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내부의 이방인들’과 ‘태생의 시’ : 한국계 미국 입양시 읽기

        정은귀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13 영미문학교육 Vol.17 No.1

        Adoptee discourse and its literature have garnered the critical interest and attention very recently under the numerous approaches to transnational, transracial subjects, transnational flows of people, good, and knowledge. But there has been little or no attempt to consider how ‘different’ the languages of adoptees are, expecially in the field of poetry. Trying to capture the different voices of Korean American Adoptee poets, this essay attempts to ponder on rather flexible practices of poetry writings by contemporary Korean American Adoptees in and out of the border crossing discourses. I will propose that close reading of poetic languages by Korean Adoptee poets, outsiders within in America reveals that there we can see breaks and rifts on the recognition of adoption rather than a single voice of displacement. Poems of Lee Herrick, Jennifer Kwon Dobbs, and Sun Yung Shin, whose poetry books were published in the same year in 2007, traverse freely from their living places in America to Seoul, their birthplace, origin. In their flexible, mobile meandering, Korean adoptees once uprooted and abandoned from their birthplace go back to the very place of origin and keep on constructing their identities, which is a not-yet-finished process itself. To invite their poems to the critical field of contemporary poetics is to experience these new languages and forms of ‘outsiders within’ both in America and in Korea. Their poems, sometimes fallen in a somewhat nostalgic mood, sometimes being a sign of blessings, or being a weapon to pierce the guilt sense of Koreans, or being an experimental form that draws Hangul in a white page, are not staying on the level of privation, depression, or rage. Rather the different voices of these Korean Adoptee poets prove that their poetic returning in English wearing various poetic forms is a ceremony and practice crossing the long distance of erasure and reconciliation, so that they take an active role in refashioning a literary landscape of contemporary Korean and American poetry.

      • KCI등재

        일반논문 : 미국의 한국계 시인들, 디아스포라, 귀환의 방식 : 마종기, 캐시 송, 명미 김의 시를 중심으로

        정은귀 국제비교한국학회 201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18 No.3

        이즈음 빈번히 논의되고 있는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을 하나의 틀로 묶는 것은 가능한가? 가능하다면 어떤 방식으로? 불가능하다면 무엇 때문에? 이 글은 최근 문학담론에서 중요한 의제로 부상한 탈경계 문학과 초국가적 담론에서 제기되는 국민문학의 경계에 대한 논의를 심화하기 위하여 미국의 한국계 시인들, 마종기, 캐시 송, 명미 김의 작품을 비교 분석한다. 영어와 한국어라는 다른 언어로 시를 쓰는 이들 시인을 비교하면서, 떠나온 곳으로 돌아올 수 없지만 시를 통하여 상상의 귀환을 시도하는 이들의 시 작업이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틀에서 어떻게 읽어낼 수 있는지를 살피고, 이민 세대나 언어의 차이에 따른 시인들의 특이성이 어떻게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범주를 문제화하는지에 주목하고자 한다. 먼저, 성장한 후에 미국에 건너가 지금까지 한국어로 꾸준히 시를 발표해 온 마종기의 경우, 4·19세대이면서 한글 1세대로서의 시인의 민족적, 언어적 정체성이 미국이라는 공간을 거치면서 끊임없는 귀환 운동의 방식으로 디아스포라의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 귀환 운동은 무엇보다 한국어의 몸을 입고 있기에 뒤의 두 시인과 차별화되는데, 먼 과거를 거슬러 올라가 한국/조선의 역사를 다시 쓰는 작업에서부터 지금 일상의 삶 속에서 돌아갈 곳을 찾아 떠도는 황혼녘, 한 영혼의 열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됨을 알 수 있다. 시인이 떠나온 땅, 두고 온 땅에 대한 향성(向性)을 끝끝내 지니고 살아가고 이것을 시화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이 글은 그간 마종기의 시를 규정짓던 보편적 서정의 틀을 좀 더 특수하고도 구체적인 디아스포라의 경험 안에서 예각화하는 작업이 된다. 캐시 송의 경우, 이민 3세대로서의 시인의 정체성이 그의 시에 드리운 독특한 서정적 아름다움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캐시 송의 귀환은 마종기 시의 화자처럼 한국을 끊임없이 바라보는 귀환의 방식이 아니라, 할머니 세대의 이민사를 다시 그려 보이는 가족 서사를 통해 완성되는 상상의 귀환, 추억의 서사이다. 그의 시가 성취한 독특한 서정성이 한국인 혹은 한민족의 시선에서는 어떤 미묘한 정서적 거리감을 동반한다는 사실도 문제적인데, 이 점을 본고는 시인이 이민 3세대이기 때문에 갖게 되는 비교적 안정적인 미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의 문제와 닿아있다고 본다. 한편, 명미 김의 시는 한국과 미국 그 어떤 곳에도 안전하게 머무를 수 없는 탈영토적 미학으로써 디아스포라의 의미를 풀어나간다는 점에서 '사이'의 영역에 거하는 이산의 삶을 반추한다. 독특한 반복과 겹침의 이미지를 통해 시화한 한국과 미국이라는 공간, 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존재의 고투를 드러내는 그의 실험적 언어 형식은 시의 정치성을 한결 더 예민하게 드러내 보인다. 명미 김의 시에서 '귀환'은 마종기의 시에서 드러나는 가없는 열망의 정서나, 캐시 송 시의 다소 낭만화된 과거와 일부 겹쳐지기도 하지만 동시에 또 지금 그 곳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개입되는 언어적, 문화적 충돌의 자장을 문제적으로 드러낸다는 점에서 탈영토적 부정성의 방식으로 탐구된다. 그런 점에서 그의 시 또한 한국으로의 현실적 귀환이 아니라 정치적 미학의 방식인 상상의 귀환 운동을 통한 현재적 삶의 모색이라고 봐야 할 것이다. 이 세 시인들을 통해서 이 글은 이즈음 빈번히 제기되는 민족문학, 국민문학, 세계문학 논의의 틀에서 자주 제기되는 언어적, 민족적 정체성의 문제를 재점검한다. 나아가 이 글은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이라는 비평의 틀 또한 한민족이라는 뿌리 깊은 공동체적 의식을 환기하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서로 다른 세대와 성, 언어의 차이에 따라서 쉽게 귀결지을 수 없는 정체성의 문제와 이산의 삶을 사는 존재들의 복잡한 의식, 다른 지점들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내는 문제적 틀임을 밝힌다. 그 점에서 이 글은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의 다양성을 미국의 한국계 시인들의 시를 통해 바라보면서 기존의 읽기에 노정된 언어적, 민족적 '정체성'의 경계와 국민문학, 초국가 담론, 세계 문학의 영역에 대한 새로운 질문을 가능하게 만 든다. What does it mean to talk of Korean diaspora literature in the era of transnational literature? Can we say that Korean diaspora literature is to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nations? Is it crossing or erasing of the boundaries? Does it reconsolidate or expand the boundary of Korean or American literature? Beginning with these questions embedded in contemporary literary discourse, this essay revisits the poems of three Korean American poets, Ma Jong-gi, Cathy Song, and Myung Mi Kim and reads their poems in terms of different ways of 'returning.' As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immigrant in the United States, Ma has written so many poems in Korean and met Korean readers. In his rewriting of the past history and his exploration of home in the far land, we witness how Korean Diasporic poetry can be the variations of endless returning. In the poems of Cathy Song, the third generation of Korean immigrant, on the other hand, we see the lyric voice of the poetic subject reiterate the stories of her ancestors, rekindling the memories of the Korean immigration. Her poetry, at once proving the finest beauty of lyric form in the line of American poetry written in English, exemplifies the problematic emotional distance as a spectator of Korean history. As 1.5 generation of Korean immigrants, Myung Mi Kim stands in a very peculiar space of betweenness; between Korea and America, between Korean and English. Constructing her condition of living, speaking, and writing as the de-territorialized space of negativity, her poems touch a certain field of politicized aesthetics. Revisiting the poetic world of these three Korean American poets, we see how complicated and various the positions of diasporic subjects are especially in terms of Korean American literature or Korean diaporic literature. All three poets, reflecting the dynamics and trajectories of Korean American transits, question the transmigratory, transnational, settling and unsettling, assimilation and negativity and make the frame of identity politics, national, transnational, or world literature more problematic.

      • KCI등재

        모더니즘의 다른 얼굴과 불가능한 시 읽기

        정은귀 영미문학연구회 2015 안과 밖 Vol.0 No.39

        Reinforced by the use of commonplace events, words, and repetitive phrases, the Steininan gesture of writing redefines poetic language and invites readers to a different face of modernity. This paper deals with the dilemma of modern poetics whose features are frequently blocked by words such as ambiguity, impossibility, difficulty, disappearance, or marginalization. To the extent that Stein’s new syntax becomes the critique of meaning-making process in the history of English poetry, her language is often seen as underscoring the immediacy of potential equality and particularity. While reading Stein’s interesting use of the “rose,” this paper argues that her un-poetic language attains a kind of inter-subjective space of interpretation, proving the yearning of modernity as a form of time-space.

      • KCI우수등재

        Louise Glück’s Poetics of Becoming, Survival as Abject: Rethinking Ethics of Ecopoetry

        정은귀 한국영어영문학회 2022 영어 영문학 Vol.68 No.2

        This paper revisits Louise Glück’s 1992 book of poetry, Wild Iri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and examines the poet’s attempts to become ‘others’ in terms of survival as abject. It comes out of a desire to make connections between the close reading of Wild Iris and political ecology. In Wild Iris, Glück transforms the voice of the subject “I” into the voices of various plants, flowers, sunlight, etc. The return of so many silent and vulnerable existences, the radical transformation of the human persona into plants has been regarded as an interesting experiment in Glück’s poetic career, but its ecological interpretation has not garnered much critical attention yet. Some say Glück’s poetics of becoming is the externalization of the poet’s mood within the meditative verse tradition or a medium for some divine force beyond the human. To fill the critical gap, this paper, on the one hand, proposes that Wild Iris, as a form of companionship coming to terms with human mortality in the natural cycle of beings, restores ‘abject’ as the visible form in its lively vocalization of plants. On the other hand, it argues that Glück’s poetics of becoming, derived from self-centered consciousness after long stretches of silence with the body, is meaningful as a manifestation of the lyric subject recharging its communal voices beyond isolation. Inviting readers to rethink ethics of ecopoetry in the extended spectrum of degradation, death, and marginalization, Wild Iris, therefore, stands as an example of ecopoetry in a different way from the nature poetry of her era.

      • KCI등재

        에드 복 리의 미토콘드리아 상상력- 새로운 생태시와 시의 공적 가치

        정은귀 문학과환경학회 2021 문학과 환경 Vol.20 No.1

        This paper reads Ed Bok Lee's poetry book Mitochondrial Night and explores his new ecological imagination represented as mitochondria. Ed Bok Lee is a poet rarely discussed within the frame of American ecological poetry. Although he does not explicitly reveal the problems concerned with environmental crisis issues, his poems searching for the roots of his existence going back through mitochondria emphasize and envision ‘human-animal-ecological interconnectedness.’Especially focusing on “Mitochondrial Evening,”this paper pays attention to his mitochondrial imagination, which senses the roots of existence leaned on “femininity” and evokes the “cultural memory” of “mourning.”In these two directions, Ed Bok-Lee's poems, inviting readers to appreciate the public value of poetry in this era of pandemic, expand the horizon of ecological poetry and become a poetic praxis of environmental justice. 본 논문은 에드 복 리(Ed Bok Lee)의 시집『미토콘드리아의 밤』(Mitochondrial Night)을 읽으며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를 내세운 실험적인 시가 선보이는 새로운 생태적 상상력에 주목한다. 에드 복 리는 미국의 생태시학에서 거의 논의되지 않은 시인이다. 비록 환경 위기에 대한 문제의식을 명시적으로 드러내지 않지만 자기 존재의 뿌리를 미토콘드리아로 더듬어 찾으며 인간과 세계 안의 존재들 간의 연결고리를 강조하는 그의 시는 새로운 생태시의 감각을 보여주면서 기존 생태시학의 지평을 넓히고 또 환경 정의를 수행하고 있다. 이 글은 특히「미토콘드리아의 저녁」을 중심으로 살피면서 시인의 미토콘드리아적 상상력이‘여성성’에 기댄 존재의 뿌리를 감각하고‘애도’라는 ‘문화적 기억’을 환기하고 있음을 본다. 이 두 방향에서 에드 복 리의 시는 시의 공적 가치를 실천하는 새로운 생태시의 장을 열고 있다.

      • KCI등재

        뒤늦은 증언: 난징 대학살 시편과 미국시의 ‘공간’ 재편

        정은귀 한국현대영미시학회 2017 현대영미시연구 Vol.23 No.2

        This essay questions what would be the ‘space’ of new poetics in the inter-disciplinary era, how archives, historical documents, and testimony affect and reconstruct poetry writing and reading practices. Reading Wing Tek Lum’s The Nanjing Massacre: Poems reveals how history and literature can be reawakened as a form of ‘belated witness.’ The Nanjing Massacre: Poems is a series of snapshots not just of human cruelty but also of human compassion, and finally draws a vivid landscape of the buried, the forgotten, the unsaid, the unacceptable, the unpleasant. Wing Tek Lum invites readers to rethink the space of new poetics in the era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and cultural fusion, especially when poetry is trapped in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in the ‘numb feel’ of a particular era. His poetic language and form touch the numb feeling, the impossible, and reconstruct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in the imagined space where disaster and tragedy reside. His poetic experiments with documents bridge history and literature, Asia and America. Is his ‘belated witness’ doing the impossible task of recovering the lost voice of history, crossing the boundary of languages and borderlines? My answer is, with the arrival of witness, the space of American poetry is expanded not just as a territory but as the form of amalgamation, merging facts, documents, and imagination. Finally, it undertakes resuscitation of the dead, severely marginalized space of poetry in this Dead Poets Society.

      • KCI등재

        시 번역의 난제와 번역의 공간 우리시 영어 번역의 몇가지 예에 기대어

        정은귀 영미문학연구회 2009 안과 밖 Vol.0 No.26

        Is it possible to translate poetry, especially Korean poetry, into English? Why are most translations of poetry considered transgression not translation? What is lost and found in literary translation? The problems of translating Korean poetry into English are two­fold: the words and meaning on the one hand, the rhythm, form, and flow on the other. Rethinking the problems of translating poetry from untranslatability to translatability,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translation practice and criticism based upon personal experiences. Following my own trail as a translator­teacher­critic,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ss and importance of interpretation in translation and suggests the need to problematize and redefine faithfulness, transparency, readability, and creativity in poetry translation. My argument here is that firstly, when we translate Korean poetry into English, it is important not to erase ambiguities of the original text. Especially in poetry translation, readability sometimes clashes with faithfulness and creativity goes with faithfulness, not against it, betraying the general assumptions of translation. My second argument is that both translation and translation criticism need to be reconsidered as the ever­changing space of interpretation where real and imagined communities of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participate in many different ways in the generation of new forms of texts, knowledge, new relationships to language and culture. Translation, in its nature, is destined to betray itself and wait for an alternative at the very moment of its birth. Literary translation is not exclusively about words, it is also a telling example of the way words and worlds can intersect, clash, and be recreat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ranslation practice, the matrix of translation culture is lightly touched and the questions concerning cultural identities and translation subjectivity are also entailed. Rethinking the space of translation as the site for active exchanges of ideas and ideology embedded in language, translation education as the positive process for literary criticism, comparative literature, and cultural interchange, this essay goes toward reclaiming literary translation as the space that finds, re­forms, and preserves works that might otherwise be lost.

      • KCI등재

        “유연한 갈망”으로 부서지는 언어 ― 2000년대 이후 재미 디아스포라 시의 새로움

        정은귀 국제한인문학회 2021 국제한인문학연구 Vol.- No.30

        이 논문은 2000년 이후 영어로 발표된 재미 디아스포라 시를 조망하면서, 당대 세계문학의 지형도 안에서 한국계 미국 시인들이 미국문학의 장 안에서 거둔 문학적 성취를 한인문학이라는 큰 틀 안에서 가늠해본다. 영어로 된 재미 디아스포라 시들은 주제적, 형식적 측면에서 무척 다양하고 폭넓은 시 세계를 보여주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재외 한인문학의 비평 담론에서 대개 이산(離散)의 삶 속에서 한국인이라는 민족적 정체성을 확인하는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측면이 있다. 20세기 디아스포라 시 비평 담론이 대개 정체성의 시학에 초점이 맞추어졌다면,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다변화된 재미 한인들의 시 세계를 조망하면서 시의 언어와 주제, 형식의 문제에 있어 도전적인 방식으로 시의 실험이 진행되고 있음에 주목할 것이다. 이를 위해 최근 미국 시단에서 비평적 관심을 받고 있는 에드 복 리와 돈미 최 두 시인의 시를 선별하여 읽으면서, 미국과 한국, 영어와 한국어, 과거 세대와 현재 세대 등 역사의 틈바구니, 문학적 지형도, 미학적 형식 등 다양한 층위의 ‘사이’에서 탄생하는 시의 여러 얼굴을 살피고자 한다. 특히 이 두 시인에게 있어 부서지는 ‘갈망의 언어’는 부서짐으로써 다시 탄생하고 만들어지는 시의 언어이기에, 새로움을 낳는 갈망의 형식이 된다. 단일한 정체성의 시학을 넘어 관계에 대한 사유에 천착하는 생태적 상상력이 디아스포라 시에 어떤 새로움을 불러오는지, 또 번역과 창작을 오가는 작업에서 시인이 의존하고 또 의심하는 언어의 문제, 20세기의 전쟁을 작동시킨 정치적 이념을 시가 어떻게 재현하는지 등을 논의하면서 이 논문은, 영어로 창작된 한인문학에서 시의 ‘안과 밖’에 대한 논의의 폭을 언어적, 문화적, 미학적으로 확장하고 심화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After briefly scanning the history of Korean American diasporic poetry, this paper examines the literary achievements of a few Korean American poets within the topography of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Until now, in spite of its variety and complexity, Korean American diasporic poetry written in English has not garnered much critical attention beyond the discourse of ethnic identity and Korean-ness here in Korea. This paper, bearing the achievements of the earlier generations of the Korean American poetry, will note that poetic experiments of contemporary Korean American poets have been conducted in much more challenging manners and methodologies on language, theme, poetic forms and politics, diversifying the landscape of Korean diasporic literature as well as American poetry. Significant portions of this paper are given for the poems of Ed-Bok Lee and Don mee Choi, two prominent figures in the field of Korean American poetry. Exploring their poetic languages shattered in a pliable desire, this paper focuses on the ecological imagination of Lee, firstly. and then, the experimental energy taken from the workings of translation and visual images by Choi. For both Lee and Choi, poetry comes from the languages shattered, formed, and re-constructed in a pliable desire of diasporic subjectivity. In that sense, their poetry is composed of the languages of betweenness, forms of desire. Through the process of reading the newness of contemporary Korean American poetry, this paper aims at expanding the scope of Korean literary discourse beyond identity politics rooted in language and bl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