history. In spite of their contradistinction, however, both perspectives share in common that they place death out of the whole range of life. The problem lies in that while death as fate may execrate life, death as liberation may impose upon life. If we die because of our fate, death cannot but be the causal imprecation to life. On the other hand, if we die for the sake of liberation, death cannot but fall into teleological deception. Thus, death should be understood neither as fate nor as liberation. Accordingly, we need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by including death within life. And our life composed of finitude and transcendence in their paradoxical unity teaches this wisdom. It is also illustrated by the paradox of body that the whole body lives through the death of all cells constituting the whole body. Thus, we may pursue the way of living in a deeper and wider sense through such paradoxical insight taught by body. In order to confirm this possibility of paradox, this study adopts the biblical story on the life and death of Jesus so that it may serve as the normative model for our practice.

      • KCI등재

        이동통신산업의 경쟁과 규제에 관한 정책이슈 -MVNO제도를 중심으로-

        정재현 ( Jae Hyun Chung ),이충기 ( Chung Ki Lee ) 한국재정정책학회 2010 財政政策論集 Vol.12 No.1

        가상이동망사업자(MVNO)제도는 이동망사업자(MNO)가 보유한 필수설비와 주파수를 신규사업자가 구매하여 최종소비자에게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책으로 MNO와 MVNO 사이에 도매시장을 형성하는 제도이다. 이러한 MVNO제도는 과점상태에 있는 이동통신산업에 경쟁을 촉진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MVNO와 관련된 규제정책은 국가별 그리고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MVNO 규제정책을 유럽 주요국과 미국, 일본, 호주를 대상으로 분석을 하고 그 정책들의 상호연관관계를 중심으로 MVNO제도가 가져올 수 있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관련 정책들을 크게 재판매의무화정책과 도매대가규제정책으로 나누고, 각 시장환경에서 이러한 정책이 가지는 효과를 경로 추정을 통해 고찰하여 향후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적절한 MVNO의 규제정책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MVNO) purchases all or part of the mobile network infrastructure and radio spectrum from a mobile network operator(MNO) and offers mobile services to end users. MVNO Policy is receiving a great deal of focus i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industry because of alternative plan to oligopoly. It is different that this policy have applied in countries and ages. This paper analyzes MVNO regulation policies in EU, USA, Japan, and Australia and examines the effects of MVNO regulations. For this, we decompose MVNO regulation Polices into resale obligation policies and regulation of access charge, and display the effects of this policies by path of policies in each country. And this paper provides the suggestion of appropriate MVNO polic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