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요(漫謠)의 선행연구와 특징

        전은진(Eun-jin, J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5

        This paper supplements and modifies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previous research on Manyo in “A Study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Reinterpreted Works of Many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nyo’s previous research began when Kim Chang-nam and Cho Dong-il, and Zhang Eu-jeong started full-scale research. Through his doctoral thesis, several books, and academic papers, he focused on the appearance of the 1930s, the characteristics of lyrics, and the status of Manyo. Later, Lee Dong-soon and Park Ae-kyung focused on the appearance and lyrics of the time, while Lee Eun-jin, Lee So-young, and Jeon Eun-jin also studie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the lyrics. Since 2017, we have identified recent Manyo . For the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Manyo, the concepts were divided into the definition of Manyo, the etymology of Manyo, and the transition of Manyo and the concepts were then organized through previousresearch and basic historical data. With the missing parts and additional data from the existing study, we were able to reorganize the previous research and conceptual features of Manyo.

      • KCI등재
      • KCI등재

        후각 형용사의 의미론적 연구

        전은진 ( Jeon Eun-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1 국제어문 Vol.51 No.-

        이 연구는 우리말의 감각 형용사 중에서 후각을 나타내는 형용사의 의미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후각 형용사를 찾아 목록화한 후, 후각 형용사의 의미 체계를 고찰하였다. 더 나아가 후각 형용사의 의미 전이 현상까지 모색해보았다. 후각을 나타내는 형용사는 후각의 분화 상태에 따라 <향내>, <고린내>, <노린내>, <비린내>, <고소한내>, <지린내>, <매운내>로 하위분류할 수 있었다. 후각 형용사는 기본 의미를 가진 단어를 바탕으로 단어의 내부 성분이 교체의 변화를 겪어 어감 차이로 인해 정도성을 나타내거나, 어근이나 접사를 결합시켜 새로운 성분이 단어 형성에 참여하여 단어의 의미나 성격을 변화시킴으로써 의미 체계를 형성해 나가고 있었다. 후각 형용사는 기본 의미에 후각적 자질과 더불어 미각적 자질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미각 형용사로 전이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음식이나 동식물의 냄새`가 `사람의 성품이나 행동`으로 의미 전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semantic vocabulary system by analyzing olfactory adjectives among Korean adjectives for the senses. Olfactory adjectives are classified into < hyangnae >, < gorinnae >, < norinnae >, < birinnae >, < jirinnae >, < gosohannae > and < maeunnae >, and they are classified again according to shap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right language use in everyday life by properly understanding the semantic system and meanings of olfactory adjectives through the semantic analysis of olfactory adjectives.

      • KCI등재

        ‘명사-시키다’의 과잉 사동 표현에 관한 연구

        전은진(Jeon, Eun-Ji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7

        이 연구는 ‘명사-시키다’의 과잉 사동 표현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에서 ‘명사-하다’와 ‘명사-되다’의 관련성은 한국어 동사 어휘부를 구성하는 중요한 합성법으로 많은 연구와 논의가 되어 왔다. 반면에 유사한 결합 형식을 보이는 ‘명사-시키다’ 구성은 ‘명사-하다’와 비교하여 그다지 체계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명사-하다’와 ‘명사-시키다’의 대응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명사-시키다’의 과잉 사동 표현을 살펴보았다. ‘명사-하다’형 어휘 중에는 그 뜻 자체에 사동 의미가 나타나는 어휘들이 있는데, ‘명사-하다’의 사전적 뜻풀이가 ‘-게 하다’의 통사적 사동 표현으로 나타나는 경우, 사동 접사를 활용한 파생적 사동 표현으로 나타나는 경우, ‘-시키다’의 합성적 사동 표현으로 나타나는 경우, 사동 의미를 지닌 어휘적 사동 표현으로 나타나는 경우 등이 있었다. 사동 의미가 있는 ‘명사-하다’를 ‘-시키다’로 교체할 경우 사동의 기제가 이중으로 작용하여 사동 표현의 과잉 현상을 보이게 되는 것이다. ‘명사-시키다’는 ‘연계·확대시키다, 심화·발전시키다, 유지·향상시키다, 조성·심화시키다’ 등과 같이 더 복잡한 형태로도 과잉 사동 표현이 나타나고 있었다. ‘명사-시키다’의 과잉 사동 표현은 ‘명사-하다’와 ‘명사-시키다’가 동일한 논항구조 속에서 동의 관계를 이룬다는 입장에서 나타나는 ‘-시키다’의 잉여성 문제를 설명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사전 기술에 있어서도 표제어를 선정하고 뜻풀이를 정밀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국어 교육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considered excessive causative expressions of ‘noun-sikida’ Seeing in many writings of being communicated in reality, the aspect of overly using ‘noun-sikida’ can be easily confirmed. For example, the lexical meaning of ‘intensify’ includes ‘「1」make influence or power stronger and tougher, 「2」enhance level or degree further.’ Accordingly, it is being indicated the syntactic causative expression in a meaning of 「1」and the morphological causative expression by causative affix in a meaning of 「2」. Accordingly, it comes to be undesirable expression due to the overlapping of causative expression given replacing "intensify" with "make it strong." This study extracted excessive causative expressions of ‘noun-sikida’ by analyzing corpus, and considered its vocabulary, type, and use frequency. The excessive causative expressions of ‘noun-sikida’ were being indicated in case of being included ‘-ge hada’ in a meaning of ‘noun-sikida’ in case of being included causative affixes such as ‘-i-, -hi-, -ri-, -gi-, -u-, -gu-, -chu-,’ and in case of being included ‘-sikida’ The results of this study seem to be likely capable of offering a ground for the findings as saying that ‘-hada’ and ‘-sikida’ have the same meaning, and of contributing further eve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이동 동사의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전은진(Jeon, Eun-jin) 우리말글학회 2013 우리말 글 Vol.59 No.-

        이 연구는 이동 동사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동 동사는 일상 행위와 관련된 어휘들이 많아서 다른 어휘보다 이른 시기에 습득된다. 또한 이동 동사는 이동 방식, 이동 방향 등의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화되므로 어휘 체계를 살펴보기에도 적절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동 동사를 평행 이동 동사와 수직 이동 동사로 구분하여 그 출현시기와 분포, 의미 분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평행 이동 동사는 전진 이동이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가다’와 ‘오다’류 이동 동사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수직 이동 동사는 상향 이동 동사가 하향 이동 동사의 2배가량 많은 어휘수를 나타냈다. 수직 이동 동사는 평행 이동 동사에 비해 습득도 느리고 분화가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 동사는 의미 관계도 명확하고 행위를 동반하기 때문에 초기 어휘 교육이나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ider the form appearance and differentiation by analyzing aspect of using moving verbs. As a moving verb is basic vocabulary that is frequently used in daily life, it is acquired in the earlier time than other vocabulary. Also, the moving verb is diversely segmentalized according to the standard such as moving method and moving direction, thereby being proper to examine lexical segmentation in the Korean language. The moving verb is classified parallel moving verb and vertical moving verb. The parallel moving verbs are diversified than the vertical moving verbs. Even among moving verbs, ‘go, come’ are one of vocabularies that have the highest use frequency and are acquired in early time. It is able to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Korean education or the vocabulary education for foreigners.

      • KCI등재

        초등학생의 비속어 사용에 관한 연구

        전은진(Jeon Eun-jin),조성문(Cho Sung-moon) 우리말글학회 2005 우리말 글 Vol.34 No.-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vulgar language which are in use among Elementary Students. In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vulgar language, the formation of the vulgar language was found to be derived from affix combinations, foreign languages(English and Japanese), changes in phoneme, and the use of adverbs. Most of vulgar language were used to point out an individual, and in the lower grade levels, expressions that abase a person's physical appearance were predominant, and with higher-grade levels, expressions describing conditions or actions increased.<br/> In thorough evaluation of the use of vulgar language, the frequency of vulgar language use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cquirement of vulgar language(1st and 2nd grade level), continuance of vulgar language(3rd and 4th grade level), and extension of vulgar language (5th and 6th grade level). The use of vulgar language were closely related to children's natural inclination to make fun of other students and use of expletive expressions by pee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자 언어에 나타난 청소년 언어 실태 연구

        전은진 ( Eun Jin Jeon ),이삼형 ( Sam Hyung Lee ),김정선 ( Jung Sun Kim ),김태경 ( Tae Kyung Kim ),이필영 ( Phil Young Lee ),장경희 ( Kyung Hee Chang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11 청람어문교육 Vol.43 No.-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문자 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청소년의 언어 문제를 올바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교육 방안이나 정책을 세우는 데 토대를 마련코자 한다. 청소년들이 사용하고 있는 비속어·유행어·은어의 사용 비율은 총 어절 수 대비 평균 7%로 나타났다. 텍스트 유형별로 살펴보면, 롤링페이퍼가 11%로 비속어·유행어·은어 사용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작문 8%>댓글 6%>다이어리 5%>메신저 3%`` 순의 사용 비율을 보였다. 그리고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비속어·유행어·은어 사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언어 사용 실태를 살펴본 결과, 청소년들의 비속어·유행어·은어 사용 실태는 매우 심각한 수준이었다. 사용이 불가한 대상인 윗사람에 대한 욕설도 출현하고 있었고, 학교 수업 시간에도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었다. 비속어·유행어·은어의 무분별한 사용은 언어 파괴를 가속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오고, 세대 간의 소통 단절을 부추기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언어 사용 실태에 대해 여러 각도에서 심도 있는 조사가 시행되어야 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언어 및 교육 정책 수립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actual condition of adolescents` using written language. Observing adolescents` language life, the use of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is excessive. Thus, a problem of using language can be known to get very serious enough to disrupt daily language life. Therefore, the aim is to rightly grasp adolescents` language problem and to arrange foundation in establishing educational plan or policy for this, by surveying the actual condition of adolescents`` using language. The ratio of using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which are being used by adolescents, was indicated to be averagely 7% compared to total word-phrase number. The ratio of use was indicated with 11% for rolling paper, 8% for writing, 6% for reply, 5% for diary, and 3% for messenger. It was indicated that the higher school level leads to the more rise in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The actual condition of adolescents`` using expletives, buzz-words, and teenage slangs was in a very serious level. Even curse against elder, who is subject unavailable for being used, was appearing. It was being used recklessly even during school cla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