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개인정보보호기술과 정보보호산업 동향

        정상호,Jeong, Sang-Ho 한국정보통신집흥협회 2004 정보화사회 Vol.168 No.-

        정보보호기술은 사이버 공간을 통한 정보침해의 양상이 다양화.지능화되고, 새로운 정보통신서비스가 등장함에 따라 기술 발전도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제 사이버상의 범죄 예방 및 국가차원의 정보보호를 제고하기 위하여 정보보호산업의 육성은 매우 시급한 실정이다.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 관련 법안의 입법 실패 요인에 관한 연구

        정상호,Sang-Ho Jeong 사단법인 코리아컨센서스연구원 2024 분석과 대안 Vol.8 No.1

        This study sought to explain the reasons why the civic education bill failed to be enacted as many as 13 times. What we discovered as a result of our research is, first, the absence of a legislative strategy by the minority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on this bills. The Citizenship Education Bill was a controversial bill with great potential for ideological conflict, and after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is bill was promoted by a minority of a specific political party. The Democratic Party's sponsoring lawmakers did not use active legislative strategies, such as exerting influence within the party to have these bills adopted as the party's platform, or developing them into major pledges for the general and presidential elections. Second, there is a consistent passive response from civic groups as well as lawmakers who signed the bill in an unfavorable public opinion environment. During the legislative process, opposing opinions were overwhelming, including concerns about the spread of leftist ideology, waste of budget and organization, and violation of neutrality and fairness in education. In addition, the passive attitude of field teachers and civic groups, who should be in charge of civic education, also served as a background for the legislative failure. Third, due to a lack of sharing of reliable information on recent theoretical research and global policy trends among stakeholders, legislation through an agreement between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fail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에서 공화(共和) 개념의 발전 과정에 대한 연구

        정상호(Jeong, Sang-Ho)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3 현대정치연구 Vol.6 No.2

        본 논문은 한국 나아가 동아시아의 공화 개념의 기원과 정착 과정에서 두 가지 점에서 서구와 다른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나는 공화와 화평과 단합을 강조하는 대동사상과의 연관성이다. 동양에서 대동사상은 중국의 캉유웨이, 쑨원은 물론이고 우리나라의 정조에 이르기까지 공존과 화합이 어우러진 이상적인 정치체제를 지칭한다. 그러기 때문에 좌파와 우파를 가리지 않고 민주공화국의 헌법과 국체에 쉽게 동의할 수 있었다. 또 하나의 특징은 한국의 공화 개념이 공동선의 지향이나 시민참여와 같은 통치의 에토스보다는 국가의 정부형태라는 의미로, 즉 미국의 자유주의적 공화주의와 유사한 경로를 밟게 되었다는 것이다. 끝으로 동아시아라는 비교의 관점에서 볼 때 우리나라는 매우 역동적인 공화 개념의 변천사를 보여주고 있다. 왜냐하면, 공화 개념의 민주화가 학교나 헌법과 같은 제도나 공식 교육을 통해 이루어진 서구와 달리 4.19혁명에서부터 최근의 촛불시위에 이르기까지 장구한 민주화 운동을 통해 진전되었다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cepts of republic in modern Korea. Especially this paper focus on the relations of social movements and the concepts of republic which attract attention researchers recentl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oncepts of republic could elucidates universality and speciality of modernization in Korea which are very different in the regimes. It will be a cornerstone that can explain how Korean became republican civic. This paper has two academic significances. One is elucidation of specific meaning of concepts of republic in Korean which place emphasis on unity and harmony. At least until the democratic periods, meaning of the republic overwhelmingly connoted not idealogical visions and doctrines but political regimes. The other is to explain dynamic relation of social movements and concepts of republic. Especially the epoch-making events of Korean modern history, Kwang-ju and June democratic movement in 1980’s and candlelit protests stormed the streets in 2004 and 2008 made a clear and collective identity of republic and republican civic in Korea. That is, the republicanism and the modernized republican citizen had been created by the social movements and civic protests.

      • KCI등재

        1987년 대선과 후보 단일화 논쟁의 비판적 재평가

        정상호(Jeong, Sang Ho) 역사비평사 2012 역사비평 Vol.- No.98

        South Korean presidential election in 1987 that was the most dramatic political change in Korean modern history ended in failure to opposition parties and democratic movements. This article is a case study on 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Kim Dae Jung and Kim Young Sam who were oppositional party reader. Most of all studies have pointed out emotional conflict and rivalry competition of two politicians to cause of defeats of the election. This paper more lay emphasis on institutional and empirical context which collapsed coalitions of the two Kim’s candidate prior to an election. At that time, the most necessary measures were institutional solutions that could coordinate and modulate two Kim’s for candidacy unification. The failure of candidacy unification and defeats of 1987 election result handed over some unfavourable legacies, including divisive regionalism, an underdeveloped party system, an imperial but weak and ineffective presidency and political corruption.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정부 위원회 제도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비교 연구

        정상호(Sang Ho Jeong) 한국정치학회 2003 한국정치학회보 Vol.37 No.5

        본 논문은 정부 위원회라는 동일한 성격을 갖고 있는 한국의 위원회와 일본의 심의회가 해당 사회에서 수행하였던 사회적 기능과 역할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고, 나아가 최근 전환기에 선 위원회와 심의회 제도의 중요한 변화 내용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을 통해 우리는 정부와 민간을 연결하는 수평적 네트워크로서 위원회 제도의 세 가지 서로 다른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원회 제도가 가장 활성화된 미국의 경우 전문가 주도 모델(the expert-dominant model)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의 교수와 대학 이외의 연구기관 참여자들이 전체 위원의 절반(52%)을 차지하고 있다. 개별 기업인들의 참여는 높지만 협회(trade association)의 참여(1.6%)가 가장 저조한 것은 주목할만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일본의 경우는 개별 기업의 참여는 중간 정도이지만 각종 협회의 참여(25.4%)는 세 나라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그런 점에서 일본은 업계 주도 모델(the trade association-dominant model)이라고 할 수 있다. 적어도 최근의 행정개혁 이전까지 일본의 심의회는 업계를 필두로 다양한 사회이익의 합의적 기제, 혹은 갈등적 사회이익의 조정제도로 기능하여 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는 그 비중이 과거 권위주의 정부(47.1%)에 비해 많이 감소하기는 하였지만 아직까지도 공무원의 비중(39.7%)이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압도적인 관료 주도 모델(the bureaucracy-dominant model)임을 알 수 있다. 끝으로 근본적 변화를 겪고 있는 최근 한국과 일본의 자문 위원회 제도의 변화의 원인과 방향을 살펴보았다. 두 나라 위원회 제도는 수행하였던 기능과 역할은 다르지만 ‘비례성’과 ‘투명성’의 제고라는 변화의 방향에서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social roles and functions of Governmental Committee in Korea and Japan both of which have a similar characteristic of a committee system. In addition, this article inquires into important changes in both committee systems that are in trans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mmittees have three different models as a lateral network that connects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the expert-dominant model, the trade association-dominant model, and the bureaucracy-dominant model. First, the expert-dominant model could be found in the U.S., where the committee system is most active. University professors and researchers in other research institutes cover 52% of total committee members. It is noteworthy that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trade associations is the lowest (1.6%) among three countries while the participation of business individuals is high. Secondly, the Japanese model could be considered the trade association-dominant model. In Japan, the participation of individual business organizations is moderate, but the one of diverse business-associations (25.4%) is the highest among three countries. Until the recent administrative reform, the consultation committee in Japan, dominated by the industry, had been functioning as mutual agreement system of diverse social interests or arbitration system of conflicting social interests. Thirdly, Korean model could be described as the bureaucracy-dominant model. The percentage of public officials (39.7%) is excessively higher than the one of the U.S. or Japan even though the percentage has diminished compared with the one of the past authoritarian government (47.1%). At the end of this paper, the causes and directions of Korean and Japanese advisory committee systems, which are fundamentally being reformed, are analyzed. While the functions of the committee system in both countries are different, the change in their directions could be considered as their similarity in two respects of transparency and representativeness.

      • KCI등재

        시민과 시민권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1987년 6월 민주화 운동

        정상호(Jeong Sang-ho)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7 亞細亞硏究 Vol.50 No.4

        This paper analyzed June Democratic Movement in 1987 through the perspectives of citizen and citizenship. Especially this paper focus on the relations of social movement and citizenship which attract attention researchers recently. It will be a cornerstone that can explain how Korean became civic. This paper has two academic significances. One is elucidation of June Democratic Movement in 1987 from below citizen’s perspective, the other is to explain dynamic relation of social movement and citizenship. I found three interesting facts through this study. First, the citizenship during the building national state after 1945 liberation is pseudo citizenship from above and outside. Second, there was no substantial development in both citizenship and civic virtue in 1960’s and 1970’s. At the result, the consciousness and discourse of petit bourgeois which mean a vulgarian being and uninterested in politics were dominated. Third, the epoch-making events of Korean modern history, Kwang-ju and June democratic movement in 1980’s made a clear and collective identity of citizen and concept of citizenship in Korea. That is, modernized active citizen had been created by the movements.

      • KCI등재

        보훈단체의 민주화 방안 연구

        정상호(Jeong, Sang Ho)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5 현대정치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학술적 논의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보훈단체의 집단행동의 유형화 및 특성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유형화를 위해 집단행동을 촉발하는 원인에 따라 이익과 가치로 나누었고, 집단행동의 방식에 따라 관례적 참여와 비관례적 참여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로비, 주창, 인정, 쟁투라는 집단행동의 네 가지 유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보훈단체의 집단행동의 특성은 첫째, 여타의 집단에 비해 비관례적 참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것이고, 둘째, 이익 갈등보다 가치 갈등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보훈단체의 이러한 집단행동의 특성을 과격화와 정치화로 파악하고, 그것을 낳은 구조적 원인을 국가조합주의의 해체로 인한 정부의 정책수단의 약화와 보훈단체 회원의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찾았다. 또한, 보수정부와 집권여당의 정치적 동원 전략도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보훈단체를 민주화 시대에 맞는 개방형 권익단체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이러한 방향으로 이끌 수 있는 정부의 청사진 제시와 조정 능력의 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보훈단체와 보훈단체, 그리고 보훈단체와 시민단체 사이의 협력적인 네트워크의 구축과 소통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on typology and features of collective action of Group of Patriots and Veterans(GPVs) that has been very rare studied in Korea. We identified four patterns of collective actions which are called Lobby, Advocacy, Recognition and Contention according to basic cause(interest vs value) and methods of participation(conventional vs. unconventional). This research found interesting facts as below. First, the share of unconventional participation like as illegal strike and violent demonstration sustained high level until now. Second, the portions of value conflict overwhelmed that of interest conflict. We digested these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action in GPVs as politicization and radicalization. This research attributed the causes of politicization and radicalization to the dismantling of state corporatism, poor social economic conditions of GPVs and political strategy of conservative government. To change from closed pressure group to opened public interest group in GPVs, it is concluded that strategic planning and coordinating abilities of government are most important.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