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의 현장 적용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연구
정덕화,김세훈,임석빈,Jeong, Deokhwa,Kim, Sehoon,Im, Seokbeen 한국건설안전학회 2021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Vol.4 No.1
최근 건설업의 높은 재해율을 저감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스마트 안전관리 기술의 현장 도입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제도적인 개선이 일부 이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개선된 제도의 효용성 파악 및 스마트 안전관리 기술의 현장 적용 확산을 위한 추가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건설업에 종사하는 참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개선된 제도의 인지 및 건설현장에서 스마트 안전 기술을 확산하기 위해 필요한 항목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스마트 건설안전의 현장 적용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안전관리비의 및 현장 안전 서류업무 중복 문제 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의견은 향후 스마트 건설안전 기술의 도입·확산을 위한 제도적 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신제품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에 관한 통합적 연구
정덕화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신제품개발은 시장에서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자 생존과 번영의 조건이며, 사업구조의 다각화 방안으로 전제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기업의 신제품개발 활성화를 높이는데 있어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신제품개발절차, 신제품개발수준 및 부서 간 협력의 선행변수와 공급사의 관계특성을 조절변수로 하여 이들이 신제품성과와의 통합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제조기업 245개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제조기업의 신제품개발 내부활동 요인 중 신제품개발절차, 신제품개발수준이 신제품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서 간 협력은 신제품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조절변수인 공급사의 관계특성에 따라 신제품개발 내부활동이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강조하였던 신제품 개발정책들이 장기적 관점에서 신제품개발절차, 개발수준, 공급사와의 관계특성 강화에 더 적극적인 관심을 두고 설계되고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is a means to maintain a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 a condition for survival and prosperity, and is also a premise for diversification of business structure. In order to enhance the activation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it i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e level of new product development, the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the supplier’s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245 manufacturers, we found that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nd the level of new product developmen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new product performance. Second,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does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Third, it was prov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ffect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ternal activities on new produc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of supplier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new products by manufacturers, new product development policies need to be redesigned and approached to support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dures, development leve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with partner companies in the long term.
모바일 소셜네트워크게임(SNG)의 지각된 사회적영향 및 자기결정성이 사용자 만족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덕화,정철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2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erceived social influence and self-determination affecting user’s post-acceptance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in mobile social network game(SNG). To this end, we propose a research model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reviews. We employed a field survey of mobile SNG users and conducted an empirical method utilizing evidence from 241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ubjective norm and visibi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user satisfaction, however, image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user satisfaction. Secondly, relatedness and autonomy had a positive influence upon user satisfaction, however, self-efficacy did not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user satisfaction. Lastly, us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relationship to continuance intention. Based on these results, manageri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further research issues are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소셜네트워크게임(SNG) 사용자의 사회적 영향 및 자기결정성 지각 정도가 사용자의 서비스 수용후 만족 및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문헌에 대한 고찰결과를 종합하여 연구변수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모델을 수립하였으며, 모바일 SNG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총 241명의 모바일 SNG 이용 경험자들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모형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증분석 수행 결과를 요약해 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모바일 SNG 이용자가 인식하는 사회적 영향 수준은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SNG 이용자의 상호작용성 인식정도는 사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만족은 지속사용의도 형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관련 분야의 연구자 및 실무자를 위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하였다.
기술지향성이 제품품질, 혁신속도, 기술역량 그리고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 시장진입순서의 조절효과
정덕화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2 마케팅논집 Vol.20 No.3
오랫동안 기술지향성과 제품개발의 관계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제품혁신을 매개변수로써 성과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거나 혹은 기술지향성과 성과의 직접적인 관계에 주로 국한되어 있어서 제조업체에 성장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는 제품품질, 기술역량과 혁신속도에 대한 연구결과가 해외나 국내에서도 아직 부분적이고 충분하지 않아서 국내기업의 실무에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시장진입순서(선발진입, 후발진입)가 신제품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기업의 기술지향성이 제품품질, 기술역량과 혁신속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쳐 결과적으로 기업의 신제품성과에 기여한다는 가설들을 검증하고 둘째, 시장진입순서는 매개변수인 제품품질, 기술역량, 혁신속도와 신제품성과 간의 사이에서 어떠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국내 식품․제약업체를 대상으로 159개 기업을 설문조사하여 SPSS 18.0과 AMOS 7.0 프로그램을 통해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은 기술지향성 강화를 통하여 성장성, 수익성, 고객만족 등의 신제품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기술역량과 혁신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얻었지만, 제품품질은 신제품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제품품질이 중요하지만 반드시 시장에서 성공하는 것은 아니며, 기술지향성 향상이 제조기업의 기술역량과 혁신속도를 증대시키고 이러한 기술역량 및 혁신속도 증대가 신제품성과를 증대시킨다는 의미이다. 둘째, 신제품의 시장진입순서의 조절효과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시장의 선발진입의 경우 혁신속도를 강화하면 신제품성과가 확대될 수 있고, 후발진입의 경우에는 제품품질과 혁신속도를 제고시키면 신제품성과가 확대될 수 있으며, 기술역량은 신제품성과의 관계에서 진입순서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제조기업들은 기술지향성과 더불어 신제품성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기업의 상황에 맞는 시장진입전략에 따라 제품품질과 혁신속도 강화에 투자를 집중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Many researches regarding technology orientation have been published so far. Particularly, the effects of technology orientation on product innovation and marketing capability have been studied much. However, few studies on technology orientation has a impact on product quality, product qualit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and, thereby, NP(new product) performance.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echnology orientation enhances product quality, product qualit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and thus increases firm's NP performance.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wo-fold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technology orientation on product qualit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Second,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order of market entry(early entrant, late entr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quality,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and NP performance. Hence, order of market entry ar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which would affect firm's NP performance in the market. The results of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First, technology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product quality, but product quality does not directly affect to the NP performance. Second, technology orientation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oth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Third, both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innovation speed have positive impacts on NP performance. Fourth, order of market entry has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duct quality and NP performance, also innovation speed does. But it is found that the order of market entry has not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ical capability and NP performance.
IPTV의 서비스품질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을 매개변수로
정덕화 한국산업경제학회 2010 산업경제연구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방송통신융합서비스로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는 IPTV의 서비스품질(신뢰성, 응답성, 공감성, 유형성, 확신성)과 서비스가치, 고객만족, 고객충성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마케팅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실증분석에 앞서 IPTV시청 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26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14.0과 AMOS5.0을 활용하여 기초분석으로 신뢰도 분석,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IPTV서비스품질 차원의 확신성, 응답성, 공감성이 서비스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유형성, 확신성, 공감성이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가치와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간의 관계에서 서비스가치는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만족은 충성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존연구들과 일치하였다. 이런 조사결과는 아직까지 초기단계에 있는 IPTV 관련 연구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며, IPTV 산업의 발전과 전략수립을 위한 기초적이고 실용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PTV services, as the convergence service of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are regarded as the essential information communication media in the New Economy era by providing the consumers with various services through the collaboration among communications, broadcasting and many of other media service providers. The research starts with recognition that, in the new media era, where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are converging, there are endless demands for new services and various contents, which are driving forces behind the business model of IPTV. In terms of company management for market segmentation and creating new market opportunity, IPTV service has many important meaning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asual relationship among service quality, service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in the IPTV service. Through the empirical results, specific dimensions of IPTV service quality were discovered to be tangible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ssurance, and empathy. The findings indicate that (1) IPTV service quality has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service value and customer satisfaction, (2) service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3)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and (4) service value intervening between IPTV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This paper presents a lot of implication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sides.
보험기업의 CRM 정보특성 및 시장지향성이 영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직무교육의 조절효과 -
정덕화,정철호 한국전략마케팅학회 2011 마케팅논집 Vol.19 No.3
본 연구의 주목적은 영업사원의 성과를 제고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제반요인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생명보험회사에 종사하고 있는 영업사원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통해 영업사원의 CRM 정보특성과 시장지향성이 영업사원 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CRM 정보특성과 시장지향성이 영업사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고객관계의 질의 매개적 효과와 직무교육의 조절적 역할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실증분석 결과, CRM 정보특성은 영업사원의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고객관계의 질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장지향성은 영업성과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RM 정보특성이 높을수록 고객관계의 질이 증가하고, 시장지향성이 증가할수록 고객관계의 질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우수한 영업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개별 고객들과 고객화 된 정보를 토대로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업은 영업사원들에게 제공되는 CRM 정보가 정확하고, 빠르게 갱신되며, 이해하기 쉽도록 하여야 하며, 각 영업상황에 맞도록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직무교육의 조절적 역할을 분석한 결과 직무교육을 많이 받은 영업사원이 적게 받은 영업사원에 비해 CRM 정보특성이 고객관계의 질에 미치는 정(+)적 효과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시장지향성이 고객관계의 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는 직무교육이 조절적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명보험기업들이 우수한 영업사원을 선발하거나 교육할 때 고객관계의 질과 관련된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적용하는 것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find the causal factors that influence sales force and salesperson performa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performance of salesperson. Specifically, this study argues that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CRM information features, market orientation and salesperson performance will be mediated by customer relational quality of salesperson. We develop the hypotheses from the conceptual framework and empirically test them for the salespersons of life insurance compani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conceptual framework developed in this study, we derive 7 hypotheses. To test the 7 hypotheses, we estimate the level of fitness and parameters of structure equation model by using AMOS 5.0. This empirical study finds interesting results. The CRM information features has no direct effect on salesperson performance and just indirectly influence to it via quality of customer relationship. Compared to this result, market orientation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on salesperson perform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to enhance salesperson performance is the maintenance of good relationship with customers. The job training has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RM information features and customer relational quality. But it is found that the job training has not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customer relational quality. These result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Korean insurance company mainly focuses on training of the job skill and knowledge, not motivational elation of sales force.
월경주기에 따른 규칙적인 운동이 중국 여대생의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정덕화,정형모,이량량,두해봉,강성훈 한국스포츠학회 2024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2 No.1
요약본 연구의 목적은 월경주기의 규칙성에 따라 분류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6주간의 규칙적인 중강도 운동이 스트레스 관련 인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도에 거주하는 중국인 유학 여대생 중에서 선별하였으며, 최근 6개월 중 3개월 이상 월경이 불규칙한 그룹(NRME; n=9), 월경주기가 규칙적인 그룹(RME; n=10)을 대상으로 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통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6주간의 규칙적인 운동 후 신체조성의 분석결과 두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6주간의 규칙적인 운동 후 기초체력 분석결과 두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6주간의 규칙적인 운동 후 스트레스 관련 호르몬(Cortisol, ACTH) 분석결과 RME 그룹에서 혈청 Cortisol의 수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p<.05)하였으며, ACTH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NRME 그룹에서는 혈청 Cortisol 과 ACTH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6주간의 규칙적인 운동은 월경주기가 규칙적인 유학 여대생의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학 생활로 겪을 수 있는 심리적/생리적인 부정적인 변화를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6 weeks of regular moderate-intensity exercise on stress-related factors in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y had regular menstrual cycles. The subjects were Chinese international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G province and dividing them into groups with irregular menstruation (NRME; n=9) and groups with regular menstrual cycles (RME; n=10) for more than 3 months out of the past 6 months. The main conclusion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body composition after 6 weeks of regular exercis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basic fitness after 6 weeks of regular exercise. Third, as a result of stress-related hormone (Cortisol, ACTH) analysis after 6 weeks of regular exercise, serum cortisol levels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05) in the RME group, and ACTH showed a decreasing ten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In contra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rum cortisol and ACTH in the NRME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6 weeks of regular exercise can be expected to reduce stress in female international students with regular menstrual cycles and can improve negativ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they may be experience as a result of studying abro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