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신학과 일반 학문 : 경계와 경계의 허물어짐

        정동곤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9 조직신학연구 Vol.31 No.-

        Theology as the center of science played an integrative role in the Middle Ages. It took an interactive as well as integrative perspective to prove God exists beyond the clear division between theology and general studies. It was, then, not until the 18th century that on the scene came the ideas of the Enlightenment (Aufklaerung), which emphasized human rationality (Vernunft). From that time on, the rationality-based general studies came to be separated from the belief-based theology.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however, has been in the spotlight so far, starting from the late 20th century. Looking back to the trace of history gone by, theology and general studies sometimes took an integrative but ambiguous role respectively like a pendulum moving left and right inside the clock, whereas sometimes the boundaries between each area have been clearly distinguished. In other words, theology and general studies have been developed by giving and taking interactively throughout the relatively long course of history. So there seems to be a difficulty in easily cutting the boundary between these two areas. There is clearly a differentiated aspect between theology and general studies. When seen comprehensively, a demarcation between them disappears and an integrative perspective to see them is also needed. That is why and how these two areas should go together by striking a balance. Eliminating the boundary of theology and general studies can be a common task not only in theology but also in general studies. The task of theology goes beyond that of general studies. Likewise, the task of general studies returns to that of theology. So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insist that there can be co-existence of the disappearance of each boundary between theology and general studies. Furthermore, this study tries to deal with the whole from a part, and vice versa, emphasizing entirety. 중세 유럽의 학문의 시작은 통합적 학문으로써 신학을 중심으로 그 시작점을 찾을 수 있다. 신학과 일반학문의 구분을 뚜렷이 하기보다 통합적 신 존재 증명을 위한 학문으로 상호 보완적이고 통합적 학문으로서 기능을 담당했다. 그러다가 18C에 이성(Vernunft)을 강조한 계몽주의(Aufklǟrung)가 등장했고 이성을 토대로 한 일반학문이 신앙(Glaube)을 토대로 한 신학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그러나 20C 후반부터 21C에 들어서면서 학제간 연구가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지나간 역사 속에서 신학과 학문은 커다란 괘종시계의 시계추가 좌우로 왔다 갔다 하는 것처럼 때로는 통합적으로 구분 없이 생각을 했던 반면에 때로는 그 경계를 분명히 하여 각자의 길을 걸어갔던 시기가 있었다. 이처럼 신학과 일반학문은 서로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발전해왔기에 그 경계만을 너무 과도하게 주장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신학과 일반학문의 다른 점이 분명히 있다. 하지만 보다 거시적으로 볼 때 신학과 일반학문의 경계가 사라지고 통합적으로 봐야할 점도 분명히 있는 것이다. 이것을 어떻게 균형 있고 동시적으로 살펴나가는 것이 신학과 일반학문 모두의 관건이다. 경계와 경계의 사라짐은 같은 신학영역 안에서 그리고 일반학문의 영역 안에서 즉, 각각의 영역 자체에서 생기는 문제이기도 하다. 신학의 문제는 신학의 문제로만 남는 것이 아니고 일반학문의 문제로 확대되고 이것과 반대로 일반학문의 문제는 신학의 문제로 다시 되돌아온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신학과 일반학문의 경계와 경계의 사라짐이 함께 공존함을 주장한다. 그리고 전체성을 강조하면서 부분과 전체의 문제를 같이 고찰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칼빈신학과 과학철학의 연관성

        정동곤 한국기독교철학회 2023 기독교철학 Vol.36 No.-

        There is lots of diversity in the world in which we live. While the attributes of God are simplicity and unity, the attributes of the created world will be by far a changeable diversity. We have the various fields of study in the world. The respective branch of study has its own particular feature. The triune God, however, has left his mark(stigma Dei) on creation. Thus, human beings can live in diversity and know the unity of God as his attribute by means of revelation, a theological term, or by means of research and inquiry, a scientific term. Or it can be known through discovery, which is a term that can include these two areas. This paper deals with the contents of the convergent discipline that appears in the theology of Calvin, the Reformer of the 16th century, and suggests that theology and science should not only cling to different path but also need dialogue. There are many philosophical elements in theology. Likewise, there are many philosophical elements in science. And since science is a discipline that started from philosophy at the beginning, it will return to philosophy at any time. And science, recently, has begun to wonder about questions beyond the limit. In science, How Questions are so much important. Recently, the importance of Why Questions, however, have begun to be raised in the field of theology and philosophy. This is a typical area of existing theology, and it is always an important issue how the providence of God is revealed both in nature and in history, which means the world created by the triune God. Theology and science now recognize the mutual needs. This integrated work has already begun in Europe, but it is still relatively unfamiliar in Korea. In some ways, the West may be natural because the soil of discipline is based on Christianity, but the Korean situation is somewhat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larify and inform that there is a similarity and connection between theology and philosophy of science by examining Calvin's theology.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참으로 다양하다. 신의 속성이 단순성과 통일성이라면, 단연 피조세계의 속성은 변화무쌍한 다양성일 것이다. 이 세상은 다양한 학문들이 있다. 저마다 각자의 독특한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삼위일체 하나님은 창조세계에 자신의 흔적(stigma Dei)를 남겨 두었다. 그래서 인간은 다양성 속에서 살아가면서 신의 속성인 통일성을 신학에서는 계시로 알 수 있다면, 과학에서는 연구와 탐구로 알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이 두 학문을 포괄할 수 있는 용어인 발견(discovery)되어지는 것을 통하여 알 수도 있다. 16C 종교개혁자인 칼빈의 신학 속에서 나타나는 융합적 학문의 내용을 살펴보고, 나아가서 신학과 과학이 서로 다른 길만을 고집할 것이 아니라 대화가 필요함을 제안한다. 신학에서는 철학적 요소가 많이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과학에서도 철학적 요소가 많이 있다. 과학은 그 시작이 철학에서부터 출발한 학문이기에 언제든지 다시 철학으로 돌아갈 것이다. 그리고 최근에 들어서서 과학은 그 한계를 넘어서는 질문에 궁금증을 갖기 시작했다. 과학은 How question이 중요한 학문이다. 그러나 과학은 최근에 신학과 철학의 영역인 Why question을 묻기 시작했다. 이는 전형적인 신학과 과학의 영역에 속하는 질문이다. 신학 역시도 삼위일체 하나님이 창조한 자연(nature)과 역사(history) 속에서 하나님의 섭리가 어떻게 드러나는지는 항상 중요한 문제이다. 신학과 과학은 이제 서로의 필요를 인식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이미 이러한 통합적 작업이 시작되었지만, 한국에서는 아직도 비교적 생소한 분야이다. 어찌 보면 서양은 학문의 토대가 기독교이기에 당연한 일이지 모르나, 한국적 상항은 좀 다르다고 볼 수 있겠다. 칼빈의 신학을 살펴봄으로써 신학과 과학철학간의 유사성과 연관성이 있음을 알리는데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환경신학 : 생태위기에 대한 신학적 해석과 처방

        정동곤 한국실천신학회 2023 신학과 실천 Vol.- No.86

        해마다 태풍과 폭우로 인한 인명과 재산피해가 있다. 그리고 올해 역시 유독 더 길어진 장마와 폭염으로 많은 사상자가 나왔다. 이는 비단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세계가 겪고 있는 현상이다.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는 점점 더 그 위상이 가중될 전 망이다. 그래서 신학도 이 자연환경 문제에 관하여 그 책임성을 기지고 담론을 시작 해야 한다. 성경에 따르면, 자연은 하나님이 창조한 피조물이다. 거기에는 인간도 들 어간다. 그리고 인간은 하나님으로부터 자연을 잘 돌보라는 창조의 사명을 받았다. 그 래서 자연환경에 대한 인간의 책임은 중요한 것이다. 그리스도가 하나님과 인간의 중 보자라면, 인간은 삼위일체 하나님과 자연의 매개자일 것이다. 하나님은 인간을 재료 적인 측면에서는 흙( )을 사용해서 만들었다. 그래서 그 이름이 아담( )이 되 었다. 아담이란 이름 속에 자신이 어디서부터 유래한 것인지를 그 기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하나님은 인간을 하나님의 형상(imago Dei)으로 만들었다. 그해서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 되었고, 전 우주에서 가장 찬란하게 빛나는 별들 보다도 더 빛나는 존재인 것이다. 나는 누구이고, 어디서 왔으며, 어디로 가는가?란 질문은 가장 오래된 철학적 질문 일 것이다. 그 질문에 대한 답은 쉬운 문제는 아지지만 나는 자연이라고 답하겠다. 인 간은 자연에서 나왔고, 자연에서 생활하다가 자연으로 돌아간다. 그래서 자연은 인간 에게 있어서 중요한 존재적 근원이 된다. 인간은 자연과 친숙해야 하며, 자연을 보호 하고 보존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 그리고 여기에 덧붙여서 성경에 따르면, 모든 존재 의 기원이 자연을 초월하여 하나님에게 까지 거슬러 올라감을 알 수 있다. “이는 만 물이 주에게서 나오고 주로 말미암고 주에세로 돌아감이라 그에게 영광이 세세에 있 을지어다 아멘” (롬 11:36). 웨스터민스터 신앙고백 1장 1항에 보면, 사람의 창조 목적 은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그를 영원토록 즐거워하는 것이다. 자연을 사랑하고 보호 하고 보존하는 것이 인생의 존재목적에도 부합하며, 하나님의 창조적 명령을 준수하 면서, 하나님께 영광(soli Deo gloria)을 돌리는 것이다. There are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caused by typhoons and heavy rains every year. This year, there were also many casualties due to the longer rainy season and the heat wave, which is not only a problem in Korea but also in the whole world. The damage caused by natural disasters is expected to increase its status. Therefore, theology should begin the discourse with the responsibility of this natural environment problem. According to the Bible, nature is a creature created by God, and man is also included in it. Man was given the mission of creation to take good care of nature from God. Thus, human responsibility for the natural environment is important. If Christ were an intercessor between God and man, man would be the intercessor of the Triune God and nature. God made man out of clay ( ) in material terms, hence the name Adam( ). In the name of Adam, it contains the origin of where he came from, and God made man into the image of God(imago Dei). That is why man has become the lord of all things, and is more brilliant than the most brilliant stars in the entire universe. The question, Who am I, where do I come from, and where do I go? is perhaps the oldest philosophical question. The answer to that question is not an easy one, but I will answer, Nature. Man comes from nature, lives in nature, and returns to nature. Therefore, nature is an important source of existence for humans. Human beings must be familiar with nature, which is a good reason to protect and preserve nature. In addition to this, according to the Bible, the origin of all beings can be traced back to God beyond nature. “For from him and through him and for him are all things. To him be the glory forever! Amen.”(Romans 11:36) Furthermore, in section 1, chapter 1 of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the purpose of Man's creation is to glorify God and to rejoice in him forever. To love, protect, and preserve nature is to meet the purpose of life, to obey God's creative commands, and to give glory to God(soli Deo gloryia).

      • 반도체 & Display 산업에 적용된 설비관리 사례 연구

        정동곤 대한산업공학회 2009 ie 매거진 Vol.16 No.1

        첨단 고가 장비로 구성된 반도체, FPD(Flat Pannel Display : LCD/AMOLED/PDP 등) 산업에서 설비관리의 중요성이 비중 있게 대두됨에 따라 보전업무(정비/수리/유지보수)를 표준화하거나 시스템을 구축하여 설비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노력이 이루어 지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반도체/FPD 산업의 자동화 라인에 구축되어 운영중인 설비관리의 기능 중에서, MES와 연동되어 물류 설비의 interlock 기능을 수행하고 설비관점의 보다 정확한 MTBF, MTTR 등의 지표를 산출하는 시스템의 현장 적용사례를 살펴본다.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회론: 확장된 교회로서 메타버스 교회(Metaverse Church)

        정동곤 한국기독교철학회 2024 기독교철학 Vol.39 No.-

        교회는 지리와 위치상 항상 세상 속에 자리하고 있었고, 의미상으론 세상을 항상 사랑으로 품어왔다. 그것은 교회가 보편성과 우주성의 속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로마 가톨릭 구원관과 교회관에 반대하여 일어난 종교개혁은 특히 교회관에 있어서 많은 부분을 달리하였다. 종교개혁 이후에 개혁파는 개혁 교회는 항상 개혁되어야 한다(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라는 주장을 해왔다. 이런 개혁적 또는 변화적 요구는 내용과 형식에 있어서 모두에 해당한다. 이러한 개혁주의의 주장은 이 시대뿐만 아니라 앞으로도 계속 유효하다. 제4차 산업이 시작된 이후에 AI(artificial intelligence) 기술은 광속으로 발전하고 있다. 교회도 과학기술 시대에 중심을 잘 잡고 발맞춰 나가야 한다. 현재 지상에는 다양한 교회가 존재한다. 그리고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가상 세계가 만들어졌고, 가상 교회인 메타버스 교회도 등장하고 있다. 지상 교회가 천상 교회와 연결되어 있듯이, 앞으로는 현존하는 교회들은 가상의 교회인 메타버스 교회와 연결될 것이다. 그래서 기술이 발전하면 할수록 현실과 가상의 경계가 점점 허물어질 것이다. 이미 인터넷 교회와 메타버스 교회가 생겨났다. 철학에서는 이미 과거에 플라톤이 이데아(Idea)를 설명하면서 생각 속에서 존재하는 가상의 세상을 현실 세계로 불러왔으며, 신학에서는 구약의 보이지 않는 하나님(Deus invisibilis)이었으나, 신약에 말씀이 육신이 되는 성육신(incarnation) 사건으로 예수 그리스도는 보이는 하나님(Deus visibilis)이 되었다. 교회론에 있어서 루터와 칼빈은 보이는 교회와 보이지 않는 교회로 가톨릭 교회관과 구별된 설명을 하였다. 이런 철학적이고 신학적인 논의들이 있어왔다면, 앞으로는 과학기술적인 논의가 여기다 덧붙여 설명이 되어야 한다. 눈이 나쁜 사람이 안경의 도움으로 사물을 보듯이, 앞으로 미래의 교회는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ty), XR(eXtended Realty)이라는 기계적 안경을 눈에 착용하고 사물을 볼 것이다. 이런 AI와 ChatGPT 시대에 교회도 신학적인 담론을 준비해야 한다. The church has always been in the world in terms of geography and location, and it semantically has always embraced the world with love. The Reformation, which took place against the view of salvation the Roman Catholic Church had, differed in many aspect, especially in the aspect of Church. It is because the church has the attributes of catholicity and universality. After the Reformation, the Reformed Church has argued that it must be reformed continually(ecclesia reformata semper reformanda). These reformative and transformative demands mean both content and form. The claim of the Reformed Church is valid not only in this age but also in the future. Since the start of the fourth industry,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has been developing at the speed of light. The church should also keep its balance in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We have many churches on earth today. Furthermore, a virtual world has been created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a virtual church, Metaverse Church, is also emerging. Just as the earthly church is connected to the heavenly church, the existing churches will be connected to the virtual church, the Metaverse church in the future. So the more technology develops, the more the boundaries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will be broken down. The Internet Church and the Metaverse Church have already sprung up. In philosophy, while explaining Idea in the past, Plato has already called the imaginary world that exists in thought into the real world and in theology it was the invisible God of the Old Testament(Deus invisibilis), but in the New Testament Jesus Christ became the visible God (Deus visibilis) by the incarnation event. Luther and Calvin distinguished the visible church and the invisible church in ecclesiolog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Roman Catholic. If there have been such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discussions,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iscussions should be added to them in the future. Just as a person with bad eyes sees things with the help of glasses, future churches will wear mechanical glasses called AR(augmented reality), VR(Virtual Reality), and XR(eXtended Reality) in their eyes and see things. In this age of AI and ChatGPT, the church must also prepare a theological discourse.

      • 인레이, 온레이, 3/4금관 및 전부주조관 수복 후 하중을 가할 시 치아내부에 발생하는 응력의 광탄성학적 비교분석

        정동곤,조광헌 慶北大學校 齒科大學 1990 慶北齒大論文集 Vol.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ess patterns and magnitudes in the internal part of a tooth according to the types of restoration when treated with a M. O. D. cavity preparation. In cases of the lower left 2nd premolar, four two-dimensional photoelastic models with M.O.D. onlay, 3/4crown and full veneer crown were prepared and the restorations were cemented. A vertical load of 30lbs was applied to each model on a two-point contact near the central fossa and a one-point contact on the buccal incline of the buccal cusp. Two dimmensional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was used, and the stress areas were recorded photoelasticall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case of the inlay model, the internal stress distributions were the highest especially on the linguopupal line angle. Thus the possibility of fracture on the lingual cusp is the highest among the four models. 2. Comparing the onlay and 3/4 crown, both showed similar stress patterns. However, maximum compressive stress on the linguopulpal line angle and lingual pulpal horn went in the same direction on onlay: therefore, the 3/4 crown was considered better. 3. One the full veneer crown stress distribution showed evenly. It showed the best stress distribu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칼빈 신학과 학제간 통찰 신학

        정동곤 ( Dong Gon Jung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7 조직신학연구 Vol.26 No.-

        우리는 어디서 왔는가?(D`ou venons-nous?) 우리는 누구인가?(Qui sommes nous?)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Ou allons-nous?). 이런 질문은 이 땅의 유한한 인생을 살고 있는 우리 인간들로 하여금 궁극적으로 본질이란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하며, 가치중립적인 과학을 넘어서 인간으로 하여금 이생에서 내세 즉, 종교적 세계에 대해서 근본적인 의문을 가지도록 유도한다. 이상의 질문에 대한 답을 우선 우리의 이성에서 찾지 않고, 먼저 하나님의 계시에서 찾는 것이 신학이라 할 수 있겠다. 그러나 신학의 분야인 창조와 자연이라는 주제는 신학뿐만 아니라 자연과학을 비롯하여 많은 학문적 연대를 요구하고 있다. 신학을 연구함에 있어서 신학자들이 신앙과 특별계시인 성경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른 학문은 필요가 없다고 주장할 수는 없다. 우리에게 특별계시인 성경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더욱 일반계시의 영역인 자 연과 일반 학문을 연구하고 고찰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편협한 신학은 일 반계시를 인정하지 못하고 특별계시인 성경만 인정한다. 성경만 가르치 는 것이 진정으로 성경적인가? 우리가 특별계시인 성경만 인정하고 일반 계시를 부정할 때 아이러니(irony, die Ironie)하게도 우리는 성경도 부정 하게 되는 모순을 가지게 된다. 사람들이 일반계시의 필요성을 인정하던 지, 아니면 부정하던지 간에, 우리는 일반 학문들의 제반 영역들, 예를 들 면, 언어, 수학, 과학, 법학 그리고 의학 등을 배워야 한다. 그러므로, 우리 가 신학을 전공한다고 해서 일반학문을 멸시하거나 무시할 수 있는 권한 이 없는 것이다. 이제 신학은 일반계시의 영역인 자연과학을 비롯하여 일반 학문과의 학제간 연구를 적극 수용하고 인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자연과 일반학문 도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신 일반적인 계시이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필자 는 신학과 일반학문의 다리를 놓음으로써 『학제간 통찰의 신학』을 제시한다. Who are We? Where do We come from? Where are We going? This question always makes us think about something essential ultimately in this earthly finite human life, leading just beyond the value-neutral science to the fundamental curiosity of the afterlife in this life as a human, which is, the world of religions. We can call it theology that above all we must look at God`s revelation, without finding out the solution to the above questions from our first reason. The field of creation and the nature as the subject of theology, however, requires a lot of academic solidarity, including the natural sciences as well as theology. Even though theologians have both faith and the Bible as special revelation in their studying work, they cannot deny the necessity of the other studies. We should even much more study and review the nature as the area of the general revelation and the other sciences, because we have the Bible as the special revelation. Narrow-minded theology, however, does not recognize the general revelation, only acknowledging special revelation. Is it really biblical for us to teach only the Bible? When we deny the general revelation and recognize only the special revelation, which is, the Bible, we ironically come to face the contradiction that we deny the Bible. We have to learn about the various areas of these general studies, for example, the language, mathematics, science, law and medicine, and so forth, whether people admit the necessity of the general revelation or not. There is no right to despise or ignore the general discipline to study, even if we study theology. Now theology must recognize and embrace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natural sciences and general studies, which belong to the area of general revelation, because God has already given us nature and all the other sciences as the general revelation. It is why the writer proposes an interdisciplinary theological insight by making bridge between theology and science.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