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놉티콘의 강화 혹은 역감시?: 블랙박스의 확산과 새로운 감시주체의 등장

        전현재,조주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5 사회연구 Vol.16 No.2

        최근 자동차 블랙박스가 확산되면서 블랙박스에 의한 감시가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은 사고 발생시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기 위해 블랙박스를 구입하고, 블랙박스로 자기 자신을 감시한다. 블랙박스 감시는 두 가지 측면에서 파놉티콘 감시와 구분되는 탈파놉티콘 감시의 특징을 지닌다. 하나는 블랙박스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는 디지털화된 감시 도구이며, 다른 하나는 파놉티콘 감시하에서 감시 대상이던 개인이 감시 주체가 되었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블랙박스동호회의 인터넷 게시판을 통하여 사람들이 블랙박스로 무엇을 하는지, 구입 의도대로 자기 보호를 위해서만 블랙박스를 사용하는지, 아니면 다른 용도로도 사용하는지, 그리고 블랙박스가 기존의 감시체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은 블랙박스로 자기 자신, 타인, 보험회사 등 다양한 대상을 감시하면서 감시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었다. 구입 목적과는 달리 자기 보호보다 타인 감시에 블랙박스를 더 많이 활용하였다. 둘째, 인터넷 동호회는 일종의 시놉티콘으로 작용하였는데, 일반 대중이 블랙박스 이용의 모델을 제시하고, 여론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블랙박스 감시는 ‘신고’ 행위를 통해 감시 어셈블리지에 연결되고, 파놉티콘 감시 권력을 강화시켰다. 넷째, 블랙박스와 그에 의한 신고가 일상화되면서 사람들은 블랙박스 감시를 내면화하고, 감시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가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사고발생시 보험회사가 판단한 과실비율에 문제를 제기하는 역감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즉, 다수가 소수를 감시하는 또다른 시놉티콘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개인에 의한 블랙박스 감시는 파놉티콘 감시체제를 강화시키는 동시에 역감시도 수행하고 있었다.

      • 1LB-4 정밀화학산업의 동향

        전현재,박순현 한국공업화학회 2017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7 No.1

        (주)경인양행은 정밀 화학제품의 개발 및 제조를 선도하는 기업이며, 1971년 설립된 이래 근 50년 동안 섬유, 식품, 농업 및 전자제품에 사용하는 염료, 잉크, 정밀 화학제품과 그 재료를 생산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합성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50여 개 국에 염료를 수출하고 있는 글로벌 수출 특화 기업입니다. 현재 인천 광역시 서구 석남동에 본사와 1,2공장을 두고 있으며, 경기도 안산시와 경기도 시흥시에 각각 3공장과 4공장을 두고 있다. 이 외에도 서울 사업소 본관, 서울 사업소 신관, 대구영업소, 부산출장소를 전국 각지에 두고 있다. 또한 그룹은 상장사 경인양행 1곳과 비상장사 9곳(KISCO SHANGHAI, LIANYUNGANG KISCO, 제이엠씨, 다이토키스코, 와이즈켐, KISCO INDIA, KISCO USA, KIMSOY ADANA, RACHADA CHEMICAL)의 계열사가 있다.

      • 센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싱크를 위한 8방향 앵커 시스템과 위치기반 최단거리 전송 프로토콜

        전현재 ( Hyeonjae Jeon ),추현승 ( Hyunseung Ch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5 No.1

        센서노드는 무선 센서네트워크를 통해서 감지한 정보를 싱크에게 전송한다. 최근 휴대 무선장비의 이용률 증가로 센서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싱크를 휴대 무선장비로 대체하여 이동성을 보장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다. 즉, 싱크가 이동성을 가짐으로써 센서노드가 감지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이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모바일 싱크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알리고, 다중 소스노드에서 다중 싱크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고정된 싱크에서 사용하던 데이터 전송경로는 모바일 싱크 환경에서 더 이상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소스노드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로서 8방향 앵커시스템(Eight-Direction Anchor system: EDA)을 제안한다. EDA는 센서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센서노드의 편중된 에너지 소모를 막고, 전체 센서노드를 균형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균등한 에너지 소모를 보장한다. 또한, 모바일 싱크가 소스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받기위해서 위치기반 최단거리 전송(Location-based Shortest Relay: LSR)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LSR은 소스노드에서 싱크로의 우회하는 경로를 막고, 최소 지연경로를 통하여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실험결과를 통해서 제안 프로토콜은 효율적인 위치서비스의 제공뿐만 아니라, 다중 소스와 다중 모바일 싱크 환경에서 평균 데이터 전송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

      • KCI등재

        파놉티콘의 강화 혹은 역감시?

        전현재(Hyunjae Jeon),조주은(Jooeun Cho)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5 사회연구 Vol.- No.28

        최근 자동차 블랙박스가 확산되면서 블랙박스에 의한 감시가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은 사고 발생시 억울한 일을 당하지 않기 위해 블랙박스를 구입하고, 블랙박스로 자기 자신을 감시한다. 블랙박스 감시는 두 가지 측면에서 파놉티콘 감시와 구분되는 탈파놉티콘 감시의 특징을 지닌다. 하나는 블랙박스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하는 디지털화된 감시 도구이며, 다른 하나는 파놉티콘 감시하에서 감시 대상이던 개인이 감시 주체가 되었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서는 블랙박스동호회의 인터넷 게시판을 통하여 사람들이 블랙박스로 무엇을 하는지, 구입 의도대로 자기 보호를 위해서만 블랙박스를 사용하는지, 아니면 다른 용도로도 사용하는지, 그리고 블랙박스가 기존의 감시체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은 블랙박스로 자기 자신, 타인, 보험회사 등 다양한 대상을 감시하면서 감시 주체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있었다. 구입 목적과는 달리 자기 보호보다 타인 감시에 블랙박스를 더 많이 활용하였다. 둘째, 인터넷 동호회는 일종의 시놉티콘으로 작용하였는데, 일반 대중이 블랙박스 이용의 모델을 제시하고, 여론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블랙박스 감시는 ‘신고’ 행위를 통해 감시 어셈블리지에 연결되고, 파놉티콘 감시 권력을 강화시켰다. 넷째, 블랙박스와 그에 의한 신고가 일상화되면서 사람들은 블랙박스감시를 내면화하고, 감시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가 높아졌다. 마지막으로 사고발생시 보험회사가 판단한 과실비율에 문제를 제기하는 역감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즉, 다수가 소수를 감시하는 또다른 시놉티콘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개인에 의한 블랙박스 감시는 파놉티콘 감시체제를 강화시키는 동시에 역감시도 수행하고 있었다. The dashboard camera is now an essential part of an automobile, which entails increasing surveillance by the cameras. dash-board cameras, or dash-cams, are useful in assessing responsibility in an accident and for reporting traffic violations. Dash-cam surveillance is different from panopticon surveillance in two aspects. First, dash-cam is a digitalized surveillance tool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Secondly, the individual, who was being watched under the panopticon surveillance, is now the active surveillant. This study analyzes internet bulletin boards of an online dash-cam club and examines whom people watch, why they do it, what the surveillance behavior means to them, and what effects the new surveillance system has on the old sys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ople watch various targets such as themselves, others, and insurance companies, and in doing so they establish their identity as active surveillants. Secondly, the online dash-cam club works as a kind of synopticon. In the club, a layperson can suggest a models in which to use the dash-cam, influencing public opinion. Thirdly, dashcams are connected to the surveillance assemblage through the acts of reporting, therefore strengthening the panopticon surveillance. Fourthly, as dash-cams are now a part of everyday life and reporting crimes/violations based on their video footage is common, people have become accustomed to the surveillance by dash-cams and the social acceptance of the surveillanc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Lastly, insurance companies’ decisions regarding who is at fault in a car accident are often disputed by dash-cam videos, which can imply a synopticon situation where the majority exercise watch over the minority. In summary, while the dash cam surveillance over individuals has strengthened the panopticon surveillance system, it has simultaneously operated as the synopticon surveillance system.

      • KCI등재

        일반용 전기설비의 원격 전기안전 감시를 위한 수용가 설치 장치 모델

        전현재(Hyun-Jae Jeon),전정채(Jeong-Chay Jeon),유재근(Jae-Geun Yoo)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1 No.10

        대부분의 전기화재와 부재로 인한 미점검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일반용 전기설비의 효율적 안전관리를 위한 원격감시시스템의 도입을 위해서는 비용과 설치를 고려한 수용가 장치 모델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용 전기설비의 원격 전기안전 감시를 위한 수용가 장치 모델들을 제시하였고 일반용 전기설비 설치 장소에 따른 합리적 모델을 찾기 위해 비용, 설치 및 통신 방법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일반용 전기선비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주택 전기설비의 원격 전기안전 감시를 위한 합리적 모델은 저압원격겁침 계량기에 안전감시 기능을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introduce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effective safety management of electrical facilities for general use, which the most of electrical fires and non-inspection problems due to absence are generated, development of local device model considering cost and installation is requested. This paper presents local device models for remote electrical safety inspection of electrica1 facilities for general use and in order to rational model according to installation place of electrical facilities for general use, compare and analysis cost, install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of local device models. The results show that rational model for remote safety inspection of electrical facilities located in houses, which occupy the most of electrica1 facilities for general use, is to give safety monitoring ability to low voltage remote meter reading(or automatic meter reading : AMR).

      • KCI등재

        모바일 환경에서의 학사 정보시스템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전현재(Hyun-Jae Chun),신용태(Yong-Tae Shin),조동혁(Dong-Hyuk Jo),김종배(Jong-Bae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14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12

        With the advent of the smart era, interest in the introduction and use of school affairs information systems based in mobile environments is increasing, but research on this has as yet offered insufficient proof. Thus, this study proposes success models for school affairs information systems based on previous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s and attempts to offer proof. For this, the continuous use of school affairs information systems is regula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while information system quality elements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perceived utility, and user-satisfaction were proposed as variables influencing succes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has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except system quality. Information system quality and perceived usefulness significantly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As well, perceived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were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continuance of us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behavior when using school affairs information systems in mobile environments is offered through this study, and its research value stems from its proposals for future directions in improving customer loya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