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파, 로즈마리, 타임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

        정동옥,박인덕,정해옥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1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7 No.3

        양파김치 제조에 사용된 양파, 로즈마리, 타임엑기스의 기능성은 다음과 같다. 대두유를 이용한 과산화물가의 변화는 배양 2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는데 로즈마리엑기스는 BHA, BHT와 비슷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양파엑기스는 BHA, BHT에 비하여 높았으나 대조구보다는 약간 낮아 항산화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타임엑기스는 거의 항산화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ocyanate방법에 의한 항산화력의 효과는 12일간 4$0^{\circ}C$에서 배양하면서 측정한 결과 BHT, BHA, 로즈마리엑기스, 양파엑기스 순으로 항산화 효과를 보여 주었으나 타임엑기스는 POV값의 변화에서와 마찬가지로 항산화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람 양성균 7종, 그람 음성균 3종, 효모 2종, 곰팡이 2종 등 모두 14균주를 사용해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양파엑기스는 거의 모든 그람 양성균에 항균활성을 보여주나 식중독과 관련된 대장균이나 살모넬라균에는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효모와 곤팡이에 대하여도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로즈마리엑기스도 모든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김치숙성과 관련된 Lac. plantrarum에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E. coli와 Salmonella typhimurium에도 활성을 보여주었다. 타임엑기스는 그람 양성균에만 약한 항균활성을 보여주나 그 외의 균에 대하여는 거의 활성을 나타내주지 않았다. 혈중알콜농도 측정 결과 양파엑기스, 로즈마리엑기스 및 타임엑기스는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 alcohol을 감소시켜 숙취에 어느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항고혈압 실험결과 대조군인 propranolol 투여군은 투여 후 3일째부터 유의성 있는 혈압강하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양파엑기스는 투여후 3일째부터 6일째까지 지속적으로 유의성 있는 혈압강하 작용을 보여 주었으나 로즈마리엑기스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으며 타임엑기스는 오히려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onion, rosemary and thyme extracts which are the ingredients of onion Kimchi. Onion extrac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ioxidative effect based on peroxide value and thiocyanate method. Antioxidative activity of rosemary extract was similar to those of BHA and BHT. but thyme extract did not show any antioxidative effect.. Onion, rosemary, and thyme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 positive bacteria but onion and thyme extracts did not against E. coli, Candida, and molds. Rosemary extract demonstrated a strong activity against L. plantarum which is a major lactobacillus in Kimchi fermentation, and Micrococcus luteus. Onion, rosemary, and thyme extracts showed an effect or hangover relief effect by lowering the alcohol concentration of blood in rat. Blood pressure of the male spontaneous hypertensive rat was suppressed by onion extract after 3 days of feeding, but rosemary and thyme extracts were not effective for lowering blood pressure.

      • KCI등재

        양파음료의 제조 및 기능성 식품화에 관한 연구

        정동옥,박양균 한국조리과학회 1999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5 No.2

        양파는 항균작용, 혈액응고 억제작용,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 고혈압 및 당뇨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한 향신료의 하나로써 전남 남해안 지역에서 특산물로서 생산되며, 작황 상황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농산물이다. 이러한 양파의 소비를 촉진하고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양파를 물로 추출하여 제조한 양파 추출물을 주원료로 하고 고과당, 벌꿀, cyclodextrin 및 구연산 등을 첨가하여 양파음료를 제조하였다. 제품의 저장, 유통기간 중의 발생될 수 있는 침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품질 안정제로써 cyclodextrin액을 300㎎, 500㎎ 및 1g을 첨가하여 실온 및 40℃에서의 경시변화를 관찰한 결과 1g을 사용하였을 때가 양파음료 제품의 침전 방지 효과가 가장 좋았으며 양파의 부드러운 맛도 유지할 수 있었다. 건강식품으로써의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양파음료에 사용되는 양파 및 마늘을 양파 농축물과 마늘 농축물로 각각 제조하여 in vitro에서 POV 값의 변화와 Thicocyanate 방법에 의한 항산화효과를 BHA와 BHT를 이용하여 비교 실험한 결과 POV 값의 변화는 70℃에서 7일간 관찰한 결과 control로 이용한 대두유가 561 meq/kg을 나타낸데 비하여 양파 농축액은 403 meq/㎏, 마늘 농축물은 391 meq/㎏, BHA는 354 meq/㎏, BHT는 349 meq/㎏와 같이 양파와 마늘 농축물은 BHA와 BHT에 비하여 값의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ocyanate 방법에 의한 항산화력의 효과는 40℃에서 12일간 배양하면서 측정한 결과 BHT, BHA, 마늘 농축물, 양파 농축물 순으로 항산화 효과를 보여 주었다. in vivo상에서 흰쥐를 이용한 항피로효과 실험을 위하여 양파 농축물과 마늘 농축물을 각각 사료 500g당 양파, 마늘의 양으로 10g, 5g, 2.5g을 첨가하여 실험에 사용하였고, 양파음료는 음료 그대로를 음용수 대신에 사용하여 흰쥐의 유영시간을 실험한 결과 사료 500g당 양파는 2.5g 첨가시 13%의 감소를 보여 주었으나 5g 첨가시는 대조군과 거의 같은 유영시간을 나타내었고 10g 첨가시는 57%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마늘에 있어서도 이와 유사한 실험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2.5g 첨가시 26%의 감소를 5g 첨가시는 12%의 증가를 보여주었고, 10g 첨가시는 59%의 증가를 보여 주었다. 특히 양파음료는 가장 높은 효과인 72%의 증가를 보여 주었는데 이는 양파의 효능과 더불어 감미제로 사용된 당류의 영향이 아닌가 사료된다. A beverage was manufactured with onion extract for which onions were boiled with water and filtered. The concentration of cyclodextrin was studied to improve its quality in manufacturing the onion beverage and its antioxidative and antifatigue effect was investigated in vitro or in vivo. One percent of cyclodextrin was optimum concentration to prevent precipitation and to remove pungent taste and keep mild taste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and 40℃. Water extract of onion, used to manufacture onion beverag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ioxidative effect based on peroxide value and thiocyanate method. For the study of antifatigue, swimming performance of mice which fed with onion beverage and water extracts of onion and garlic for 2 weeks was investigated. The mice fed with onion beverage swam longer than those fed with water extract of onion and garlic.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파래 분말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정동옥(Dong-Ok Ch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5

        파래 분말을 첨가하여 기능성 두부를 제조하고 품질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두부의 수율은 0.1, 0.2, 0.3% 첨가 두부의 경우 각각 199.65, 198.13, 198.11로 약간 감소하였고 0.4% 첨가 두부는 195.55로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파래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두부의 pH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산도는 대조군 두부의 경우 2.62보다 파래 분말 0.4% 첨가 두부의 경우 3.28로 pH와 역으로 나타났으며 집단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명도(L value)는 대조군 두부가 71.22, 파래 분말 첨가량이 0.1, 0.2, 0.3, 0.4%의 경우 각각 65.08, 60.51, 58.25, 53.64로 유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파래가 가지고 있는 녹색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두부의 적색도(a value)는 파래 분말 첨가 수준이 증가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황색도(b value)값에 있어서는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파래 분말 첨가 두부의 경도와 씹힙성, 깨짐성은 파래 분말을 첨가한 두부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의 증가에 따른 씹힘성의 동일한 결과는 단단한 정도가 클수록 씹는 힘이 커지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응집성은 대조군 두부의 경우보다 파래 분말 첨가 두부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감은 파래 분말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높게 나타나 기계적 특성에서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색에 대한 기호도는 파래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진하다고 평가하였다.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군, 0.2% 첨가 두부의 순으로 높은 값을 보여 대조군에 대한 기호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여러 가지 기능성이 함유된 파래 분말을 이용하여 두부 제조 시 첨가량은 0.2% 정도가 두부의 품질 특성의 향상과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기호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soybean curd)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Enteromorpha intenstinalis powder (EIP). The moisture, crude ash,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of the EIP were 6.04%, 24.09%, 39.68%, 28.25%, and 1.94%, respectively. The yield rate of the tofu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level of added EIP,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H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acidity. The L and a values of the tofu color were decreased as the amount of EIP in the formulation increased, whereas the b values was increased. Furthermore, hardness and brittlenes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level of EIP increased.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the preferred tofu samples were the control and that of tofu mixed with 0.2% EIP addition group.

      • SCOPUSKCI등재
      • SCIEKCI등재

        고구마 주정폐액을 자화하는 효모에 의한 SCP 생산

        정지흔,정동옥 한국농화학회 1987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0 No.3

        The waste gained from alcohol production with sweet potato was considered as a potential substrate for the production of single cell protein (SCP). The high content in organic materials, simplicity to filtrate and a suitable pH for the growth of yeasts were indicated as a good substrate. A yeast utilizing this substrate was isolated from the compost ground and identified as Candida boidinii. The strain was the highest in assimilation of this alcoholic waste and the yield was maximized at pH 5.0, 30℃ after 72 hrs incubation. The dry cell weight and crude protein content at optimal conditions were 1.02g/100㎖ and 54.5%, respectively. The growth of the yeast was stimulated with the addition of 0.2% urea, 0.1% K₂HPO₄, and 0.02% MgSO₄-7H₂O.

      • KCI등재

        허브를 첨가한 빵의 물성학적 및 관능적 특성 연구

        박인덕,정동옥 한국조리과학회 200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9 No.5

        The physi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breads, prepared with wheat flour substituted with various herbs, were evaluated. The specific gravities and maximum heights of the breads increased when the wheat flour was supplemented with 1% rosemary, lemon balm or lavender, and with 3% rosemary, but not with 3% lemon balm or lavender. The fermentation and cooling losses of the breads with added herbs were smaller than those of the contro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king loss. The lightness of the breads decreased with increases in the herb contents. In the texture measurements for the breads, the hardness decreased slightly on the addition of 1% of the herb powders, but increased on the addition of 3% of the herb powders. As for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overall acceptances of the breads with 3% added herb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nd 1% added herb breads. The addition of herbs to the breads inhibited the growth on fungi, and the more herbs sobstituted, the higher the degrees of this inhibition. The moisture contents were slightly increased, and the staling rates during storage at 25℃ decreased, in breads with added herb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helf-lives of the breads were extended by the addition of herbs.

      • KCI등재

        양파 , 로즈마리 , 타임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

        정해옥,정동옥,박인덕 한국조리과학회 2001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17 No.3

        양파김치 제조에 사용된 양파, 로즈마리, 타임엑기스의 기능성은 다음과 같다. 대두유를 이용한 과산화물가의 변화는 배양 2일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였는데 로즈마리엑기스는 BHA, BHT와 비슷한 항산화효과를 나타냈으며, 양파엑기스는 BHA, BHT에 비하여 높았으나 대조구보다는 약간 낮아 항산화효과가 있음을 나타내었고 타임엑기스는 거의 항산화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ocyanate 방법에 의한 항산화력의 효과는 12일간 40℃에서 배양하면서 측정한 결과 BHT, BHA, 로즈마리엑기스, 양파엑기스 순으로 항산화 효과를 보여 주었으나 타임엑기스는 POV값의 변화에서와 마찬가지로 항산화효과가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람 양성균 7종, 그람 음성균 3종, 효모 2종, 곰팡이 2종 등 모두 14균주를 사용해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양파엑기스는 거의 모든 그람 양성균에 항균활성을 보여주나 식중독과 관련된 대장균이나 살모넬라균에는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효모와 곰팡이에 대하여도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로즈마리엑기스도 모든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김치숙성과 관련된 Lac. plantrarum에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고 E. coli와 Salmonella typhimurium에도 활성을 보여주었다. 타임엑기스는 그람 양성균에만 약한 항균활성을 보여주나 그 외의 균에 대하여는 거의 활성을 나타내주지 않았다. 혈중알클농도 측정 결과 양파엑기스, 로즈마리엑기스 및 타임엑기스는 농도 의존적으로 혈중 alcohol을 감소시켜 숙취에 어느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항고혈압 실험결과 대조군인 propranolol 투여군은 투여 후 3일째부터 유의성 있는 혈압강하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양파엑기스는 투여후 3일째부터 6일째까지 지속적으로 유의성 있는 혈압강하 작용을 보여 주었으나 로즈마리엑기스는 아무런 영향이 없었으며 타임엑기스는 오히려 상승하는 경향이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onion, rosemary and thyme extracts which are the ingredients of onion Kimchi. Onion extrac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ioxidative effect based on peroxide value and thiocyanate method. Antioxidative activity of rosemary extract was similar to those of BHA and BHT, but thyme extract did not show any antioxidative effect.. Onion, rosemary, and thyme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gram positive bacteria but onion and thyme extracts did not against E. coli, Candida, and molds. Rosemary extract demonstrated a strong activity against L plantarum which is a major lactobacillus in Kimchi fermentation, and Micrococcus luteus. Onion, rosemary, and thyme extracts showed an effect of hangover relief effect by lowering the alcohol concentration of blood in rat. Blood pressure of the male spontaneous hypertensive rat was suppressed by onion extract after 3 days of feeding, but rosemary and thyme extracts were not effective for lowering blood pres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