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구논문 : 장관리더십의 유형과 효과성의 탐색: 노무현 정부 부처관료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정광호 ( Kwang Ho Jung ),문명재 ( M Jae Moon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3 조사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노무현 정부 시절의 장관을 대상으로 리더십의 유형을 탐색해 보고, 장관의 직무성과와의 연관성을 실증분석하였다. 먼저 부처 장관의 리더십 유형을 탐색하기 위해서, 관료가 평가한 장관리더십에 대한 설문자료를 만든 후 탐색적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적용하여 장관리더십의 유형을 추출했다. 또한 장관리더십 유형과 장관리더십의 효과성 점수(7점 척도)를 회귀분석을 통해 그 연관성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요인분석에 따르면 노무현 정부의 장관리더십은 ①대통령 자산기반 리더십, ②협업리더십, ③소통형 공정리더십, ④비전리더십, ⑤변화지향적 리더십으로 유형화 된다. 장관리더십 성과와의 연관성을 파악한 결과, 비전리더십>소통형 공정리더십>협업리더십>대통령 자산기반 리더십>변화지향적 리더십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가 주는 시사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화 이후 부처정책을 둘러싼 정치사회적 갈등이 일상화되고 정책의 불확실성이 높아 부처의 새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는 리더십의 수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주화 이후 다양한 정치행정의 주체 간 협력과 소통에 대한 수요증가로, 소통형 공정리더십과 협업리더십이 중요한 것으로 부각되었다. 앞으로 제왕적 대통령제에 대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장관의 리더십에 있어 대통령의 신임과 지원이 주요 요인으로 고려되겠지만, 한편으로 국회, 언론, 시민사회와의 소통과 협력을 위한 효과적인 장관의 리더십에 대한 기대도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노무현 정부뿐만 아니라 다른역대 정부에서 중시된 장관리더십 유형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비교하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며, 관료뿐만 아니라 부처의 전문가-국회-고객집단을 대상으로 장관리더십의 다양한 측면을 탐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various types of ministerial leadership in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and an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type and its effectiveness. First, this study, relying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xtracts ministerial leadership factors with the Korean ministerial survey by government officials. This study also examines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type and the scores of leadership effectiveness with a seven Likert scale. This study illustrates the five factors composing of ministerial leadership elements: presidential capital based leadership, collaborative leadership, communication & fairness leadership, vision leadership and change oriented leadership. The degree of the effectiveness of ministerial leadership varies from leadership types(vision leadership> communication & fairness leadership > collaborative leadership>presidential capital based leadership>change oriented leadership). The implications from our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mocratization involving the higher levels of socio-political conflicts and policy uncertainty appears to increasingly demand vision leadership. Second, as democratization facilitates a more demand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various political actors, communication & fairness leadership would be more important than before democratization. Despite a criticism of imperial presidency, both presidential trust and support for ministerial leadership are still important, but the ministerial leadership for effective communications among National Assembly, media, and civil society is expected to be increasingly important. Further study needs to compare what ministerial leadership is important (or preferred) across previous administrations including Roh Moo- Hyun Administration and to explore multiple aspects of ministerial leadership from policy analysts, National Assembly members, and various clients groups of department.

      • KCI등재

        중국의 해양강국 구상과 ‘동방서공(東防西攻)’ 전략: 해양지정학적 관점에서

        정광호(Jung, Gwang-ho),백주현(Baek, Joo-hyun)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1 전략연구 Vol.28 No.1

        이 논문은 해양지정학과 전략적 포위의 두려움이라는 군사적 이론의 관점에서 중국의 해양전략을 거시적으로 조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국은 최근 경제발전과 동아시아 지역 패권을 추구하기 위해 해양강국을 국가발전전략의 주요 추진전략으로 설정하였다. 이 논문은 해양지정학의 관점에서 중국의 해양전략이 ‘동방서공(東防西攻)’ 전략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한다. 동방서공 전략은 중국이 서쪽인 인도양으로 진출하기 위하여 동쪽인 태평양에서 접근해오는 미국의 해군력을 거부하는 전략이다. 중국이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지속하고 해양강국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에너지 및 상품 교역의 주요한 수송로인 인도양이라는 공간에 대한 접근이 안정적으로 보장되어야 한다. 그리고 지정학의 측면에서 인도양에 대한 접근을 방해받지 않고 전략적으로 포위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전략적 후방에 대한 안보가 보장되어야 한다. 21세기 중국의 해양전략은 전략적 후방인 태평양지역에서 접근하는 미국을 하드파워(A2/AD) 로 거부하고, 전략적 전방인 인도양지역으로 스마트파워(一帶一路)를 통해 진출하는 것으로 체현된다. This paper aims to take a macroscopic view of China"s maritime strategy in terms of the maritime geopolitics and the military theory dealing with the fear of military blockade. China recently designated a maritime power as its major driving strategy for its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in pursue of economic development and hegemony in the East Asian region. This paper argues that China"s maritime strategy is emerging as an "East Denial, West Advance" strategy in terms of the maritime geopolitics. The "East Denial, West Advance" strategy is to reject U.S. naval power approaching from the Pacific Ocean in order to advance into the Indian Ocean, west of China. In geopolitical terms, what China fears most is strategic siege. Access to the space of the Indian Ocean, a major transportation route for energy and commodity trading, must be reliably guaranteed in order for China to sustain its stable economic growth and become a maritime power. And to achieve this, security against the strategic rear must be guaranteed. China"s maritime strategy in the 21st century is embodied by rejecting the U.S. approaching from the Pacific Ocean region, the strategic rear, with hard power, whereas, by advancing into the Indian Ocean region, the strategic front, with smart power.

      • KCI등재

        쌀단백질의 가치와 이용방법

        정광호(Kwangho Jung) 한국식품과학회 2019 식품과학과 산업 Vol.52 No.1

        Protein is a major nutrient of food and has long been studied for nutritional and utility value. Among them, rice protein is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of its hypoallergenic characteristics and nutritional value. Rice proteins are divided into endosperm protein and bran protein depending on their location. The two proteins differ in their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The endosperm protein is an insoluble protein and has an advantage of digestion and absorption. Rice bran protein dissolves well in water. Its amino acid value is high enough to be comparable to that of soy protein, and it has strong antioxidant ability. Rice protein is a healthy vegetable protein because of its health and hypoallergenic properties. It has been widely used in children’s or patients’ food, and recently for muscle supplement and health food. Rice protein is considered to be a very effective and useful material as it has been discovered so far.

      • KCI등재
      • KCI등재

        체제전환에 따른 국민건강 위기분석

        정광호(Kwangho Jung),강영주(Youngju Kang)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0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20 No.3

        At present, we possess an in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implications of economic transition.Thus, this study makes an attempt to address the causes of health crisis in transition countries by examiningeffect of privatization on health status in post-socialist states. We employed two regression models: the firstmodel focuses on the differences in health status between post-socialist states in Western Europe and OECDmember states; the second model analyzes the different causes of the health crisis. Our econometric evidenceprovides that the population health in the transition countries was worsening in the transition period: lifeexpectancy dropped and mortality rate increased; the impact of the transition on population health was muchsensie among males. As to the causes of the crisis, factors such as national income, nutritional status andhealth system access are found to be related to health status, while unemployment rate and Gini index do not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opulation health.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led us to theconclusion that 'social shock' from a rapid transition can bring a huge negative impact on population health;therefore, we should consider appropriate speed and path to minimize social cost of transition process.However, the lack of uniform data clearly constrained our ability to do a more thorough statistical analysis,and, consequently, there is a call for future studies to test this relationship empirically with a wider range of data and variabl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가구제품에 나타난 리디자인 사례연구

        정광호 ( Kwang Ho J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1 No.-

        최근 친환경과 관련한 소비가 메가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리디자인의 개념을 적용한 제품들이 계속해서 대 중 속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디자인가구 산업에서도 디자인 개발방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가구산업은 시대적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른 제품의 특성상 많은 제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과정을 거친다. 그 과정에서 산업 단계별로 매우 다양한 환경폐해물질들을 생산해 내고 있으나, 합리적인 재사용을 위한 노력은 매우 미비하다. 최근에 리디자인에 대한 의식들이 생기면서 한정된 자원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의 일 환으로 디자인관련 산업에서 리디자인을 위한 연구와 이를 적용하는 브랜드들이 나타나고 있다. 가구 산업 에서 리디자인을 실행하고 있는 앞선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지속가능성에 대하여 긍정적인 성장 방향을 제시하 며 그 영향력과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리디자인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본 연구는 가구제품에 나타난 리디자인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관련 분야의 산업체의 발전과 학계의 연구에 기초가 되고자 한다. As the environment-friendly consumptions became mega-trend, products with the concept of redesign are now emerging toward the public. This trends gave great impact on deciding direction in the design furniture industry. Furniture industry, motivated from change of lifestyle, pass through numerous processes for producing-consuming. Even though the industry generates environmental wastes, there are only few efforts for practical reuse. Recently, from the brands who aware about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started researches to apply redesign on design industry. This paper suggests sustainable and positive growth direction of redesign for well-derived, and innovative advancement of redesign by illustrating the examples of redesign in design industry. By considering the redesign cases that has been displayed in the furniture product, we will expand the research area of redesign into the range of products to be industry and academ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