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개용수 염도수준에 따른 시설 상추 및 당근의 생육 영향 분석

        전지혜,정한석,김학관,Jeon, Jihye,Jeong, Hanseok,Kim, Hakkwan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57 No.4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monitor and assess the effects of saline irrigation water on lettuce and carrot growth in protected cultivation. One control and 4 treatments with three replications, which we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salinity in irrigated water, were employed for each vegetable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irrigation with saline water. Monitoring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irrigation water containing above a certain level of salinity was found to cause excessive accumulation of salts in the soil as saline irrigation water increased electrical conductivity (EC) and sodium ($Na^+$) content in both lettuce and carrot soil samples, while tap water irrigation used as control decreased the salinity in the samples. The salinity higher than the threshold level of irrigation water was found to reduce the yields of lettuce and carrot, while in less than the threshold level the higher the salinity of the irrigation water increased the yields. The salinity of the irrigation water also appeared to increase the internal salinity of the plant as the $Na^+$ content in plant increased as the salinity of irrigation water increase. Increased $Na^+$ content was analyzed to be able to increase the sugar content in carrot.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suggest water quality criteria for safe use of saline water in protected cultivation, although long-term monitoring is needed to get more representative results.

      • KCI등재

        초등학생의 기초학력부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지원 요구

        전지혜,정하은,최윤정,강민경 한국특수아동학회 202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4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기초학력부진(한글 미해득)학생의 선별 및 지도 경험유무에 따른 인식 및 지원 필요성을 분석하여 차후 기초학력부진 학생 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와 함의를 제공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방법: 설문조사는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 1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수합된 총 99부의 설문지를 SPSS 26.0 프로그램으로 문항에 따라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결과를 산출하였다. 선별 및 지도 경험 유무에 따른 인식 및 지원 필요성 빈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기초학력부진 학생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 초등교사는 기초학력부진 학생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으며 법적 제도적 지원 및 치료적 지원의 필요성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별 경험 및 지도 경 험 유무에 따라 기초학력부진 학생에 대한 치료적 지원, 선별 검사 도구 사용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별 및 지도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기초학력부진 학생에 대한 인식이 높고 지원 필요성을 더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기초학력부진 학생 지원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와 함의를 제공하기 위해 선별 및 지도 경험 유무에 따른 초등교사의 인식 및 필요성의 차이가 있는지 심도 있게 알아보는데 그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and needs for support of teachers who had experiences of screening,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Method: 134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99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his study. The survey asked about teachers’ overall perceptions and needs for supports according to their scree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Results: A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perception and necessity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difficulties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and felt the needs for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s and therapeutic suppor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rapeutic supports for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and perceptions and necessity of using screening tools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screening experiences and teaching experience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with scree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had a higher perceptions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and felt the needs for support more strongl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amining in-depth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nd necess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cording to screening and teaching experiences of students with low basic academic skills to provide basic data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education support programs.

      • KCI등재후보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의 인권기반 복지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전지혜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9 연구방법논총 Vol.4 No.1

        This study explored the dilemma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in living faciliti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discussed the contexts why these dilemmas were caused. The 3 focus groups interviews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dilemma situation contains three dimensions : dimension of position and role value, dimension of philosophy, dimension of social work practice. Although the disability paradigm is shifted from welfare approach to human right approach, the social work practice in living fac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s incompatible with human rights approach. Therefore, this study emphasized human right education to both social worker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enhancing their relationship and understanding, and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 and practical rules in conflict situation. 본 연구는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들이 인권기반 복지실천의 과정 속에서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 현상학적 연구를 통해 살피고, 경험의 내용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9명의 연구참여자를 의도된 표집으로 선정하였고 총 3개의 포커스그룹을 구성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결과 3가지 상위범주와 6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장애인 거주시설 종사자들은 실존적 가치의 혼란(종사자로서의 목소리 상실, 존재 가치의 상실), 철학적 가치의 혼란(자립생활 철학에 대한 의문, 자기결정권의 본질에 대한 의문), 실천적 방향상의 혼란(자기방어적 실천, 기존의 실천방식에 대한 고민)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거주시설이라는 제약된 공간에서 자기결정권 존중으로 대표되는 인권적 복지실천을 해야 하는 복지패러다임의 전환이 종사자들에게는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고, 이러한 상황은 패러다임 전환의 과도기 속에서 거주시설 종사자들이 겪어내야 할 과업으로 해석되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거주시설 종사자들이 인권적 복지실천을 마련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기내 사과나무 조직의 신초 재분화에 미치는 생장조절물질의 영향

        전지혜,예병우,양미희,박재복 한국식물생명공학회 1997 식물생명공학회지 Vol.24 No.3

        'Gala' 잎조직의 신초 재분화에 효과적인 cytokinin 종류와 농도는 BA 4.0 ㎎/L였고, auxin 종류와 농도는 IAA, IBA, 및 NAA 각각 0.1 ㎎/L였다. BA와 NAA를 농도별로 조합 처리하여 'Gala'의 잎, 절간 및 엽병의 신초 재분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잎조직은 0.5 ㎎/L NAA + 6.0 ㎎/L BA와 0.5㎎/L NAA + 0.8 ㎎/L BA 처리구에서, 절간조직은 0.1 ㎎/L NAA + 0.8 ㎎/L BA와 1.0 ㎎/L NAA + 0.8 ㎎/L BA 처리구에서 신초 재분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엽병조직은 0.1 ㎎/L NAA + 4.0 ㎎/L BA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The most effective cytokinin source for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of in vitro grown leaves from 'Gala' apple was BA with the concentration of 4.0 mg/L, while auxin source was IAA, IBA and NAA with the concentration of 0.1 mg/L, respectively. As the result of combinational treatment of BA and NAA, 6.0 or 8.0 mg/L BA with 0.5 mg/L NAA was effective for adventitious shoot regeneration from leaf tissues of 'Gala', 0.1 mg/L NAA + 8.0 mg/L BA and 1.0mg/L NAA + 8.0 mg/L BA for internode, and 0.1 mg/L NAA + 4.0 mg/L BA for petiole.

      • KCI등재

        즉석섭취 신선편의 절단 과일 및 채소의 원충류 및 병원성 식중독균의 미생물학적 품질 실태 연구

        전지혜,노준혜,이채림,김근향,이정연,윤기선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22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7 No.2

        Recently, the purchase of fresh-cut produce and meal kits has increased. Ready-to-eat (RTE) fresh-cut products have potentially hazard of cross-contamination of various microorganisms in the processes of peeling, slicing, dicing, and shredding. There are frequent cases of protozoa food poisoning, such as Cyclospora and Cryptosporidium, caused by fresh-cut product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various types of RTE fresh-cut products in the domestic on/offline markets. RTE fresh-cut fruits cup (n=100), fresh-cut vegetables (n=50), and vegetables in meal kits (Vietnamese spring rolls and white radish rolls kits, n=50) were seasonally analyzed. The contamination levels of hygienic indicator organisms, yeast and mold (YM), and foodborne pathogens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and Escherichia coli O157:H7) were monitored. Overall, the lowest microbiological qualities of meal kits vegetables were observed, followed by RTE fresh-cut fruits cup and fresh-cut vegetables. Contamination levels of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s, and YM in meal kits vegetables were 5.91, 3.90, and 4.71 logs CFU/g, respectively.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6 out of 200 RTE fresh-cut products (3%) returned positive result for S. aureus.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contamination levels of S. aureus in purple cabbage from a meal-kit and fresh-cut pineapple were below the acceptable limit (100 CFU/g). Staphylococcus enterotoxin seg and sei genes were detected in RTE fresh-cut celery and red cabbage from meal-kits, respectively. S. aureus contamination must be carefully controll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RTE fresh-cut products. Neither Cyclospora cayetanensis nor Cryptosporidium parvum was detected in the samples of RTE fresh-cut products and vegetables from meal-kits from the Korean retail markets.

      • KCI등재

        백제양식석탑과 일본 석탑사(石塔寺) 석탑의 비교 연구

        전지혜 중앙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日本 硏究 Vol.0 No.30

        A pagoda that was made as the first Buddhism symbol reflects unique cultures of Eastern Asian countries. Therefore, China is often called ‘a country of brick stupa(塼塔)’, Japan is called ‘a country of wooden stupa(木塔)’, and Korea is called ‘a country of stone stupa. In particular, Japan inherited Buddhism from Baekje in the ancient Korea-Japanese relationship, and the fact of Buddhist architects’ dispatch is minutely recorded in 「Nihon-shoki」. In such a background, the comparison study of a pagoda is very interesting topic. Temple Stupa that is well known as the oldest Japanese stone stupa has been known that it copied Jeonglimsaji stone stupa of Baekje and was built by Baekje people. The period somewhat differ depending on researchers, but Japanese academic world normally considers it as the middle and late 7th century. On the other hand, Korean academic world thinks that Baekje style stone stupa that is similar to temple stone stupa in terms of the pattern was not built due to collapse of Baekje but it was built again in Goryeo Dynasty. This study looked into Baekje style stone stupa and Japanese temple stone stupa with ‘Baekje pattern’ beyond the border by focusing on the building history.

      • 디지털 트윈 기반의 사회기반시설 재난 안전 통합 관리 기술 구축

        전지혜,이승현,서민재 한국통신학회 2022 정보와 통신 Vol.39 No.6

        사회기반시설은 사람의 경제 활동에 필요한 사회 기반 시설이다. 이러한 시설은 정부 또는 지자체의 막대한 예산으로 구축되고 운영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안전하게 운영 관리하는 것은 필수적이며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본고에서는 실시간 관리 효율성에 강인한 디지털 트윈 기술을 기반으로 사회기반시설의 재난 안전을 관리할 수 있는 기술개발 사례와 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 KCI등재

        대학에서 변혁적 리더십이 직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학습조직과 신뢰문화의 매개효과

        전지혜,박다슬,배상훈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敎育行政學硏究 Vol.4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행정 직원이 느끼는 부서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이 과정에서 대학 조직에 형성된 학습조직 및 신뢰 문화가 어떠한 매개효과를 발휘하는지 탐색하는 것이다. 2021년 대학혁신역량진단조사(UICA)에 참여한 전국 69개 대학에 재직 중인 정규직 직원 2,24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부서장의 변혁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직무열의와 학습조직, 신뢰문화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 조직에서 학습조직과 신뢰문화는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 직원들이 인식하는 부서장의 변혁적 리더십의 수준이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습조직과 신뢰문화는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혁신이라는 실천적 관점에서 대학 직원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서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고 직원들 사이에 학습조직과 신뢰문화를 형성해야 함을 검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