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성 교육 "평가"기준이 사회과교육에 주는 시사점

        전희옥 ( Hee Ok Ju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3 중등교육연구 Vol.61 No.3

        이 논문에서는 다양성 교육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한 ‘가치’ 쟁점과 교육과정 사례를 검토하고, 목표 영역별 교육과정 영역 즉 지식, 기능, 가치·태도·참여 영역 별 평가 기준을 정리하였으며, 이것이 사회과교육에 어떻게 적용되고 실행될 수 있는지 시사점을 제시하여 학교 사회과교육에서 다양성 교육의 원활한 실천을 돕고자 하였다.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과교육을 위한 다양성 교육 평가 기준 적용을 위한 시사점으로, 먼저, 다양성 교육과정 평가 기준 설정에 대하여 ‘가치’의 적용 측면에서 주류 가치와 다양한 가치가 갖는 긍정적인 측면 활용하기, 긍정적 다문화 상호작용 촉진, 편견 경계와 다양한 관점 격려하기 등이 제안되었다. 둘째로, 다양성 교육 교육과정의 평가 원리로서 ‘통일성-다양성 관계’, ‘상호 의존’, ‘인권 존중’, ‘민주주의’ 원리의 적용이, 셋째로, 교육과정 ‘지식’ 영역에서, 다양성 사회 제도·현황에 관한 기본 개념과, 사회 문제·쟁점 관련 개념에 대한 교육 내용이, 넷째로, ‘기능’영역에서, 다양한 관점 해석, 개인-집단 간 상호작용 능력이, 다섯째로, ‘가치·태도·행동’ 영역에서, 자기 및 타인 이해, 타인에 대한 배려, 정체성 등의 적용이 주요 평가 기준으로 제안되었다. This paper is about implications of diversity education assessment standard o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and meanings that assessment standard of diversity education have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my purpose, firstly, in the viewpoint of assessment standards of diversity education, essential values of society and education assessment, and a case of d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were examined. Secondly, each factor(knowledge, ability, value·participation) of diversity education curriculum with the main checklist of diversity education assessment, were analyzed. Thirdly, Implications of Diversity Education Assessment Standards o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were proposed. In conclusion, firstly, I suggest that positive aspects of mainstream and diverse values, promoting dynamic multicultural interaction, avoiding prejudice, encouraging diverse viewpoints, can be includ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ssessment standards. Secondly, implications of unity-diversity relationship, interdependence, respect of human right, democracy were proposed for principles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assessment. Thirdly, basic concepts and diversity society related problems·issues were introduced as curriculum scope ‘knowledges’ assessment. Fourthly, interpretation of diverse viewpoints, interaction between social members were proposed as curriculum scope ‘ability’ assessment. Lastly, understanding of self and others, caring others, self identity, were suggested as curriculum scope ‘values·participation’ assessment in the social studies.

      • KCI등재

        사회과 ‘가상현실 체험 중심’ 수업 사례 개발

        전희옥(Jun, Hee-Ok)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8 사회과교육 Vol.57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사회과‘가상현실 체험 중심’수업 사례를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학교 사회과 교실 현장 교사가 수업 설계와 실행에서 체험 중심의 가상현실 활용을 원활히 하도록 돕는 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체험’자료로 ‘Google Expedition’을 선정하여 사회과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목적 달성을 위한 연구 내용으로, 사회과 수업에서 ‘가상현실’체험 목적 · 내용, ‘가상현실 체험’자료로서 Google Expedition의 접근 방법, 수업 사례 개발 준거 · 전략, 쟁점 대응 방법, 수업 사례 개발 절차, 수업 설계의 실제, 수업 적용 시 유의점, 수업 사례 개발의 의의 등을 진술하였다. 끝으로, 사회과 수업에서 ‘가상현실’자료 개발 · 활용과 관련하여, 사회과 수업 목적 · 내용 · 방법에 어울리는 가상현실 자료 개발, 사회과 수업에서 가상현실 활용을 위한 학생 · 교사 · 환경 여건 마련, VR 자료 제작 기관 지정을 통한 교사의 수정이 가능한 VR 자료 공급, 교사교육, 연구 축적 등을 제안하였다. Virtual reality (VR) experience based instruction case in the social studies, with the focus on the use of Google Expedition, has been studied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support student learning by utilizing the method of VR based instruction model in the social studies. The `Google Expedition` application has been selected as the resource of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s for VR experience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VR experience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s and access guidance to Google Expedition as the resource for VR experience. Secondly, the standards, strategies, and procedures for designing an instruction example are proposed. Thirdly, problems arising from the application of VR experience based instructions are identified, and approaches to solving these problems are discussed. Fourthly, an instruction example is developed on the topic of ‘refugee’ issue with the utilization of Google Expedition. Lastly, precautions and significances in applying this instruction example for actual social studies classes are pointed out. In conclusion, adopting VR based instructions requires the harmonization of learning objectives, contents, methods, readiness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class environment.

      • KCI등재

        초등사회과교육과정 전개에 따른 사회적 역할 교육내용의 변화

        전희옥 ( Hee Ok J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9 시민교육연구 Vol.4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사회과교육과정 전개 과정 속에 나타난 교육과정 시기별 사회적 역할 교육 내용의 적용비중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기초로 초등사회과교육에서 사회적 역할 교육의 문제 극복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한 내용으로 먼저, 초등사회과교육과정 사회적 역할 교육내용 분석을 위한 이론적 논의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초등사회과교육과정 전개에 따른 사회적 역할 교육내용 분석하였다. 끝으로 초등사회과교육과정에서 바람직한 사회적 역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초등사회과교육에서 바람직한 사회적 역할 교육의 방향으로 다음 몇 가지 사항을 제시할 수 있다. 먼저, 교육과정 시기별 반영비중의 격차 문제 해소를 위하여 교육과정 시기별 일회적·단절적인 내용 선정·조직의 문제를 극복하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각 시기의 교육과정 개발 관련 문서의 체계적 보관·관리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로, 사회적 역할 내용의 상대적 비중 확대와 아울러 전 학년에 걸쳐 각 영역을 균형 있게 배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실생활에 유익한 내용을 소홀히 하는 교육과정의 변화, 추상적인 지식의 암기 중심으로부터 수행중심 평가·선발관 강화로 변화가 요청된다. 무엇보다, 교실에서 원활한 교육 실현을 위해 사회과 교사교육 기관의 교육과정에서 사회적 역할 교육방법에 대한 적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Social role related curriculum contents factors changes(1946~2007) in the prim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 been analyzed in this articl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by analyzing social role related curriculum contents factor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each curriculum stages, as a result, to discover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rganization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o make a contribution to organizing of social roles education contents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curriculum. Result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important to take a balance between knowledge, skill, value-belief contents factors concerning social roles in the prim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tents organization. Secondly, we need to include the useful contents for the actual lives in selecting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tents. Thirdly, we had better change a point of view from memory concentrated test tendency to performing centered evaluation. Fourthl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harmony between many kinds of the social role in the contents arrangements, and to improve the teaching competency of the teacher by strengthening and expanding the social roles curriculum i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사회과교육에서 고정관념 문제 교육

        전희옥 ( Jun Hee Ok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7 사회과교육연구 Vol.14 No.4

        이 논문은 인간의 행복한 삶을 저해하는 고정관념 문제의 심각성을 제고하고, 이론적 검토를 통한 분석기준을 마련하여 현행 초등 사회과교과서의 단원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기초로 고정관념 문제 교육을 극복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내용으로, 먼저, 사회과 고정관념 문제 교육 내용 분석을 위한 논의를 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고정관념 문제 교육의 필요성, 사회과 사회문제 교육의 한 영역으로서 고정관념 문제, 사회과교육에서 고정관념 문제교육 내용의 적용 방향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둘째로, 초등사회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여 고정관념 문제 교육 내용의 실태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연구 결과를 기초로 학교 사회과교육에서 고정관념 문제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종합하면, 사회과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집필함에 있어서 고정관념 문제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내용을 대폭 확대하고, 고정관념을 조장할 수 있는 내용을 제거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함을 지적할 수 있다. 학교 사회과교육에서 고정관념 문제교육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교육과정 측면에서 이론적 실천적 노력이 요청된다는 것과, 교육과정운영 전문가로서 사회과 교사 측면에서 고정관념의 문제 교육을 위한 지식, 기능, 가치 등의 자질향상이 중요하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고정관념이 우리 삶의 곳곳에 깊숙이 뿌리박힌 사회 환경 속에서, 학습자들에게 고정관념을 극복하도록 교육한다는 주장은 슬로건으로 끝날 수 있다. 제대로 된 고정관념 문제 교육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개방사회로의 대응능력 향상과 교육관련 종사자들이 왜곡되고 편협한 고정관념으로부터 벗어날 것이 요청된다. 고정관념을 극복 한 교육자만이 고정관념 문제 교육을 제대로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사회과교육과정 운영 전문가들의 성찰적이며 비판적인 도전이 중요하다. The Directions on 'the stereotypes of the others' problems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has been studied in this paper. The education of the stereotypes problems i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increase the ability to control and resolve the stereotypes problems by participat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tribution, by analyzing the social studies education(textbook) from a stereotypes problem education point of view, to Korea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ly, an investigation has been made into the theoretical approach of the stereotypes problems education. Secondly, I proposed the direction of the stereotypes problems education. In addition, the social studies education(textbook) has been analyzed.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need to expand the content concerned the resolution of the stereotypes problems, and to reduce the content that can provoke the stereotypes problems in writ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extbook.

      • KCI등재

        초등사회과 ‘갈등문제’ 중심 통합단원 내용 모색

        전희옥 ( Jun Hee-ok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03 사회과교육연구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사회과 ‘갈등문제’ 통합단원 내용 선정 및 조직원리를 기초로 현행 초등 「사회」, 「국어」, 「도덕」 교과서의 갈등관련 단원내용을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 사회과 교실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갈등문제 중심의 통합 단원 내용구성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의 초등 사회과교과서에서 다루고있는 갈등문제 내용은 빈약하며, 인접 교과 즉 도덕 교과와 국어교과의 ‘갈등문제’ 관련 단원내용의 점검을 통하여 보완되어야 한다. 둘째, 갈등문제 통합단원 구성을 위한 내용의 범위를 선정함에 있어서 ‘갈등문제해결 능력’의 측면과 ‘평화적인 문화형성’, 능력의 입장을 균형 있게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국제이해교육의 차원에서 민족간, 문화간, 국가간 교호의식의 형성 및 실천을 도모하는 내용의 선정이 더욱 강화될 필요가 있다. 넷째, 초등사회과 갈등문제 통합단원 구성을 위한 내용의 조직원리로서 환경확대원리의 측면에서 볼 때, 집단 및 국가차원의 갈등문제 경우, 환경확대의 원리에 기초하여 학년수준이 올라갈수록 소 집단간 갈등문제로부터 거시집단 차원의 갈등문제 내용을 순차적으로 조직해야 한다. 다섯째, 갈등문제 통합단원 구성을 위한 내용의 조직 면에서 개인차원의 갈등문제는 모든 학년수준에서 나선형 원리에 충실하여 조직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conflict problems’ centered and integrated unit conten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has been studied in this paper. The education of the conflict problems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increase the ability to control and resolve the conflict problems by participating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make a contribution, by improving ‘conflict problems’ centered and integrated unit content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o help adjust ‘conflict problems’ instruction and to develop the learner and society through the growth of conflict problem solving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ly, an research has been made into ‘the types and meaning of the conflict problems’ that the student face in everyday life, and into effects of the social relation among the children on their social moral intellectual development. Secondly, the rationals of ‘conflict problems’ centered and integrated unit content has been studied. In addition, ‘conflict problems’ centered and integrated unit content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has been proposed.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increase the ability to control and resolve the conflict problems. Secondly, it is important to complement conflict problems among various level in recent elementary social studies content. Thirdly,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select and organize conflict problems in spiral curriculum and expanding environment and to how teach that issu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회과 '신용문제' 교육 교수-학습 모형 개발

        전희옥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속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2

        이 논문은 신용문제 교육의 필요성 증가에 따라, 학교 사회과교육에 있어서 신용문제 교육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사회교과 전문가들이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에게 신용유지와 신용문제에 대한 사전예방 교육을 원활히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논문의 내용으로 먼저, 지식기반사회의 신용문제, 사회과교육에서 신용문제 교육의 필요성, 사회과교육과정에서 신용문제 교육의 적용방향 등을 중심으로 사회과 신용문제 교육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논의를 실시하였다. 둘째로, 신용문제 교육의 논리적 근거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사회과 신용문제 교육 교수-학습 모형과 구체적인 수업설계 절차, 수업지도안 등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셋째로, 사회과교육에서 신용문제 교육의 바람직한 적용방안을 밝혔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으로 우선, 신용문제 교육은 금융교육과 신용 관련 지식, 기능, 가치·태도 등의 교육과 함께 통합적으로 실시될 것, 다음 시기 초·중·고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에서 신용문제 교육 영역이 적용되어야 할 것, 신용문제 교육의 초점이 실제 사례를 통한 자기 문제화와 지적·정의적 사고를 통한 의사결정체험 및 신용생활의 유지와 신용불량문제에 대한 대응능력의 육성에 두어질 것, 목표의 설정과 내용조직 및 교수-학습 방법·평가 등에 있어서 상호 유기적인 관계유지를 통한 순환적·누적적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 등이 지적되었다. 끝으로, 청소년 신용불량의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신용문맹의 극복을 위하여 학교 사회과교육 관련 종사자의 연구관심과 교육과정 운영 관심을 계속적으로 발전시켜나갈 필요가 있다고 본다. Credit degradation problems' teaching-learn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was made in this 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developing teaching-learning model concerning 'credit problems degradation' in the social studies, as a result, to make a contribution to develop the 'credit problems curriculum in the Korean social stud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ly, theoretical background has been an investigated point of view credit problem in knowledge based society, importances of credit problems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and direction of knowledge, skill, value·attitude education about the credit problem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econdary, teaching-learning model and the lesson plan and scenario concerning 'credit problem degradation 'in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education was proposed. Thirdly, direction of desirable credit problem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made. Finally, so that we continuously try to develop and adapt the credit problem curriculum objects, contents, teaching-learning model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 younger generation can overcome the credit innocence and perform the desirable social roles as the creditable citizen in our country.

      • KCI등재
      • 초등사회과교육 내용에 나타난 ‘사회집단 ’의 상호작용 양식 : 계층·성·세대·지역 집단을 중심으로 Focused onSocial Stratification, gender, Generation, and Local Group

        전희옥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2 사회과교육 Vol.41 No.4

        본 논문은 ‘사회기능론과 갈등이론의 두 관점에서 현행 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사회계층, 성, 세대, 지역 집단의 상호작용 양식’을 분석 연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사회과교육의 내용구성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내용을 선정해야 한다고 본다. 즉, 사회의 안정 및 통합을 유지하고 사회적 구성요소간 갈등문제 및 역기능적 요인의 해소를 통한 사회발전을 위하여 사회과교육은 기능론적 관점 뿐만 아니라 갈등론적 접근 및 해석학적 접근 등 다양한 접근방법을 통하여 선정·조직될 필요가 있다. The interaction patterns among social stratification, gender, generation, and local group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textbook content have been studied in this report. The main goal of this report is to make contributions to building-up the found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ocial studies content.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select and organize the social studies content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variety of point of view over social group interaction. That is, in order to maintain social stability and integration and to expedite the social development by releasing conflicts among social components and disfunctional elements, various approach methods including functionalism, conflict theory, and interpretative theory, have to be employed to compose the social studies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