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새로운 가능성으로서의 서술정체성 - 대학생의 문학치료적 글쓰기 텍스트를 중심으로 -

        정성옥,채연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2

        This is the perio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ge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Looking in a human being's spiritual sphere amidst external richness and convenience in modern times, we are driven into the fierce struggle for existence, thereby living in the era of identity crisi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significance of forming the ego identity and the narrative identity in undergraduates through the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The literary therapeutic writing was progressed by 8 times targeting 2 freshmen at S university where is located in D cit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contents of ego identity was indicated to include ‘living bravely now without losing my nerve,’ ‘encouraging with believing me.’ This could be confirmed that the formation of ego identity in the undergraduate period is under the process and that only the identity of having experienced an introspection and a change can be reborn as subjective ego identity. Also, a meaning of narrative identity was shown to include ‘becoming perfect myself with escaping from other person's sight of residue,’ ‘repetition of selection and shaking.’ This made it available for understanding about the research participants' multi-layered life. Hence, this study re-analyzed the formation of ego identity in undergraduates even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identity by having a human being's narrative function as a medium, thereby being likely allowing our life in the period of convergence to be possibly looked in diverse layers. 지금은 4차 산업혁명시대, 지능정보기술의 시대이다. 현대의 외적인 풍요로움과 편리함속에서 인간의 정신적인 영역을 들여다보면 우리는 치열한 생존 경쟁 속에 내몰려 정체성 위기의 시대를 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학치료적 글쓰기를 통해 대학생의 자아정체성과 서술정체성 형성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D시에 소재하는 S대학교 1학년생 2명을 대상으로 문학치료적 글쓰기를 8회씩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자아정체성의 내용을 살펴보면 ‘이제는 기 안 죽고 씩씩하게 살아요’, ‘저를 믿고 다독여 주는’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 시기 자아정체성의 형성은 과정 중에 있으며 성찰과 변화를 겪은 정체성만이 주체적인 자아정체성으로 거듭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서술정체성의 의미는 ‘타인의 잉여시각에서 벗어나 오롯한 나가 되어’, ‘선택 그리고 흔들림의 반복’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구 참여자들의 다층적인 삶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 시기의 자아정체성 형성을 인간의 서술적 기능을 매개로 한 서술정체성의 관점에서도 재해석함으로써 융·복합시대의 우리들의 삶을 다양한 층위에서 바라볼 수 있게 할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 자살유가족의 문학치료 애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정성옥,채연숙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8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about the mourning process for adolescents who lost their family members due to suicide through the grieving program of literary therapy, and to inquire into a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 based on this. To do this, targeting 2 adolescents who lost their family members due to suicide as those who witnessed a father's suicide, the mourning program of the literary therapy was composed of totally 48 times by 50 minutes once a week from March 2016 to February 2017 as part of ‘a program of supporting At-Risk Families’ in th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where is located in 00 area, and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a narrative inquiry. As for the results that were elicited in this study, first, the mourning process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was indicated to be the narrative layers such as ① ‘as it is, I am okay,’ ② ‘I don't know,’ ‘I am indifferent,’ ③ ‘I am an unlucky child’, ④ ‘Can't you please change my name,’ ‘My father died from an accident.’ Second, figuring out a significance of the mourning experience, the participants were shown condolence with each own method such as the image of behavioral maladjustment, the oppression of emotion, the emotional numbing, and the avoidance. Third, the mourning process appeared to be possibly reworked over many times and to be repetitive and irregular. Accordingly, the mourning work of literary therapy in this study led to having confirmed that it is quite important to intactly share a method of sadness, which is felt by the adolescents who lost their family members due to suicide, and to wait beside in case of being lacking in language available for expressing condolence. 본 연구는 문학치료 애도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 자살유가족의 애도 과정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학치료 애도 프로그램은 아버지의 자살을 목격한 청소년 자살유가족 2명을 대상으로 00지역에서의 위기가족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16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주 1회 50분씩 총 48회로 구성하였고,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첫째, 연구참여자의 애도 과정은 ① ‘그냥요, 괜찮아요’, ② ‘모르겠어요’, ‘아무렇지 않아요’, ③ ‘저는 재수 없는 아이예요’, ④ ‘제 이름 좀 바꿔주시면 안 돼요’, ‘우리 아버지 사고로 돌아가셨어’와 같이 나타났다. 둘째, 애도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면 참여자들은 행동적 부적응의 모습, 감정 억압, 정서적 무감각, 회피 등 각자 자기만의 방식으로 슬픔을 드러냈다. 셋째, 애도과정은 여러 번 걸쳐 재작업 될 수 있고 반복적, 부정기적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문학치료 애도작업을 통해 청소년 자살유가족이 느끼는 슬픔의 방식 그대로 함께하는 것과 곁에서 기다려주는 것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연구자에게도 청소년 자살유가족을 깊이 이해하고 공감하는데 많은 의미를 부여하였다.

      • Software 복잡도와 구조도에 관한 고찰

        정성옥,이성주 조선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89 自然科學硏究 Vol.12 No.1

        Software complexity measures are believed to provide the most objective and quantitative means of controlling software projects. In this paper, we discuss major properties and weakness of control complexity measures investigate hybrid measures and structuredness which complement the demerits of single component measures, analyze properties of control flow complexity measures and investigate a new complexity metrics using regular expression and S to measures program structuredness. To show the complexity according to the structered programs, COM1, and COM2 are presented.

      • 로보트 매니퓰레이터 시스템을 위한 지능 제어기

        정성옥,이윤배 조선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1 自然科學硏究 Vol.14 No.1

        With growth of computer science, researches and developments on robot problem-solving have led to many ideas about expert control in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paper describes the distributed system of intelligent controller for robot manipulator system with 3 joints. In this paper, I present the result of the experiments which indicate how the motion of controlled robotics might be achieved through similar pattern-based paradigms, implemented for real-time operations on robot manipulator with artificial intelligent methodology. For intelligent controller, a knowledge base system is constructed with the knowledge base, inference engine and user interface to determine the control signals required to obtain the desired results.

      • Bytecode로부터 재목적 코드 생성 기법을 이용한 Pentium 코드 생성에 관한 연구

        정성옥,고광만,이성주,Jeong, Seong-Ok,Go, Gwang-Man,Lee, Seong-Ju 대한전자공학회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37 No.4

        인터넷 및 WWW의 급속한 성장은 이 기종 기계 및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수행될 수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연구를 부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이기종 기계 및 분산 네트웍 환경에서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해 개발된 Java 언어는 객체지향 특성을 지원하는 언어이며 Java 프로그래밍 언어 환경에서는 이식성, 번역성, 고성능, 및 단순성 등을 지원하고 있다. Bytecode는 Java 언어의 중간 코드로서 이 기종 기계 및 분산 네트웍 환경의 다중 플랫폼 환경에서 다양한 응용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하지만 Bytecode는 인터프리터 기법으로 실행되는 특성 때문에 많은 실행 시간을 소비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Bytecode로부터 정형화된 방법으로 다양한 목적기계에 대한 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재목적 코드 생성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특히, Java 컴파일러로부터 생성된 Bytecode로부터 실질적으로 Pentium 코드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본 연구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컴파일러 자동화 도구인 ACK의 코드 생성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The massive growth of the internet and the world-wide-web leads us to research the programming languages for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s in heterogeneous, network-wide distributed environments. Java is an object-oriented language for such a environment and the Java programming language environment provides a portable, interpreted, high-performance, simple programming language. Bytecode is an intermediate code for Java language and it enables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s on multiple platform in heterogeneous, distributed networks. But it takes much time to execute Bytecode because of using an interpretation method.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retargetable code generation system which can be systematically reconfigured to generate code for a variety of distinct target computers. From the system, we realize the code generation system which translates the Bytecode being produced by Java compiler into Pentium target code. We use ACK code generation system to do the work easily.

      • VoIP를 위한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스택에 관한 연구

        정성옥,고광만,Jung, Sung-Ok,Ko, Kwang-Man 대한전자공학회 2001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8 No.3

        현재 국내.외적으로 VoIP 관련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으로 인해 VoIP 표준 프로토콜에 대한 국제 표준화 작업과 병행하여 프로토콜 스텍과 같은 소프트웨어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IETF RFC2327에서 제시한 SDP 문법을 기반으로 문법 지식적 변환 기법으로 SDP 요청 메시지를 구조체 형태로 변환하는 앤코더와 구조체 형태를 갖는 SDP 응답 메시지를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는 디코더를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IETF RFC2327에 제시한 Augmented BNF 형식의 SDP 문법을 BNF 형식으로 기술하여 어휘 분석기 및 구문 분석기를 자동 생성한 후 구문 트리를 구성하였다. 또한 SDP 문법으로부터 생성 가능한 모든 규칙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구조체 형태의 헤더 파일을 자동 생성하였다. Accordingly it is very important to not only develop the stack of protocol, but also try a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regarding the standard protocol of VoIP. Has compared to the advanced countries having already some success in commercialization, Korea is relatively much less involved in relation to this technology and endeavors. In this regards, this paper is focused on developing a protocol stack made with encoder/decoder, the generator or the header file, syntax analyzer etc. based on the protocol grammars of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upported by IETF RFC2327. For the sake of it, first describe the SDP BNF grammar based on IETF RFC2327 Augmented BNF. And then we produce the Abstract Syntax Tree, header file generator for encoding/decoding as applying the method of syntax directed to SDP protocol grammar.

      • 문학텍스트에 대한 참여자의 전이 구조

        정성옥,박찬부 대한문학치료학회 2010 대한문학치료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문학치료과정에서 나타나는 문학텍스트에 대한 참여자의 전이 반응을 분석하는 데 목 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통해 문학치료 과정에서 핵심적인 매체인 문학텍스트와 참여자 사이의 전이 구조를 파악함으로써 치료를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했다. 그에 따라 문학텍 스트에 대한 참여자의 반응구조를 질 샤르프와 데이비드 샤르프의 전이 지형도를 큰 틀로 사용해서 분석했다. 실제 사례에서 자아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는 여자 중학생을 대상으로 총 13회기를 진행해 전이 반응을 분석했다. 그 결과 문학텍스트에 대한 참여자의 전이과정은 우선 텍스트를 보며 일어나 는 반응을 '지금-여기'의 전이라고 보고, 그러한 전이는 '지금-거기', '그때-여기', '그때-거기' 등의 전이를 불러 왔다. 또 두 가지 이상의 전이가 결합되어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전이의 위치를 파 악함으로써 참여자의 상처나 부정적인 행동패턴 등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었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Studying Literary Therapy in Middle-aged Married Women - Based on Michel Foucault’s Self-care(epimeleia heautou) Theory

        정성옥,채연숙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experience of studying literacy therapy to the practical context of Michel Foucault’s Self-care theory, thereby understand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intensively.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six participants, therefore having a limitation on generalizing findings. Also, experience of studying literary therapy was analyzed centering on the texts at the literary-therapy workshop, not on exploring the whole process of the certificate for literary psychology counselor. Hence, follow-up research would be necessary to examine in terms of literary psychology counselors who study it as a non-academic degree course. The course is considered to mean ‘a deeper study’ in which this process makes middle-aged married women available for new self-discovery or leisurely life according to getting older beyond the orientation of employment or career-seeking. As for self-awareness in sequence, the self-discovery and self-awareness were ever expressed together without a big distinction. But some of participants intended to realize clearly or remove the desire of other person or the outside world. Successively, inspecting the self-discipline part, the participants came to know how precious they are such as the necessity for time of being absorbed in themselves, what takes care of themselves, and the consideration on themselves. Finally, checking the self-practice part,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the image of strengthening their will to practice themselves even if the previous attempt is frustrated with knowing what is necessary for themselves now. Given arranging, the middle-aged married women, who study the qualification-certificate process for a literary psychology counselor, presented the image of proceeding with securing identity from the viewpoint of self-discovery & awareness, self-training & practice through the experience of studying literary therapy. This proves that the experience of studying literary therapy may be helpful for self-care that Michel Foucault says.

      • KCI등재

        문학치료와 외상 후 성장 과정에 관한 연구 - 2·18 대구지하철화재 유가족의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정성옥,채연숙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0

        A Study on the Post-traumatic Growth Process through a Literary Therapeutic Support - Focusing on the Narratives of the February 18 Daegu Subway Fire Victims' Famili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which help the literary therapy becomes to people who experienced a traumatic incident, through the actual process of implementing a program.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 12 people who applied for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among the families of the victims in the Daegu Subway Fire dated on February 18.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was composed of totally 10 sessions with being conducted once a week by 120 minutes. The data, which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are the participants' writings and narratives in the literary therapy program, and were analyzed the narr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PTG(post-traumatic growth) model that Tedeschi and Calhoun developed. The participants' sorrow and longing were still continued even if time passed. Sequentially, a change in view of life includes what came to feel the preciousness of the survived family members and what thinks that living healthily is happiness. However, there were even participants who were not changed yet this view of life among participants. Finally, a spiritual change was indicated to cover completing a memorial project, serving people who feel hard and have a sore heart, and enduring a difficult time with seeking own religion. This can be confirmed that social power functions as another method in PTG process. Accordingly, this study considered that an individual's not only PTG but also social growth will need to be consistently made because the participants are experiencing a difficulty as the emotion of sadness or yearning is left yet in relation to the deceased even if striving to live happily with being mostly satisfied at the current life, and because of being left a social task called the accomplishment of a memorial project relevant to the accident. 본 연구는 실제로 외상 사건을 경험한 사람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삶의 의미와 지지를 얻게 되는지를 문학치료를 통해 탐색하였으며 연구의 참여자들은 2․18 대구지하철 화재 사망자 유가족 중에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지원한 12명이다. 문학치료프로그램은 주 1회, 120분씩 실시하여 총 10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탐색한 내러티브들은 이들 참여자들이 실제로 문학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표출한 텍스트들이 주를 이루며 Tedeschi와 Calhoun의 외상 후 성장(PTG)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본 연구가 프로그램의 과정을 통해 도출한 성과로는 이들 참여자들의 슬픔과 그리움은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인생관적 관점의 변화에서는 참여자들이 남은 가족들의 소중함을 느끼고 있었으며 건강하게 살아가는 것이 행복이라고 생각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성과 외에도 참여자들 중에서는 이러한 인생관의 변화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참여자도 있었다. 끝으로 영적 변화의 관점에서는 추모사업을 완결하는 것, 어렵고 마음 아픈 사람들에게 봉사하기, 자신의 종교를 찾아 힘든 시간을 견뎌내기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인 힘이 외상 후 성장 과정에 또 하나의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참여자들은 대체로 현재 삶에 만족하고 행복하게 살고자 노력하지만 여전히 고인과 관련하여 슬픔이나 그리움의 감정은 남아있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고 사고와 관련한 추모사업의 완결이라는 사회적인 과제가 남아있어 개인의 외상 후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성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았다.

      • 상호운용성 지원을 위한 이동 에이전트 시스템 설계

        정성옥,이정기,홍성표,송기범,이준 조선대학교 전자정보통신연구소 2002 電子情報通信硏究所論文誌 Vol.5 No.1

        A mobile agent is a computer program that acts autonomously on behalf of a person or organization and that has the unique ability to transport itself from one system in a network to another. An agent system is a platform that can create, interpret, execute, transfer and terminate agents. But, most current mobile agent systems adopted their own architectures,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ways. Since those agent systems provide different interfaces, agens created in one mobile agent system could not move to other agent systems perform their task. To solve this problem, interoperability become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on mobile agent systems. The OMG(Object management Group) proposed: the MAF(Mobile Agent Facility) specification for the interoperability among heterogeneous mobile agent systems. The MAF specification contains MAFAgentSystem and MAFFinder interfaces, and defines agent management, code mobility and naming rul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xecution model that can execute mobile agents within an agent system and migrate them to a remote agent system as conforming MAF, and design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its agent system. Our model uses Java and CORBA ORB in its the implementation and exploits their characteristics appropriately. Specifically its agents beside its clients can spawn child agents and control other ag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