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William Somerset Maugham의 연애관

        정자 한국영어영문학회 경남지부 1993 현대영미어문학 Vol.1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W. Somerset Maugham's view point of love through the examination of Maugham's works. The following is Maugham's view of love : Love has two meanings : love pure and simple, sexual love, namely ; and loving-kindness. Sexual love is the loves between a pair of lovers and newly married couple. Because the love(hereinafter the love means sexual love) depends on sexual desire. it dwindles into affection after five years of marriage. Affection is created by habit, community of interests, convenience, and the desire of companionship. Love dies because of two laws : the law of change and the law of discord. Loving-kindness is not coloured with that transitoriness which is the irremediable defect of love. It is like dancing ; it is pleasant exercise only if to go bed with one's partner would not be disgusting. In loving-kindness the sexual instinct is sublimated. it is friendship between man and woman, and platonic love. Unless love is passion, it's not love. Accordingly love is passion. Passion thrives not on satisfaction, but on impediment. It destroyed Antony and Cleopatra, Tristan and Isolde, Parnell and Kitty O'Shea. Desire isn't love and passion. Desire is the natural consequence of the sexual instinct. It is irresistible ; the mind can not battle with it. Desire is sad. Love is the dirty trick nature plays on us to achieve the continuation of the species. Consequently it is very stupid for us to have as many babies as nature wishes.

      • KCI등재

        수도권 일부 지역 유치원 어린이의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과 관련 식생활 요인 분석

        정자,조복희,오세영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7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7 No.2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and associated dietary factors in preschool children.Methods We obtained the data on 1,104 preschool children aged 3-6 years from 18 preschools in metropolitan area.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were studied using a questionnaire made by the International Study of Asthma and Allergy in Childhood (ISAAC) committee. Dietary information was obtained by using mini dietary assessment. All questions were answered by the parent of the study subjects.Results "Atopic dermatitis ever " was reported in 30.5% of the children. Prevalence of the current atopic dermatitis was 23.2%.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evalence according to sex, age, and living area. Current atopic dermatitis was associated with "Eat vegetables (besides kimchi) in every meal (OR=0.47, p〈0.001) ", "Eat meat, fish, egg, bean or tofu in every meal (OR=0.48, p〈0.01) " and "Eat a variety of foods (OR=0.57, p〈0.01) ".Conclusions We found a high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in 3 to 6-year old children living in metropolitan area. Dietary pattern such as eating vegetables in every meal, eating protein-rich food in every meal, and eating a variety of foods appears to be inversely related with the development of atopic dermatitis. 연구배경 아토피 피부염은 만성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으로 최근 들어 유병률이 급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토피 피부염이 주로 시작되는 유아기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및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방 법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임의로 선정된 18곳의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보호자가 설문지에 기입하는 방식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은 한국어로 번역된 ISAAC (international study of allergy and asthma in childhood)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간이식생활진단표를 이용하여 식습관을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은 2006년 5월부터 7월까지 3개월간 시행되었으며 분석 대상자는 총 1,104명(남자 어린이: 546명, 여자 어린이 : 558명)이었다.결 과 전체 대상자 중 337명 (30.5%)이 태어나서 지금까지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최근 12개월 동안 아토피 피부염 증상이 있었던 경우도 전체의 23.2%로 높게 나타났다. 한 달 가구 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유병률이 낮게 나타났으며(p〈0.05, χ2-test), 성별, 나이, 조사 대상 거주지역에 따른 유병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된 식생활 요인을 분석한 결과, 아토피 피부염군은 그렇지 않은 대상자들과 비교했을 때 “모든 음식을 골고루 섭취한다”, ”육류, 생선, 달걀, 콩, 두부 등으로 된 음식을 끼니마다 먹는다”, “김치 이외의 채소를 식사할 때마다 먹는다“ 의 문항에 대해 ”항상 그런 편이다“라고 답한 빈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결 론 수도권 일부에 거주하는 유치원생들에서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균형적인 식품의 섭취, 매 끼니 식사에서 단백질 함유 식품 및 채소류의 높은 섭취가 아토피 피부염에의 위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인 고혈압 환자에서 a-adducin 유전자 다형성 및 나트륨 섭취 수준과 혈압의 관계

        정자,백희영,김영식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5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5 No.2

        Background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genotype distribution of α-adducin Gly460-〉Tr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Korean hypertensive patients. The effects of sodium intake leve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α-adducin Gly460Trp polymorphism and the blood pressure was also investigated.Methods : Sixty-five hypertensive patients were genotyped for α-adducin Gly460Trp polymorphism by using TaqMan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 Sodium intake level of individual subjects were determined by a dietary questionnaire. These variables were compared wi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levels of the study subjects.Results : The frequencies of genotypes in the study subjects were 26.2% in Gly/Gly, 40% in Gly/Trp, and 33.8% in Trp/Trp, and the frequency of the Trp allele was 54%. All blood pressure valu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ree genotypes. No association was found among genotypes and blood pressure values with high- or low- dietary sodium intake levels.Conclusion :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e absence of effect of α-adducin Gly460Trp polymorphism on blood pressure values in Korean hypertensive patients. However, high frequency of salt-sensitive Trp allele in Korean hypertensives, compared to Caucasians, suggests that this polymorphism may increase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in Korean. Subsequent case-control study is needed to further understand the effect of α-adducin polymorphism and sodium intake levels on blood pressure levels in a Korean population. 연구배경 :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인에서 소금민감도에 관련된 α-adducin 유전자의 Gly460Trp 단일염기다형성 분포를 조사하고, 나트륨의 섭취 수준에 따라 α-adducin Gly460Trp 유전자 다형성이 혈압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방법 : 2004년 10월부터 11월까지 일개 대학병원에 내원한 고혈압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α-adducin Gly460Trp 유전자 다형성을 TaqMan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분석하였고, 나트륨에 대한 식이 설문 조사를 통해 나트륨 섭취량을 추정한 후, 이들 변수들과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의 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결 과 :α-adducin 유전자형 분포는 Gly/Trp형이 전체의 40%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Trp/Trp형 33.8%, Gly/Gly형 26.2%의 순으로, Trp allele를 가진 빈도가 54%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유전자형별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비교했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나트륨 섭취 수준에 따라 대상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비교했을 때, 각 그룹에서 유전자형에 따른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결 론 : 고혈압 환자에서 α-adducin Gly460Trp 유전자 다형성은 혈압 변화에 유의적인 영향 요인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연구 대상자에서 백인에 비해 소금민감도 유발 allele인 Trp allele의 빈도가 매우 높은 것은 α-adducin Gly460Trp 유전자 다형성이 한국인의 고혈압 발생 단계에 있어 주요 인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추가적인 환자-대조군 연구를 통한 α-adducin Gly460Trp 유전자 다형성과 나트륨 섭취의 상호 작용이 한국인의 고혈압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고등학생 청소년들의 수면과 자살위험요인

        정자,장용이,이해우,심현보,최진숙,Jeong, Ja-Hyun,Jang, Yong-E,Lee, Hae-Woo,Shim, Hyun-Bo,Choi, Jin-Sook 대한수면의학회 2013 수면·정신생리 Vol.20 No.1

        목 적: 수면 문제는 지속적으로 성인의 자살 위험 요인으로 보고되어왔고 최근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도 그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과거의 자살 행동 유무에 따라 대상군을 분류하여 이들 사이의 자살위험요인과 수면양상을 비교하고 자살위험요인으로써의 수면의 가능성을 평가해 보았다. 방 법: 고등학생 561명(남 271명, 여 290명)을 대상으로 자살위험행동 체크리스트,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y-Depression(CES-D), Symptom Checklist-90-Revision(SCL-90-R) 불안, 공격성 하위척도,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PSQI)가 시행되었다. 결 과: 46명(8.1%)이 자살시도 목적으로 자기 위해 행동을 한 경험이 있었고, 181명(32.4%)은 자살사고 경험만을 보고했다. 334명(59.5%)은 과거 자살위험행동(사고, 시도)을 보이지 않았다. 자살 위험군은 학교 폭력, 물질남용, 인터넷 중독, CES-D, SCL-90-R, PSQI에서 비자살 위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 자살위험행동은 우울, 스트레스와 상관성을 보였고, PSQI에서는 수면 잠복기, 주간기능장애에서 상관성을 보였다. 일원분산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에서는 자살 시도군에서 수면 잠복기의 연장, PSQI 지수의 증가가 가장 심하게 관찰되었다. 결 론: 수면문제는 청소년군의 자살위험행동과 높은 연관성을 보인다. 특히 수면 잠복기, 주간기능장애가 자살위험행동의 중요한 인자일 것으로 여겨진다. 추후 부모, 교사, 의료인들에 의한 청소년의 수면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관리를 권장하는 바이다. Objectives: Sleep problems has been consistently reported as a suicidal risk factor in adults and, recently, also in adolescents. In this study, dividing study subjects by the previous suicidal behaviors (suicidal vs non-suicidal), we compared the group differences of suicidal risk factors,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sleep as a suicidal risk factor. Methods: Study subjects were 561 (271 boys and 290 girls) from a community sample of high school students. Suicidal Risk Behavior Checklist,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y-Depression (CES-D),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CL-90-R) Anxiety and Aggression subscale,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PSQI) were done. Results: Forty six students (8.1%) reported previous actual self-harm behavior as a suicidal attempt, 181 students (32.4%) reported having suicidal thought only. Three hundred thirty four students (59.5%) reported no previous suicidal behavior (thought and attempt, both). Suicidal behavior group showed higher score on risk behaviors such as school violence, substance use and internet addiction. CES-D, SCL-90-R, PSQI show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suicidal risk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stress in suicidal risk factors and sleep latency, daytime dysfunction in PSQI. Analysis of variance (ANOVA) shows the most prolonged sleep latency and increased index of all PSQI components except sleep efficiency in suicidal attempt group. Conclusions: Sleep Problems had a strong association with the suicidal risk behavior in adolescents. Sleep problems, especially, prolonged sleep latency, daytime dysfunction might be important markers for suicidal behavior. Screening for sleep problems in adolescents are encouraged for the parents, school teachers, and related medical physicians.

      • KCI등재

        서머셋 모옴과 캐더린 맨스필드의 비교

        정자 慶南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6 人文論叢 Vol.8 No.-

        ABSTRACTSomerset Maugham and Katherine Mansfield make rather a sharp contrast between them. Maugham admitted himself he is an artificial writer, not a natural one, Knowing his physical. spiritual. spiritual as well as characteristic limitation he tried to rediscover the human nature by reading, traveling, and widening his various experiences in life. To make the most of the uncommon fact that to be born in this boundless universe, he tried to weave elaborate. complicated. or beautiful pattern of life which was interwoven with the warp of his true onlook on value and the strand of his esthetic sense. Intending to get out of a monotonous everyday life he tried to offer his reader various aspeats of life by seeking his matirials for novel outside him. On the other hand we may say that Mansfield was born to become a writer. Her equipment was suited to express various kinds of sentiments felt in her limited private life with good insight. not suited to weave colorful and complicated human pattern into a large-sized work. Though it is the eternal theme of literature what to pursue in a novel we may say that Maugham attached much importance to story and Mansfield to the expression of life's profile. Consequently. the fact that Mansfield left no novel and Maugham not a poem shows vividly the difference of literature between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