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과 토론수업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정문성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7 teachers regarding their percep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tudies debate classes on improving the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All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debate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critical thinking. In particular,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ebate classes evaluated the calsses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without experience, and teachers of secondary schools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The effect of the debate class was great on all three sub-dimensions of critical thinking (fact, logic, point of view). First, in terms of facts, secondary teachers evaluated more positively than elementary teachers. In the sub-domains, secondary school teachers answered that in 'distinguishing facts and values' and 'trust', the effect of improving critical thinking was greater than tha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 'prejudice confirmation',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ebate classes wer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critical thinking than teachers without experience. Second, in terms of logic,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ebate classes evaluated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without experience. In the sub-domains,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critical thinking was greater than that of elementary teachers in 'clarification’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ebate classes evaluated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without experience in 'validity'. Third, in terms of perspective,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ebate classes responded that the effect of improving critical thinking was greater than that of inexperienced teachers, secondary teachers than elementary teachers, and low-career teachers than high-career teachers. In the sub-domains, secondary school teachers evaluated more positively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improving critical thinking in 'assumption confirmation' and teachers with experience in debate classes answered that they wer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critical thinking than inexperienced teachers, secondary teachers than elementary teachers, and low-career teachers more than high-career teachers in 'viewpoint confirmation'. 20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사회과 토론수업의 비판적 사고력 신장 효과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응답자 모두 토론수업이 비판적 사고 향상에 긍정적 효과를 준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토론수업 유경험 교사가 무경험 교사보다, 중등 교사가 초등 교사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비판적 사고의 세 하위 차원(사실, 논리, 관점) 모두 토론수업의 효과가 크다고 응답하였다. 첫째, 사실 차원에서는 중등 교사가 초등 교사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세부영역에서는 ‘사실과 가치의 구분’과 ‘신뢰’에서는 중등 교사가 초등 교사보다, ‘편견 확인’에서는 토론수업 유경험 교사가 무경험 교사보다 비판적 사고 향상 효과가 크다고 응답했다. 둘째, 논리 차원에서는 토론수업 유경험 교사가 무경험 교사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세부영역에서는 ‘명료성’에서 중등 교사가 초등 교사보다, ‘타당성’에서는 토론수업 유경험 교사가 무경험 교사보다 비판적 사고 향상 효과가 크다고 응답했다. 셋째, 관점 차원에서는 토론수업 유경험 교사가 무경험 교사보다, 증등 교사가 초등 교사보다, 저경력 교사가 고경력 교사보다 비판적 사고 향상 효과가 크다고 응답하였다. 세부영역에서는 ‘가정 확인’에서 중등 교사가 초등 교사보다, ‘관점 확인’에서는 토론수업 유경험 교사가 무경험 교사보다, 증등 교사가 초등교사보다, 저경력 교사가 고경력 교사보다 비판적 사고 향상에 효과가 크다고 응답하였다.

      • KCI등재

        미국 재외동포 한글학교 교사의 삶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정문성,전영은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lives of Korean school teachers in the United Stat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of Giorgi.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interview survey, the common meaning of life of Korean school teachers was revealed in four stages: motivation, growth, settlement, and meaning. The first step motivation to become a Korean school teacher was: as parents, taking their children to a Korean school. Most of them came from education-related professions, and although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at first, they overcame the initial stage with the feelings of parents and the sense of duty of the teachers. In the second stage, they experienced deep growing pains as teachers. Teachers' voluntary competency development efforts and government support helped the professional growth of Korean school teachers. There were many failures, worries, sacrifices and investments, but through this, they continued to develop themselves. The third stage was to develop professionalism as a Korean school teacher. Experience, systematic operation know-how, and help and cooperation among teachers played a big role. The common value of living in an unfamiliar foreign country and wanting to have a Korean identity was found among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The popularity of Hallyu raised the status of Korean schools along with the rise of national prestige, and the quality of education also improved as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school teachers improved. In the fourth stage, the Korean school teacher became everything in life. At first, the job was a part of life and they thought it was a sacrifice, but now it is more rewarding and satisfying, and it has become the meaning of lif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life of a Korean school teacher becaus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Korean school in the United State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lives of Korean school teachers in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이 연구는 면접조사를 통해 동기, 성장, 정착, 의미의 4단계로 미국 한글학교 교사의 공통적인 삶의 의미를 밝혀내었다. Giorgi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단계로 한글학교 교사가 된 동기는 학부모로 한글학교에 자녀를 데리고 갔다가 그것이 계기가 되어 한글학교 교사가 되었다. 대부분 교육 관련 직업 출신으로 처음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부모의 심정과 교사의 사명감으로 초기 단계를 극복하였다. 둘째 단계로 한글학교 교사로서의 성장통을 깊게 겪었다. 교사의 자발적인 역량개발 노력, 정부의 지원 등이 한글학교 교사의 성장을 도왔다. 셋째 단계는 한글학교 교사로서의 전문성이 갖추어졌다. 오랜 한글학교의 역사를 통해 자리 잡은 경험과 체계적인 운영 노하우, 그리고 교사들 간의 도움과 협조 등이 큰 역할을 하였다. 낯선 외국에 살면서 한국계의 정체성을 갖고자 하는 공통적 가치가 교사와 학부모와 학생에게서 발견되었다. 한류의 인기는 국격 상승과 함께 한글학교의 위상을 높였고, 한글학교 교사들의 전문성이 향상되면서 교육의 질도 높아졌다. 넷째 단계는 한글학교 교사가 삶의 전부가 되었다. 처음에는 삶의 일부분이었고, 희생이라고 생각하였지만, 지금은 보람과 만족이 더 커서 삶의 큰 의미가 되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미국의 한글학교라는 제한이 있어 한글학교 교사의 삶을 일반화하기는 힘들다. 향후 전 세계 여러 나라의 한글학교 교사의 삶을 연구해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비판적 사고가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정문성,원순자,이바름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7 시민교육연구 Vol.49 No.4

        The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critical thinking has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718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critical thinking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as a dependent variable. Critical thinking has developed into three dimensions: factual dimension, logical dimension, and ideal dimension developed by Han(2000). Among the indicators of cultural diversity developed by the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2015), the recognition area of multiculturalism was modified to match the level and rea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l five Likert scale was us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ritical thinking level of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normal as 3.13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lthough the female students were somewhat higher than the male students.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3.37, which was normal. Female students were 3.46 and higher than male students 3.28, show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shown that critical thinking explained the varianc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by 32.0%.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that improve multicultural acceptance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in finding bias (β = .355) on the factual level, followed by clarification of logical dimension (β = .195) And finding the right evidence (β = .138). It has been found that critical thinking, an important goal of social studies, has a positive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use of critical thinking will be effective when dealing with multicultural contents in social studies. 본 연구는 사회과 비판적 사고가 초등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인천, 경기 지역 5학년 초등학생 7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비판적 사고를 독립변수로 다문화수용성을 종속변수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비판적 사고는 한면희(2000)가 개발한 사실 차원, 논리 차원, 관념 차원의 세 영역으로 문항을 개발하였고, 다문화수용성은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5)이 개발한 문화다양성 지표 중에서 인식 영역을 초등학생의 수준과 현실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변수는 모두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초등학교 5학년의 비판적 사고수준은 3.13으로 보통이었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다소 높게 나왔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다문화수용성은 3.37로 보통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3.46으로 남학생의 3.28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비판적 사고는 다문화수용성의 변량을 32.0%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수용성을 향상시키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보면 사실 차원에서 편견 찾기(β=.355)가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이 논리 차원의 명료화하기(β=.195)와 타당한 근거 찾기(β=.138)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과의 중요한 목표인 비판적 사고가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이 밝혀졌으므로 사회과에서 다문화내용을 다룰 때 비판적 사고를 충분히 활용하면 수업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연구

        정문성 한국열린교육학회 2022 열린교육연구 Vol.30 No.3

        This study examines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oughts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importance, difficulty of classes, and suitability of social studies subject competency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s, the responses of 178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who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very positive attitude toward social studies competency. They answered that they fully understand, consider it important, and are suitable for teaching social studies. However,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in putting it into practice, but not enough to be concerned about. Such a positive response is because the subject competency differed in expression only, but it was traditionally emphasized in social studies education. However, how to incorporate the competencies required by the new era, such as creative thinking and information utilization, into the contents and skill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emerged as challenges. Second, although they generally responded positively to social studies subject competency, there were also differences by several variables. In the understanding and importance of creative thinking, male teachers showed higher positive responses than female teachers. Conversely, female teachers showed a higher positive response than male teachers i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a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critical thinking abilities and the overall difficulty of classes, those from social studies majo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those from non-social studies majors. This seems to be because critical thinking is an ability emphasized only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which is not found in other subjects.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utilization, teachers from non-social studies majo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from social studies majors. This seems to be because teacher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inks it is relatively less important compared to the other subject competencies that have been traditionally emphasized. Further, competenc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which have been traditionally emphasized in the survey on social studies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further emphasized and elaborated, but efforts required by the new era should be melt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studies to be reborn as social studies competency. And it is judged that these efforts should be made together with additional theoretical discussions and consideration of teachers' perceptions. 이 연구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해 초등교사의 이해도, 중요도, 수업 곤란도, 적합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 지역 초등교사 178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였고 초등교사 5명의 FGI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사회과 교과 역량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충분히 이해하고 있으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고, 사회과에 적합하다고 응답하였다. 다만 수업으로 실천하기에 어려움이 다소 있으나 크게 우려할 만큼은 아니었다. 이러한 긍정적 반응은 교과 역량이 표현만 달리 했을 뿐 전통적으로 사회과에서 강조하던 능력들이기 때문이다. 다만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 예컨대 창의적 사고력이나 정보 활용 능력 등을 어떻게 사회과교육의 내용과 기능으로 녹여낼 것인지가 과제로 부각되었다. 둘째, 창의적 사고력의 이해와 중요성에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더 높은 긍정 응답을 보였다. 반대로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의 적합도와 정보 활용 능력의 중요도에서는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더 높은 긍정 응답을 보였다. 비판적 사고력의 중요도와 수업의 곤란도에서는 사회과전공 출신이 비사회과전공 출신보다 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반면에 정보 활용 능력의 중요도는 비사회과전공 출신이 사회과전공 출신보다 더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이론적 논의와 함께 교사의 인식을 고려하면서 사회과 특성에 기초한 역량들은 더욱 강조하고 정교화하되, 시대가 요구하는 새로운 능력들을 사회과의 특성에 녹여서 사회과의 교과 역량으로 재탄생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컨볼루션 신경망을 기반으로 한 한글 음악 리뷰 감정 분류 모델 설계 및 분석

        정문성,손방용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4

        Recently, several researches have shown that sentiment analysis of text data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shows efficient performance. In this study, we design a model based o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that classifies the sentiment of music reviews written in Korean and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model. Generally, a reviews composed of letters should be converted to vectors for use in a neural network based model. In this study, we converted letters to vectors using a lookup table. 80% of the reviews were used as learning data and 20% as evaluation data. The model is designed to have one convolution layer and two fully connected layers. The results showed that classification accuracy was the highest when Leaky ReLU was used, and training speed was the fastest and learning was stable when SELU was used. In addition, as the learning progressed, the accuracy converged to a high level irrespective of the type of activation function, and these experimental results can contribute to the sentiment classification of text data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최근 텍스트 데이터의 감정 분류에 컨볼루션 신경망을 적용한 결과 효율적인 성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여러 연구에서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로 작성된 음악 리뷰의 감정을 분류하는 컨볼루션 신경망 기반의 모델을 설계하고, 설계한 모델의 성능을 분석한다. 일반적으로 문자로 이루어진 음악 리뷰는 신경망 기반의 모델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벡터로 변환되어야 하는데, 본 연구에서는 룩업 테이블을 사용하여 문자를 벡터로 변환하였고, 전체 음악 리뷰의 80%는 학습 데이터, 20%는 평가 데이터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감정 분류 모델은 한 개의 컨볼루션 층과 두 개의 완전 연결 층을 갖도록 설계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사용하여 네 가지 활성화 함수와 함께 음악 리뷰의 감정 분류를 수행한 결과, Leaky ReLU 함수를 사용하였을 때 분류 정확도가 가장 높았으며, SELU 함수를 사용하였을 때 학습 속도가 가장 빠르고 학습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모습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습이 거듭될수록 감정 분류 정확도는 활성화 함수의 종류에 상관없이 높은 수준의 정확도로 수렴함을 보였고, 이러한 실험 결과들은 컨볼루션 신경망을 사용하여 텍스트 데이터의 감정을 분류하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