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조절력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력의 순차적 매개효과

        정여주(Yeoju Chung),이도연(Doyeon Lee),남민지(Minji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조절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력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 중⋅고등학교 학생 635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척도, 게임리터러시척도, 정서인식명확성척도, 정서조절력 척도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통계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순차적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애착은 게임조절력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애착은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력을 순차적으로 이중매개하여 게임조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애착이 게임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력이 부분이중매개하는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게임조절력과 관계가 있으며,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력을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경로가 있음을 밝힌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 attachment and Game regulation of adolescents.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635 adolescents using the Korea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K-IPA), Adolescent Internet Gaming Literacy Scale, Emotion Awareness Questionnaire for children(K-EAQ), Emotion Regulation Scale for Childre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verif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Bootstrapping method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sequencial mediating effects. Results First, Parent attach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Game regulation. Second, Parent attachment influenced to Game regulation by double mediating the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sequentially. Third, the partial dual mediation model of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was valid in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on Game regul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dolescents’ Parent attachment is related to Game regulation, and there is a path that sequential mediates Emotional clarity and Emotion regula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분노표현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정여주(Chung, Yeoju),윤서연(Yoon, Seoye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분노 감정 및 분노 표현에 대해서 이해하고, 자연스러운 감정 상태로서의 분노로 인식하고 대처하고자 하는 연구 및 상담적 개입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국내 학술지 55편을 연구대상으로연구방법, 연구 주제 및 관련변인, 측정도구, 개입을 위한 상담적 접근들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노표현에 대한 연구는 2000년 이래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은 대학생 및 청소년이 가장 많았고, 특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임상간호사, 호텔 종사자, 군의 초급간부 등이 나타났으나 부부 및 기혼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세번째로, 55편의 논문의 대부분이 상태-특성 분노 표현 척도를 사용하여 분노표출, 분노억제, 그리고 분노 통제를 분류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대상자들의 적절한 분노표현에 대한 이해를 위해 Q-방법을 활용하여 척도를 개발하는 연구가 나타나고 있다. 네 번째로, 분노표현을 개선하기 위해 주로 애착 및 양육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상담적 개입으로는 인지치료가 지속적으로 활용되어 오고 있었으며 분노 정서에서의 전환을 위한 전략들을 제공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포커싱적 태도, 마음챙김, 수용전념 치료 등 체험적 접근들을 살펴 볼 수 있었는데 그때 그때의 감각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알아차림을 이뤄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표현예술치료를 활용하여 분노표현을 다룰 때는 그룹 활동을 통해 분노를 다루는 것이 좀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anger expression, to recognize the anger as a natural emotional state, an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and counseling intervention to cope with it. Related variables, measurement tools, and counseling approaches for intervention were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research on anger expression has been increasing since 2000. Secondly, the research subjects were mostly college students and adolescents, and clinical nurses, hotel workers, and beginner executives of the military who were providing services characteristically. Thirdly, most of the 55 articles classify anger expression, anger suppression, and anger control using the STAXI(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Spielberger, 1988). Recent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developing new scales using the Q-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ppropriate anger expression of the subjects in each culture. Fourthly, to improve anger expression, attachment and parenting were found the most studied fields. Cognitive Therapy was used continuously for counseling intervention for the controlling the anger were appeared. Fifthly, some studies have shown empirical approaches such as Focusing Attitude, Mindfulness, and Acceptance-Commitment Therapy, and tried to achieve new awareness focusing on the senses, emotions and related experiences simultaneously.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it is more meaningful to deal with anger through group activities when dealing with expression of anger by using Expression Art Therapy.

      • KCI등재

        청소년 인터넷 사용 욕구 검사 개발

        정여주(Chung, Yeoju),이아라(Lee, Ara),고영삼(Koh, Youngsam),김한별(Kim, Hanbyul),전아영(Jeon, Ah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는 욕구를 측정하기에 적절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기존에 개발된 관련 검사, 인터넷을 사용하는 9명의 청소년의 심층면담 결과를 토대로 총 10 개의 요인과 93개의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16년 9~10월에 두 차례 걸쳐 예비조사를 진행하였다. 청소년 229명을 대상으로 1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안면타당도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였으며, 2차 예비조사에는 청소년 29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총 35문항이 본조사 문항으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검사에 대한 본 조사는 17년 6~9월에 617명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 개발된 청소년 인터넷 사용 욕구 검사는 10개 요인(온라인 관계형성, 새로운 자기경험, 현실친구소속인정, 스트레스 해소, 괜찮은 자기 확인, 정서표현, 재미, 생각과 의견 표현, 게임조작 성취, 정보습득), 35개 문항이며, 적절한 신뢰도와 변별타당도, 구인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We should not regard youths’ Internet use only as a problem but should also understand the positive aspects of the behavior.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need of youths to use the Internet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ternet Usage Need Scale with which to measure such needs. Toward this end, 10 factors and 93 preliminary question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literature review, previously developed related scales. and in-depth interview with nine adolescents who use the Internet. The preliminary surveys were conducted on 229 adolescents and revised based on the results of face validity testing with six experts.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econd preliminary survey with 290 adolescents, 10 factors and 35 questions were developed as the main version. The main survey with the developed scale was conducted among 617 adolescen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finally developed Internet Usage Need Scale consists of 10 factors(online relationship, new self experience, belonging and acceptance. stress reduction, good self identification, emotion expression, fun, thought expression, accomplishment in game, and information gathering) and 35 questions, which were verified for resonable reliability, criterion validity, and construct validity.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e developed scale and propose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 자녀를 둔 엄마의 양육 스트레스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4~8세 자녀를 둔 엄마를 중심으로

        정여주(Chung, Yeo-Ju),윤서연(Yoon, Seo-Yeon),김옥미(Kim, Ok Mi),김미림(Kim, Mirim),이도연(Lee, Do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는 초점 집단 인터뷰(FGI)를 통해 양육 스트레스 상황에서 엄마들이 경험하고 있는 내적 대화를 탐색하였다. 특히, 아이들에게 손이 많이 가는 시기인 4~8세 사이의 자녀를 양육하는 엄마를 참여자로 하여, 이들이 어려움을 경험할 때 일어나는 인지적 과정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 충청지역에서 참여자 9명을 모집하고 2019년 4월 초점 집단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118개의 의미단위를 도출하였고, 이를 3개 큰 주제와 5개 하위 주제, 14개의 중심의미로 구성하였다. 엄마가 양육 스트레스를 받을 때를 돌아본 자기대화는 첫째, 엄마가 되어가는 어려움에 대한 자기대화, 둘째, 엄마로서 노하우가 생겼으나 여전히 감당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음과 관련이 되어 있는 자기대화, 그리고 마지막으로 엄마이지만 나라는 개인으로 다시 서려는 자기 대화로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이해를 통해 이들을 위한 교육 및 상담 지원시 심리, 정서적으로 좀더 섬세한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 (FGI) explored the self - talk that mothers of children between 4 and 8 years experienced in everyday stress situations. Research questions are: First, what is the parenting style? And how much do you feel the burden? Second, what are the most stressful moments when you are nurturing? What is your thoughts and feelings at that time, and how do you deal with them? Third, was your child s response positive? Why? If the response to your child is negative, why? To this end, we recruited 9 participants from Daejeon, Chungcheong region and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FGI) in April 2019. As a result, a total of 118 semantic units were derived and composed of 3 subjects, 5 sub - subjects, and 14 central mean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understand the self - talk that occurs during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 who raised the infant, and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counseling support for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for them.

      • KCI등재

        대학생의 인터넷 사용 욕구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정여주(Chung, Yeoju),윤서연(Yoon, Seoyeon),오정화(Oh, Jeonghwa)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면서 무엇을 경험하며, 심리내적으로 추구하는 욕구가 무엇인지 그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충청도 H 대학 1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원자료에서 144개의 중심의미를 추출한 후 다시 24개의 드러난 주제로 하위범주를 구성하였고, 이를 지속적인 비교와 현상학적인 아이디어로 9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해내었다. 분석 결과 드러난 본질적 주제는‘대학생활의 무료함 해소 욕구’,‘스트레스 치유 욕구’,‘유쾌함과 활력 추구 욕구’,‘현실 관계 심화 욕구’,‘대학 생활의 편리와 정보 습득 욕구’,‘새로운 인물·상황에 대한 간접 경험 욕구’,‘예술적 체험의 욕구’,‘자기표현 시도와 교류 욕구’,‘몰입과 성취 욕구’이다. 본 연구는 이전 청소년 대상 연구에서 드러난‘스트레스 해소’뿐만 아니라‘무료함 해소 욕구’도 명확히 드러났으며,‘새로운 인물·상황에 대한 간접 경험 욕구’,‘자기표현 시도와 교류의 욕구’,‘현실관계 심화 욕구’등을 통해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관계문화를 형성하고 교류하는 대학생들을 만났다. 그들의 생활 전반에서 ‘생활의 편리와 정보 및 정보습득 욕구’가 드러났으며,‘자기표현 시도와 교류 욕구’를 통해 단순히 새로운 관계를 맺는 것뿐만 아니라 정서적 교류까지 이뤄지는 것이 특징적이며 이와 같은 욕구에 대해 고려를 할 때 좀 더 깊이 있는 상담 및 이해가 이뤄질 수 있음을 알리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trapsychic desire of university students to pursue using the Internet by Giorgi s phenomenological method. To achieve this purpose, we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irteen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 province. 144 factors were drawn from raw data, and twenty-four sub-categories and nine essential topics were derived from persistent comparison and phenomenological ideas. The nine essential topics consist of desire for boredom relief, desire for stress reduction, desire for pleasure and vitality, desire for making their own relationship even better, desire to acquire information and knowledge related to ones daily living, desire for indirect experience of new characters and situations, desire of artistic experience, desire to express oneself and further emotional interchange, and desire for immersion and achiev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n addition to the stress relieving desire revealed in the previous study, the desire for boredom relief was further elaborated. And desire for indirect experience of new characters and situations , desire to express oneself and further emotional interchange, and desire for making their own relationship even better should imply a culture in which university students inter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Desire to acquire information and knowledge related to ones daily living appeared in general. Desire to express oneself and further emotional interchange showed not only self expression through the Internet, but also mutually emotional exchange.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폭력 목격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정여주(Chung Yeoju),신윤(Chung Yeoju),이도연(Lee Doy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1

        청소년들의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 사이버 폭력의 특성상 가해자에 대해 특정을 바로하기 어렵고, 피해사실 증명도 상시 이루어지기 어렵다는 점에서 사이버폭력이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들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이버폭력 상황에서 즉각적인 개입과 옹호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목격자들에 대해서 주목하여, 사이버 폭력 목격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 개발된 사이버폭력 피 가해 척도를 기반하여 언어폭력, 명예훼손, 소외, 플레이밍, 성폭력 영역별로 목격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로 수정하고, 398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 결과와 전문가 논의를 거쳐 언어폭력 4문항, 명예훼손 3문항, 성폭력 4문항, 소외 3문항, 플레이밍 3문항의 총 17문항을 최종 선정하였다. 이후 총 458명의 중 고등학생들에게 본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5개 요인 구조 모형의적합도가 높게 나타나 목격척도의 구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사이버폭력 피 가해척도와 상관분석을 통해 준거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무작위 배정된 두 집단 간 비교 및 학교급 집단 간 비교를 통해 척도의 구조 동일성을분석하여 교차타당도 또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Cyberbullying affects students’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that it is difficult to pinpoint the perpetrators due to the nature of cyberbullying and to prove the fact of damage all the time. Therefore, the aim of current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 scale to measure the degree of cyberbullying bystander experience since bystanders are the one who can intervene the scene immediately as advocates, Based on the previously developed cyberbullying violence victim and perpetrator scale, we revised the items to measure the bystander experience in each of the areas, verbal violence, defamation, alienation, flaming, and sexual violence and conducted preliminary survey with 398 secondary school students. A total 17 items were finally selected based on preliminary results and consultation: verbal violence(4 items), defamation(3 items), sexual violence (4 items), alienation(3 items), and flaming(3 items).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458 adolescents and the finding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five factor model of cyberbullying bystander scale, demonstrating the construct validity. In addition, criterion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cyberbullying victim/injury scale, and crossvalidation was also confirmed by analyzing the structural identity of the scale through comparison between two randomly assigned groups and between school-level group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사이버폭력 피해로 인한 인지변화 척도 개발

        정여주(Chung, YeoJu),김한별(Kim, HanByul),김희주(Kim, Hee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cognitive change for cyberbullied youth. This study was performed to 137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May to D ecember 2015. 53 items for preliminary survey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FII(Focus Individual Interview), and final item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tal 25 items(assessment about the offender 6 items, internalization of damage problems 6 items, assessment about the other peoples 5 items, worry about peer relationship 5 items, thought about result of cyberbullying 3 items) were chosen. The results for main survey was that high reliability(Cronbach α = .968) was confirmed and support for the scale’s criterion validity has been demonstrated by relationship to the Cyberbullying Experience scale(r = .210~.337), Cyberbullied Adolescents Behavioral Response scale(r = .428~.637). The results of construct validation showed five-factor structure to be valid, and demonstrated correlations among the subscales (NFI = .935, TLI = .932, CFI = .945, RMSEA = .068). The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provide much more information about youth cognitive change by cyberbullying, moreover it will be useful when we counsel with victims of cyberbullying. 본 연구는 사이버폭력 피해를 경험한 청소년의 인지변화에 관한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12월까지 초 중 고 등학생 137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FII(Focus Individual Interview)와 문헌 연구 를 바탕으로 예비조사 문항을 구성한 후,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본조사 문항을 추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을 통해 최종문항을 확정하였다. 예비조사 문항 53개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해자에 대한 부정적 개념화 6문항, 피해 문제의 내면화 6문항, 세상 사람에 대한 평가 5문항, 친구관계에 대한 걱정 5문항, 결과에 대한 생각 3문항 총 25문항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다. 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분석하였을 때, 전체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이 .968로 나타났고, 준거타당도 분석을 위해 함께 실시한 사이버폭력 경험 피해 척도, 사이버폭력 피해 행동반응 척도와 의 상관 점수가 각각 .210~.337, .428~.637로 측정문항이 타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NFI, TLI, CFI, RMSEA의 값이 각각 .935, .932, .945, .068으로 측정모형이 매우 적합하였다. 본 연구 에서 개발된 척도는 사이버폭력 피해를 경험한 청소년들의 인지 변화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상담적 접근을 취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마련해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 진다.

      • KCI등재

        장애아동을 위한 미술치료교육의 의미와 역할

        정여주 ( Yeo Ju Chu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0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과 치료의 필요성을 통하여 미술치료교육의 의미와 역할을 논의하기 위하여 치료교육의 정의와 의미를 먼저 고찰하고 이에 근거하여 문헌연구를 통하여 미술치료교육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장애 아동을 위한 미술치료교육은 특수교육과 미술치료를 기반으로 하여 장애아동의 인지적, 정서적, 감각 운동적, 사회적 측면 등의 전반적인 발달 상황들을 향상하게 하는 영역이다. 이에 따라 미술치료교육의 이론적 근거와 적용모델을 제시한다. 또한 미술치료교육의 계획으로서 단기계획과 장기계획과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기법들을 고찰하고 각각의 효과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향후 연구방향으로 장애유형별 미술치료교육의 접근법과 프로그램의 개발, 전문가 양성교육체계와 방법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ed of therapeutic ar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it was discussed about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herapeutic art education which is based on therapeutic special education, its historical background, theoretical approach, phrase and technic and efforts with literature research. Because therapeutic art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based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rt therapists have to consider the whole developmental situ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uch as cognition, emotion, sensor motor, social aspects. In connection with this aspects it was also discussed about the short- and long term plan of therapeutic art education, the phase, the evaluation, the technique and effects.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study to apply theraputic art education to each type of disabilities and develop its didactics and programs. Finally it also needs to develop the educational program system of therapeutic art education for teachers and art therapists.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활용력의 관계 : 정서인식명확성, 자기통제력, 정서조절력의 매개효과

        정여주(Yeoju Chung),이도연(Doyeon Lee),남민지(Minji N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5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게임활용력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 자기통제력, 정서조절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전국의 중⋅고등학생 635명을 대상으로 부모애착척도와 게임리터러시척도(게임활용력), 정서인식명확성척도, 자기통제력척도, 정서조절력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을 구성, 자료를 수집하였다. 통계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분석을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애착은 게임활용력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쩨, 부모애착은 정서인식명확성, 자기통제력, 정서조절력을 이중매개하여 게임활용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애착이 게임활용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인식명확성, 자기조절, 정서조절력이 부분이중매개하는 모형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게임활용력과 관계가 있다는 것과, 정서인식명확성, 자기통제력, 정서조절력을 매개하는 경로가 있다는 것을 밝힌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Self control and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 attachment and Game utilization of adolescents. Method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or 635 adolescents using the Korea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K-IPA), Adolescent Internet Gaming Literacy Scale, Emotion Awareness Questionnaire for children(K-EAQ), Brief Self-Control Scale(BSCS), Emotion Regulation Scale for Children. To verify the proposed research model, structu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An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sequencial mediating effects, bootstrapping method was conducted. Results First, Parent attach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on Game Utilization. Second, Parent attachment influenced to Game utilization by double mediating the Emotional clarity, Self control and Emotion regulation sequentially. Third, the partial dual mediation model of Emotional clarity, Self control and Emotion regulation was valid in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on Gale utilization.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dolescents’ Parent attachment is related to Game utilization, and there is a path that sequential mediates Emotional clarity, Self control and Emotion regulation. Lastl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coming studie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