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테로이드유발녹내장에서 녹내장 수술적 치료의 위험인자

        정도훈,홍경의,박혜영 대한안과학회 2021 대한안과학회지 Vol.62 No.1

        Purpose: To study the risk factors for steroid-induced glaucoma patients requiring glaucoma surgery, despite being fully treated with medications and laser trabeculoplasty. Methods: The charts of 50 eyes diagnosed with steroid-induced glaucoma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5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28 eyes required surgery and 22 eyes were successfully treated with medications and laser trabeculoplasty. The demographic information as well as ocular parameters, presence of ocular/systemic comorbidities, and past history of steroid use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need for glaucoma surgery. Results: For the 7 factors tha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univariate regression analysi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verage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and duration of steroid u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876 and p = 0.068, respectively), whereas age and initial intraocular pressure were only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ome of the analysis models (p = 0.040-0.278, p = 0.016-0.201, respectively). Myopia, vertical cup-to-disc ratio, and systemic comorbiditi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p = 0.019, p = 0.011-0.03, p = 0.022, respectively) with surgical decision by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s: The risk factors for requiring glaucoma surgery in steroid-induced glaucoma patients were young age, myopia, initial optic nerve damage, systemic diseas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rheumatoid arthritis, and atopy), and duration of steroid use. These results may be helpful in predicting the prognosis of patients with steroid-induced glaucoma and in screening for patients who require a more aggressive treatment at the time of disease presentation. 목적: 스테로이드유발녹내장 환자에서 최대 약물 치료나 레이저섬유주성형술 치료에도 안압이 조절되지 않아 녹내장 수술적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에 대한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2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스테로이드유발녹내장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28안, 수술적 치료 없이 최대 약물 치료와 레이저섬유주성형술로 안압이 조절된 22안, 총 50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치료 시작 당시의 인구학적 정보를 비롯하여 안과적 검사 측정치, 안과적 혹은 전신적 동반질환 유무, 스테로이드 사용력을 통해 녹내장 수술적 치료 결정의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단변량 회귀분석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인 7개의 위험인자에 대해 시행한 다변량 회귀분석에서는 평균 망막신경섬유층두께와 스테로이드 치료 기간은 통계적 유의성이 떨어졌으며(p=0.876, p=0.068), 나이와 초기 안압은 다변량 회귀분석 모델에 따라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기도 하였고(p=0.040-0.278, p=0.016-0.201), 근시, 수직 시신경유두함몰비, 전신 동반질환은 녹내장 수술적 치료 결정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p=0.019, p=0.011-0.039, p=0.022). 결론: 스테로이드유발녹내장에서 어린 나이, 근시, 초기 시신경손상 정도, 동반된 전신질환(전신홍반성 루푸스, 류마티스 관절염 등의 결합조직질환과 아토피), 스테로이드 치료 기간이 녹내장 수술적 치료의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이는 스테로이드유발녹내장 환자의 예후 예측과 보다 더 적극적인 치료를 요하는 환자를 선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항공용 가스터빈의 가변정익 구동기 기술동향

        정도훈(Dohoon Jung),강종화(Jonghwa Kang),박지훈(Jihoon Park),김선제(Sun Je Kim),김용하(Yongha Kim) 한국추진공학회 2020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0 No.11

        가스터빈 압축기의 가변정익은 다수의 정익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변정익 링크메커니즘과 이를 동작시키는 가변정익 구동기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용 가스터빈을 위한 가변정익 구동기를 개발하고자 가변정익 구동기 실례를 분석하고, 그 개발에 소요되는 기술의 현황을 기술하였다. Variable guide vanes(VGVs) that consist of link mechanisms and an actuator system are required for an aircraft gas turbine engine to adjust the incidence angle of stator vanes. In this study, an example of a variable stator actuator was analyzed to develop a variable stator actuator for an aviation gas turbine, and the current state of technology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was described.

      • KCI등재후보

        갑상샘눈병증 환자에서 안와감압수술 이후의 임상양상 및 경과

        정도훈(Doh Hoon Chung),박나리(Na Ri Park),김성은(Sung Eun Kim),양석우(Suk Woo Yang) 대한검안학회 2020 Annals of optometry and contact lens Vol.19 No.3

        Purpose: To report clinical findings in post-operative changes of proptosis, patient satisfaction, diplopia, extraocular muscle limitation after orbital wall decompression surgery in thyroid-associated orbitopathy (TAO) patient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63 patients and 111 eyes that underwent orbital wall decompression in a single medical center, between 2005 and 201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Demographic data such as mean age, sex, thyroid disease status, reasons/indications for performing orbital wall decompression were analyzed along with postoperative changes in exophthalmometry, extraocular movement limitation, extraocular muscle thickness, diplopia, and patient satisfaction. Results: Proptosis was reduced by 3.41 ± 1.74 mm at 1-2 months after surgery, and 4.72 ± 2.22 mm at 3 years after surgery, and proptosis reduction tended to improve when more orbital walls were decompressed. After orbital decompression, 29 patients (46%) required strabismus surgery while 26 patients (41%) required eyelid surgery. 35 patients (56%) reported to have no diplopia before and after surgery, while 27 (43%) patients had similar or aggravated diplopia. Patient satisfaction (thyroid eye diseas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categories, 3 years after decompression surgery. Conclusions: Proptosis reduction tended to improve when more orbital walls were decompressed in TAO patients. Patients that received surgery in their active phase, due to optic neuropathy, showed better reduction in proptosis in the long term.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extraocular muscle thickness increased, and lateral extraocular movement limitation aggravated after decompression, which led to sequential strabismus surgery. Eyelid surgeries were also performed after decompression. Although long treatment periods and multiple surgeries make it difficult for ophthalmologists to treat TAO patients, the clinical courses reported in this study may be helpful guideline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 KCI등재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의 유형별 특성 - 서울시 모아타운 1차 선정지역을 중심으로

        권익현,정도훈,유석연 한국도시설계학회 202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4 No.6

        In Small-scale housing improvement management areas, which have been recently introduce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management plan that considers various lo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38 primary selection areas of Moa-Town in Seoul using regional characteristics indicators, to derive characteristics by type, and to draw implicatio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case sites by typ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o classify the types of Moa-Town, 19 regional characteristic indicators in 7 categories, such as land use, streets/lots, topography, building types, infrastructure, social aspects, and economical aspects, were derived. Second, a total of 26 regional characteristic indicators among them showed differences between types. Third, the selected areas for the first phase of Moa-town a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Densely populated areas with a high proportion of young people and a mixture of old-age housing complexes’, ‘Areas adjacent to the station area where the ratio of youth is high and neighborhood facilities are mixed’, and ‘Densely populated areas of old detached houses with a high proportion of older people’. 최근 도입된 소규모주택정비 관리지역에는 기존 정비사업에서 제기되었던 거주자 특성 반영미흡, 사회ㆍ경제적 여건 고려 미흡 등 다양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특성을 고려한관리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모아타운 1차 선정지역 38개소를 대상으로 지역특성 지표를 활용하여 유형화를 진행하고, 유형별 특성을 도출한 후, 유형별 사례대상지를 실증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모아타운 대상지의 유형 구분을 위해 토지이용, 가로 및 필지, 지형, 건축물, 기반시설, 사회, 경제등 7개의 영역에 걸쳐 19개의 지역특성 지표를 도출하였다. 둘째, 도출된 지표 중 평균 공시지가, 노후주택의 용도별 비율, 역세권 면적 비율 등 기반시설 비율, 주거ㆍ직장인구의 연령층별비율 등 총 26개 세부 지역특성 지표에서 유형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서울시 모아타운 1 차 선정지역은 ‘청년층 비율이 높고 노후공동주택이 혼재된 공동주택 밀집지역’, ‘청소년층 비율이 높고 근린생활시설이 혼재된 역세권 인접지역’, ‘노년층 비율이 높은 노후단독주택 밀집지역’ 등 총 3가지의 상이한 특성을 가진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 KCI등재

        녹내장 아메드밸브 수술안에서 전체층각막이식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의 비교

        조연우,양순원,정도훈,김선주,황유숙,주천기,변용수,정소향,김현승 대한안과학회 2022 대한안과학회지 Vol.63 No.3

        목적: 아메드밸브 수술안에서 전체층각막이식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의 임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아메드밸브 삽입 수술을 받은 환자 중 전체층각막이식을 받은 11안,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을 받은 11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수술 후 1·3·6개월의 최대교정시력, 안압, 각막내피 세포 수의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경과 관찰 기간 중거부반응 및 이식 실패를 평가하였다. 두 수술법의 이식편 생존율은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를 통해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층각막이식군(PKP)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군(DSAEK)의 생존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p=0.295), 이식 실패는 PK군에서 수술 후 평균 12.9 ± 10.1개월, DSAEK군에서 평균 18.8 ± 5.3개월에 발생하였다. 최대교정시력은 PK군에서 수술 후 1·3개월째(p=0.027, 0.017), DSAEK군에서는 수술 후 1·3·6개월째(p=0.005, 0.005, 0.005)에 유의한 호전을 보였으며, 두 군 간의 비교 시에는 DSAEK군이 PKP군보다 수술 후 1·3·6개월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시력 호전을 보였다(p=0.023, 0.007, 0.004). 결론: 본 연구에서, 각 수술 방법에 따른 유의한 생존율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DSAE군에서 이식 실패가 더 늦게 나타나는 경향과 보다 우수한 시력 결과를 보였다.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나,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은 아메드밸브 삽입안에서도 전체층각막이식을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수술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본태눈꺼풀연축 환자에서 Letibotulinum Toxin A의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

        김지현(Ji Hyun Kim),정도훈(Doh Hoon Chung),김성은(Sung Eun Kim),백지선(Ji-Sun Paik),김남주(Namju Kim),나태윤(Tae Yoon La),손준혁(Jun Hyuk Son),안희배(Hee Bae Ahn),양재욱(Jae Wook Yang),우경인(Kyung In Woo),유혜린(Helen Lew),윤진숙(Jin S 대한안과학회 2020 대한안과학회지 Vol.61 No.3

        목적: 본태눈꺼풀연축 환자를 대상으로 보툴렉스Ⓡ의 유효성 및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총 15개 기관에서 본태눈꺼풀연축 환자 250명이 본 임상시험에 등록되었으며, 이 중 220명의 대상자가 본 시험을 완료하였다. 대상자는 투여 후 4주와 16주 시점에 방문하여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투여 4주 시점에 일차 유효성 평가가 가능했던 240명이 intention-to-treat (ITT) 분석군에 포함되었다. 유효성 평가는 ITT 분석을 기본으로 하였고, Jankovic Rating Scale(JRS), 기능장애척도, 시험자 반응 평가, 삶의 질 평가를 이용하였으며, 안전성 평가는 이상반응에 대한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ITT군에서 일차 유효성 평가변수인 베이스라인 대비 보툴렉스?? 투여 4주 후 JRS 총점의 평균 변화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p<0.0001), 유사제제와 비교 시에 비열등함을 확인하였다. 이차 유효성 평가변수 중 베이스라인 대비 투여 16주 후 JRS 총점의 평균 변화량과 베이스라인 대비 투여 4주 및 16주 후 기능장애 평가점수 총합의 평균 변화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001 for all). 시험약을 투여받은 249명의 대상자 중 44명(17.6%)에서 76건의 이상반응이 발생하였으나, 심각한 이상반응을 보인 대상자는 없었다. 결론: 보툴렉스?榮? 본태눈꺼풀연축 환자에서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약제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BOTULAXⓇ in subjects with essential blepharospasm. Methods: In this study, a total of 250 subjects with essential blepharospasm were enrolled at 15 investigational sites and a total of 220 subjects completed the study. The efficacy and safety were evaluated at weeks 4 and 16 after treatment compared with baseline. In total, 240 subjects were enrolled, treated with the investigational product, and evaluable for the primary efficacy assessment at week 4 after treatment; thes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intention-to-treat (ITT) population. With the ITT set as the main efficacy set, efficacy assessment included Jankovic rating scale (JRS), functional disability score, investigator evaluation of global response and quality of life. Safety assessment including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was also performed. Results: In terms of the primary efficacy endpoint (i.e., change in JRS total score at week 4 after treatment from baseline [ITT set]), mean change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p < 0.0001) and demonstrated the non-inferiority of the test drug to similar drugs. In terms of the secondary efficacy endpoints, mean change in JRS total score at week 16 after treatment and mean change in functional disability score at weeks 4 and 16 after treatment both exhibi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compared with baseline (p < 0.0001 for all). Among the 249 subjects treated with the investigational product in this study, 44(17.67%) experienced 76 treatment emergent adverse events but no serious adverse events were observed.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results, BOTULAXⓇ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and safe treatment for essential blepharospa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