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군 병원에서 이중 다발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의 방사선학적 분석과 임상적 결과

        정덕문 ( Chung Duk Moon ),이영관 ( Lee Young Kwan ),김정열 ( Kim Jung Ryul ),유재두 ( Jae Doo Yoo ) 국군의무사령부 2010 대한군진의학학술지 Vol.41 No.1

        목 적: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군병원 정형외과에서 가장 많이 행해지는 수술중의 하나이다.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은 보통 단일 다발 재건술에 의한 방법으로 시행되고 80~90%의 높은 성공율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많은 연구에서 이중 다발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의 해부학적 재건은 단일 다발에 의한 재건술보다 더 큰 안정성을 줄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중 다발과 단일 다발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 후 비교를 통해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치료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1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전방 십자인대 파열의 소견을 보인 60예의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30예는 이중 다발을 이용한 재건술을, 30예는 단일 다발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한 후, 임상적 평가와 방사선학적인 평가를 시행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KT 1000 관절계를 이용한 전방 안정성, pivot shift test를 이용한 회전 불안정성, 슬관절의 운동 범위, IKDC 주관적 검사와 Lysholm 슬관절 검사를 이용한 환자 만족도에 대하여 시행하였다. 방사선학적인 평가는 술후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이용하여 대퇴 터널의 확장 정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Lysholm 슬관절 검사에서 이중 다발 재건술이 유의하게 좋은 결과를 보였다. Pivot shift test에서는 29예(97%)의 이중 다발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정상적인 회전 안정성이 관찰되었고, 반면에 9예(36%)의 단일 다발 재건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grade I의 회전 불안정성이 관찰되어 이중 다발 재건술이 유의하게 좋은 결과를 보였다. 나머지 다른 평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이중 다발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결과 단일 다발을 이용한 재건술 보다 회전 안정성 및 환자 만족도에 더 좋은 결과를 보였다. 이는 전역 후에 회전 안정성이 필요한 스포츠 활동을 요구하는 젊은 인원들에게 단일 다발 재건술보다 장기적으로 훨씬 더 나은 결과를 줄 수 있다고 생각되며, 이를 지침으로 전 군병원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감성 분석을 위한 어휘 통합 합성곱 신경망에 관한 연구

        윤주성 ( Joo-sung Yoon ),김현철 ( Hyeon-cheol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최근 딥러닝의 발달로 인해 Sentiment analysis분야에서도 다양한 기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미지, 음성인식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던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은 최근 자연어처리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Sentiment analysis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머신러닝에서는 lexicon을 이용한 기법들이 활발하게 연구되었지만 word embedding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시도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lexicon은 여전히 sentiment analysis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SemEval 2017 Task4에서 제공한 Twitter dataset과 다양한 lexicon corpus를 사용하여 lexicon을 CNN과 결합하였을 때 모델의 성능이 얼마큼 향상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word embedding과 lexicon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델을 평가하는 metric은 positive, negative, neutral 3가지 class에 대한 macroaveraged F1 score를 사용하였다.

      • 상완골 소결절에 발생한 부정 유합의 관절경적 치료 - 증례 보고 -

        손훈상,정덕문,신상진,Sohn, Hoon-Sang,Chung, Duk-Moon,Shin, Sang-Jin 대한관절경학회 2008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2 No.3

        오구 충돌 증후군은 상완골 전상방 면과 오구견봉 궁 후외측면의 비정상적 접촉에 의해 발생하며, 그 원인으로는 외상성, 특발성 및 의인성 인자가 있다. 그 중 외상에 의한 경우는 견갑골 경부, 오구 돌기, 또는 상완골 소결절 골절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상완골 소결절 부정 유합에 의한 오구 충돌 증후군은 드문 질환으로 치료에 대해서는 주로 개방적 수술이 사용되어 왔으나 관절경적 오구 돌기 성형술과 함께 소결절의 경피적 고정술을 보고한 예는 없었다. 이에 저자들은 상완골 소결절 부정 유합으로 발생한 오구 충돌 증후군에 대하여 관절경적 수술로 치유된 1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Coracoid impingement syndrome results from abnormal contact between the anterosuperior humerus and the coracoacromial arch. The coracoid impingement may occur from traumatic, idiopathic, or iatrogenic causes. Traumatic causes of coracoid impingement include fractures of scapular neck, coracoid process or lesser tuberosity. Coracoid impingement due to lesser tuberosity malunion is a rare disease and most of them were treated by open procedures. The authors present a case of coracoid impingement caused by malunion after isolated lesser tuberosity fracture which was treated by arthroscopic coracoplasty with percutaneous screw fixation.

      • KCI등재후보

        소아의 내반주 변형 교정을 위한 상완골 원위부의 계량된 계단형 절골술

        윤여헌,문준규,정덕문 대한골절학회 2004 대한골절학회지 Vol.17 No.3

        목 적: 소아에서 발생한 내반주 변형에 대한 개량된 계단형 절골술의 결과를 분석하여, 이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부터 2002년 사이에 내반주 변형으로 인하여 상완골 원위부에 개량된 계단형 절골술이 시술된 16례의 소아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 성적의 평가는 운반각을 측정하여 내반주의 교정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외과 또는 내과 돌출 여부, 주관절의 운동 범위, 합병증 등을 평가하였다. 결 과: 술 전 측정한 환측의 수술 전 상완골-주관절-완관절 운반각은 평균-15.8°이었고 최종 추시 시 운반각은 평균 +6.7°로 호전되었다. 외과 돌출은 3례에서 5 mm 미만의 외과 돌출을 보였고, 주관절의 운동 범위는 1례를 제외한 전례에서 정상 범위를 보였고 1례에서만 일과성 척골 신경 증상을 보였다. 결 론: 계단형 절골술을 개량한 새로운 상완골 원위부 절골술로 소아의 내반주 변형을 교정한 결과, 운반각이 정확하게 교정되고 특히 외과 부위의 돌출이 남지 않고 합병증이 없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Vancouver 분류에 근거한 대퇴삽입물 주위 골절의 치료

        최일용(Il-Yong Choi),정덕문(Duk-Moon Jung),서승표(Seoung-Pyo Seo),김영호(Young-Ho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0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2 No.2

        목적: 인공 고관절 치환술 후 대퇴 스템 주위골절 치료 시 Vancouver분류에 따른 치료원칙으로 치료한 후 치료결과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81년 5월부터 2003년 2웜까지 대퇴 스템 주위에 발생한 골절 35예(34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6세(30-83)였다. 치료 결과는 Beals와 Tower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인공 고관절 치환술 후 대퇴 스템 주위골절의 전체 빈도는 0.91%였고 Vancouver분류상 발생빈도는 B1, B2, B3, C, AG, AL의 순서였다. Vancouver치료원칙에 따른 치료 결과는 27예에서 우수, 5예에서 양호, 3예에서 불량의 결과를 얻었다. 총 6예에서 골절을 일으킨 것으로 추정되는 위험요소(골다공증 4예, 골용해 1예 및 대퇴스템 해리 1예)가 발견 되었다. 골절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골소실 1예, 감염을 동반한 불유함 1예가 있었고, 인공 삽입물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으로는 대퇴 스템 해리 2예와 대퇴 스템 침강 1예가 나타났다. 결론: 대퇴 스템 주위 골절 치료에 있어 양호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Vancouver분류에 따른 치료원칙을 지키는 것뿐만 아니라 골절 부위의 안정성, 대퇴 스템의 안정성 및 골 소실부위의 복원을 얻는 것이 중요한 요소로 생각된다. Purpose: To determine the treatment results according to the guideline of the Vancouver classification in peri prosthetic femoral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five peri prosthetic femoral fractures treated between May 1981 and February 2003 were assesse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6 years (30-83 years). The outcomes we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Reals and Tower's criteria. Results: The overall incidence of postoperative peri prosthetic femoral fracture was 0.91%. The frequency of the fracture types in decreasing order was B1, B2, B3, C, AG and AL. The treatment outcomes according to the Vancouver guidelines were excellent in 27 hips, good in 5 hips and poor in 3 hips. Suspicious risk factors of periprosthetic fractures were found in 6 hips (osteoporosis in 4 hips, osteolysis in 1 hip and loosening of femoral stem in 1 hip).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treatment included a bony defect in 1 hip and an infection with non-union in 1 hip. The complications related to treatment for an implant were loosening in 2 hips and subsidence of stem in 1 hip. Conclusion: In order to obtain favorable results, in addition to following the Vancouver treatment guideline, consideration should be made to the basic principles such as the stability of the fractures, the stability of the implant and restoration of the bone stock.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