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후기청소년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구조방정식모형

        정미나,임영식,박가열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9 미래청소년학회지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model to explain in detail why youths are willing to change their jobs, trying to understand their job-changing backgrounds including personal decisive factors like career planning and organizational factors like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employed to analysis the data an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ir career planning for individual goals affect their turnover intention more positively than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ir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for organizational goals affect their turnover intention more negatively. Third, the growth rate of their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ir career planning increases comparatively more than that of their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organizational goals holding back their turnover intention. Finally, this study also argued about what is the definitions and the limits of investigation into youths' career and what is needed for the further research. 본 연구는 후기청소년의 이직의도와 관련된 개인(경력계획) 및 조직(직무만족, 조직몰입, 경력몰입) 차원의 주요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여, 이직의도를 종합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현재 취업 상태에 있는 후기청소년 562명의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차원의 경력계획은 조직 차원에서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정적인 직접 효과가 있었다. 둘째, 조직 차원의 조직몰입, 경력몰입은 이직의도에 부적인 직접 효과가 있었다. 셋째, 이직의도를 증가시키는 경력계획의 직접적인 효과보다 직무만족과 조직 및 경력몰입을 통한 간접적인 감소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가 갖는 후기청소년들의 진로 개입에 관한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Transition metal-catalyzed polymerization of 1-hexyne: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1-hexyne)

        정미나,박영일,제갈영순,진성호,임권택,박종욱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The polymerization of 1-hexyne was carried out by various transition metal catalysts. The instrumental analysis data on the polymer structure revealed that the present polymer have the conjugated polyene backbone system with n-butyl substituents. This polymer showed UV-visible absorption band at 276 nm and PL spectrum at 415 nm, indicating relatively blue-shifted PL maximum value. The cyclic voltammograms indicated that the kinetics of the redox process are close to the diffusion-control process. The band gap energy of polymer was estimated to be 2.98 eV and HOMO and LUMO level values of polymer were 5.35 and 2.37 eV, respectively.

      • KCI등재

        「미래청소년학회지」의 연구동향: 내용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정미나,임영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focusing on content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hen grope after its developmental strategy in the future. For this, 327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journal from its first issue in 2004 to the issues in 2016, were analyz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journal has satisfied the conditions of a professional journal and developed qualitatively as well as quantitatively. Second, more than half research papers were studied by collaborators and the majority of researchers belonged to universities. Third, most of research papers were carried out empirically and survey studies were many in particular. Fourth, most of study subjects were youths, and most frequently presented keyword was ‘youth activity’. Fifth, the result of weighted network analysis, presented that ‘peer attachment’ was number one in ‘nearest neighbor centrality’, whereas ‘protective factor’ and ‘self-esteem’ were number one in ‘mean associations’ and ‘triangle betweenness centrality’, respectively. And sixth, the result of keyword network structure analysis presented that there was an intellectual structure and it was classified into five clusters. Based on the above study finding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내용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병용하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에서 발간된「미래청소년학회지」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4년 창간호부터 2016년까지 게재된 327편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학술지는 전문학술지로서의 자격을 갖추면서 질적으로 발전하였으며, 양적으로도 연도별 게재논문의 편수가 꾸준히 증가․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논문의 절반 이상이 공동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고, 대학교 소속 연구자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부분의 논문이 경험연구이며, 특히 조사연구가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학술지 특성상 가장 많이 집중된 연구대상은 청소년이고, 가장 많이 제시된 키워드는 ‘청소년활동’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동시출현 키워드에 근거한 가중 네트워크 분석결과, 지역 중심성인 최근접이웃중심성에서는 ‘또래애착’이 1위로, 전역 중심성인 평균연관성과 삼각매개중심성에서는 ‘보호요인’과 ‘자아존중감’이 각각 1위로 나타났다. 여섯째, 키워드 네트워크 구조의 분석결과,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된 지적 구조가 도출되었다. 5개의 군집은 문제 및 비행, 정신건강, 또래애착, 학교적응과 진로, 청소년활동 및 정책 관련 키워드로 구성되었다. 결론에서는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학술지와 청소년학문의 발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Modification of poly(4-vinylpyridine-co-styrene) by 4-[4-(8-Bromooctyloxy)phenylazo]benzonitrile: synthesis and properties

        정미나,제갈영순,진성호,임권택,박종욱 한국공업화학회 2015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5 No.1

        The modification of poly(4-vinylpyridine-co-styrene) was performed by the polymer reaction of poly(4-vinylpyridine-co-styrene) with 4-[4-(8-bromooctyloxy)phenylazo]benzonitrile. The polymer structure was characterized by various instrumental methods to have a poly (4-vinylpyridine-co-styrene) backbone system with the designed azobenzonitrile moieties. The electrochemical and electro-optical properties were studied. The absorption spectrum showed a characteristic absorption peak at 365 nm. The polymer showed two oxidation and reduction response properties in a polymer unit and two electrochemical processes were included in the irreversible redox step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진로관여도의 매개효과

        정미나,양은주 한국청소년학회 2012 청소년학연구 Vol.19 No.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관여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348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진로의사결정유형척도(ACDM-Decision Making Style), 진로관여도 척도(Occupational Engagement Scale-Students), 진로태도성숙 척도(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로 구성되었다. 상관분석결과, 합리성은 진로관여도, 진로성숙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의존성은 진로성숙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관여도는 진로성숙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진로관여도는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를 매개하였다. 합리성과 의존성에서는 진로관여도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으며, 직관성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관성이 진로성숙도를 예측하는 기제는 합리성과 의존성과는 구분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s of occupational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making styles and career maturity. Participants were 348 college students in junior and senior years. They completed a survey packet including ACDM-Decision Making Style, Occupational Engagement Scale-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occupational engagem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cision making styles and career maturity. The effects of rational and dependant career decision making styles on career maturity were partially mediated by occupational engagement, while the full mediation of occupational engagement was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uitive style and career maturity.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정미나,임영식 한국진로교육학회 2013 진로교육연구 Vol.26 No.4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cale for domestic adolescents via theoretical/empirical approaches. For this, 12 adolescent-career professional tested the validity of contents of structuring factors and measuring items of the scale which was primarily composed by the authors. As a result, the authors worked out 69 preliminary items in the 9 sub-areas of 3 areas. And the data of 602 adolescents were divided into a calibration sample (n=363) and a validation sample (n=239) at the rate of 6:4 and they were empirically analyz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primary analysis on item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arried out and 45 items were worked out. Second, vi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areas of self-knowledge, career planning and preparation consisted of 3 factors and 14 items respectively and the area of career exploration consisted of 3 factors and 13 items. Third, vi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series of higher-order CFA on the first/second/third order factor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scale on the whole consisted of 3 areas, 9 sub-areas and 41 items and the construct validity and cross validity of the scale were verified. Fourth, by combining the test of convergent validit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was reconfirmed. Fifth, after confirming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a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cale for adolescents was worked out finally. Based on the above study finding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이론적․경험적 접근방법을 통해 국내 청소년의 진로개발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연구자들에 의해 1차로 구성된 척도의 구성요인과 측정문항의 내용타당도를 청소년 진로관련 전문가 12명이 검증하였고, 그 결과 3개 영역, 9개 하위영역, 69개의 예비문항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청소년 602명의 자료를 6:4의 비율로 추정표본(363명)과 검증표본(239명)으로 분할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의 1차 문항분석으로 45개의 문항이 변별되었다. 둘째,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자기이해, 진로계획 및 준비 영역은 각각 3요인, 14개 문항으로, 진로탐색 영역은 3요인, 13개 문항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확인적 요인분석 및 1차․2차․3차 요인모형의 고차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 전체의 요인구조는 3개 영역, 9개 하위영역, 41개의 측정문항으로 확정되었으며, 척도의 구인타당도 및 교차타당도가 입증되었다. 넷째, 수렴타당도 검증을 병행하여 척도의 구인타당도를 재차 확인하였고, 다섯째, 척도의 신뢰도를 확보함으로써 최종 청소년 진로개발역량 척도를 완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및 한계,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관련 변인에 대한 경로분석

        정미나,임영식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2

        This study is to examine causal factors directly related to youth graduates' entry into labor market and to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about labor market transition from school to work.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data based on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It is used to predict variables about youth graduates' entry into labor market by ‘decision tree analysis’ and to verify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rough ‘path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hows that important predictors of college graduates' entry into the labor market are monthly income per household,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working conditions(such as salary, job stability), a major field of study. Especially, it indicates that the most predictable factor is the level of their household income when it comes to starting work. Second, factors which are monthly income per household,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and working conditions have directly positive effect on labor market entry. Third,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have positive effect on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working conditions. Fourth, although the prospects about their majors have indirect effect on colleges entry into the labor market, with specifying usefulness of their major at workplace and working conditions as parameters, the results are not sta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some implications. First, the government authorities should establish proper policy to decrease the youth unemployment rate and to solve socioeconomic structural problems. And individual efforts for pre-employment are needed as well. Second, a solution can be developed to redress unbalance between demand and supply of the youth labor market due to the surplus of graduates. Third, Career education for adolescent should be prepared vitally. 이 연구의 목적은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 대한 인과적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노동시장 이동경로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에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초기 경력자들의 안정적 안착 기간을 고려하여 성공적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한 대졸 청년층과 비진입한 대졸 청년층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으로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 관한 변인을 예측하였고,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통해 변인 간 존재하는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을 예측하는 변인은 가구의 월평균 소득,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 첫 직장 업무에 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 구직 조건(예컨대, 급여, 고용 안정성 등)의 중요도, 전공계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노동시장 진입을 가장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졸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데 있어, 가구의 월평균 소득,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 첫 직장 업무에 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 구직 조건의 중요도가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은 첫 직장 업무에 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 구직 조건의 중요도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향후 전공학과의 전망은 첫 직장 업무에 대한 전공지식의 도움정도와 구직 조건의 중요도를 매개로 하여 노동시장 진입에 간접효과가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 경제적인 구조적 원인으로 인해 대졸 청년층의 노동시장 진입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구직자 개인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할 뿐 아니라 정책적으로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둘째, 대졸 청년층의 유휴 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급자 및 수요자 측면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진로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Dibenzofuran을 기반으로 한 TADF 재료의 개발 및 평가: 치환 위치에 따른 물질의 물성 변화

        정미나,이경형,이준엽,홍완표,송옥근 한국공업화학회 2019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9 No.1

        본 연구에서는 dibenzofuran을 기반으로 한 green thermally activated delayed fluorescent(TADF)물질인 2Cz3Trz와 3Cz2Trz를 디자인하고 합성하였다. 전자 주개 단위체로는 3,3-bicarbazole, 전자 받개 단위체로는 diphenyltriazine를 도입하였다. Dibenzofuran에서 전자 주개, 받개 단위체의 치환 자리 변화에 따른 물질의 전기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합성된 물질을 적용하여 OLED 소자를 제작하였고 2Cz3Trz가 18.3%의 효율, CIE x,y (0.30, 0.56)으로 녹색 OLED 소자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심리적 유형에 따른 진로장벽 지각의 차이: 내외통제성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을 중심으로

        정미나,엄정혜,성벼리,양은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Vol.8 No.3

        This study investigated psychological types based on the locus of control and the tolerance of uncertainty that might lead to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of the Korean adolescents. A total of 648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s completed a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luster analysis and MANOVA. Cluster analysis with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the tolerance of uncertainty yielded four types: Internal control group with security, external control group with insecurity, high engagement group with insecurity, and low engagement group with insecurity. Security and insecurity represented the high and low levels of the tolerance of uncertainty. Internal control indicated a high level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a low level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External control was labeled for the condition with a high level of external locus of control and a low level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High engagement reflected high levels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loci of control, and low engagement was indicated by low levels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loci of control. M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four groups in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The result showed that internal control group with security perceived the lowest level of career barriers across all types of career barriers. On the other hand, both high engagement group with insecurity and low engagement group with insecurity reported the greatest level of career barrie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tolerance of uncertainty, along with the locus of control, may serve as an important factor for perceived career barriers.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청소년들의 진로장벽 지각에 대한 개인차를 설명할 수 있는 심리적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진로장벽의 지각이 개인이 경험에 대해 접근하는 양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내외통제성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의 부족이라는 심리적 요인들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고 이들 유형간 진로장벽의 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전체 648명의 남녀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고, 군집분석과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적통제성, 외적통제성,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을 중심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네 개의 하위집단이 도출되었으며 이들은 안정 내부귀인형, 불안정 외부귀인형, 불안정 고관여형, 안정 저관여형으로 명명되었다. 안정과 불안정의 차원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에 기반하였다. 내부귀인형은 높은 내적통제성과 낮은 외적통제성을 특징으로 하며, 외부귀인형은 낮은 내적통제성과 높은 외적통제성을 반영하였다. 고관여형은 내적통제성과 외적통제성 모두 평균이상인 집단이었으며, 저관여형은 둘 모두 평균이하인 집단이었다. 이러한 유형에 따른 진로장벽 지각에 차이가 있는지를 다변량분석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진로장벽 유형에 관계없이 안정 내부귀인형이 가장 진로장벽을 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불안정 고관여형과 불안정 외부귀인형이 가장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차원이 내외통제성과 함께 청소년의 진로장벽 지각에 중요한 개인차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