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자를 배려한 유니버설디자인의 색채 가이드라인 구축

        전은정(EunJung Jun)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2

        본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을 바탕으로 고령자의 시각특성을 배려한 공공디자인에서의 색채가이드라인을 조성하기 위해 노인의 시각을 시뮬레이션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색채 가이드라인에서 고령자의 색채지각 특성을 파악하고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색채 가이드라인의 색채를 일반성인의 시각으로 하고, 노인 시각을 대체하기 위한 모의 수정체로 IBM동경기초연구소의 aDesigner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시설에서의 색채 사용은 식별하기 쉽도록 고채도의 유채색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노인은 황변화 현상에 의해 단파장계열색과 이차색에서 색채를 지각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시설 안내판의 배색에서 노인은 동일한 색채라도 색의 사용 크기와 위치에 따라 색지각에 차이를 보였다. 이에 배색의 경우 주조색과 바탕색의 색채 사용의 구분이 제시되어야 함이 파악되었다. 셋째, 노인 시각에서 색채뿐만 아니라 문자의 크기, 정보의 양 등을 포함한 색채 가이드라인도 고려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검증 단계가 이루어지면 보다 구체적인 노인 시각을 배려한 색채 가이드라인을 모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elderly people recognize colors under the current Color Guidelines framework and to explore measures to improve their recognition of colors by simulating their vision in order to establish senior-friendly Color Guidelines for public designs based on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To this end, colors on the current framework are selected based on adult vision and then mock-up lenses to represent senior vision are simulated through aDesigner by IBM Research Labs-Tokyo.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ublic facilities mostly use chromatic colors with high saturation for easy recognition and clear visibility. However, it has been found that elderly people have difficulty in recognizing colors of short wavelengths and secondary colors due to the macular degeneration often suffered by the elderly. Second, elderly people identify colors differently on public signboards depending on the size and the location of the colors. As such, it has been found that color arrangements should clearly distinguish between dominant colors and background colors. Third, Color Guidelines should consider not only color, but also the size of letters and information level etc. to better accommodate elderly vision. Further research should be undertaken to verify the findings on the Color Perceptions of elderly people with respect to the Color Guidelines.

      • KCI등재

        고령자를 배려한 아파트 지하주차장 환경색채 연구

        전은정(EunJung Jun) 한국색채학회 2016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0 No.2

        아파트 지하주차장 환경색채는 일반인의 색지각을 바탕으로 계획되어 있으며, 노인의 노화에 따른 색지각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배려가 미비한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컬러유니버설디자인의 관점에서 A, B 아파트단지 주차장 색채계획의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고자 고령자의 색지각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과 주차장의 조도 측정 및 측색을 실시하고 노인 시각을 대체하기 위해 IBM동경기초연구소의 aDesigner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아파트 지하주차장의 천장, 벽, 바닥은 무채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주동 출입구와 기둥은 높은 명도의 유사 배색을 사용하여 밝고 활기 있는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인도 구별하기 힘든 흰색과 노랑색 배색 조합은 주차장에서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며 노인 시각에서는 더욱 인식하기 어려운 조합으로 파악되었다. 노인 시각대응 시뮬레이션에서 색채 변화가 일어났으며 명도와 채도가 낮아져 전반적으로 시인성이 떨어짐을 파악하였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사회 전반적으로 유니버설디자인의 적용이 추진되고 있음을 감안하여 보다 다양한 사람들을 배려한 환경색채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Environment color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s in apartment was planned for adult vision. The consideration that can deal with a sight change by the aging of the elderly is the insufficient fact. It explore an improvement direction to see the actual situation of the color plan of the A and B parking lot from the viewpoint of color universal design. Research methods include a pilot study in relation to the apartment underground parking and the characteristics in color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in order to find the current state of color planning in the underground parking, actions such as measurement of illumination and colorimetry investigation. To this end, the results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a simulation work corresponding to the vision of the elderly by using aDesigner of IBM Research Labs-Tokyo.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ceiling, walls and the floor in the two apartment areas underground parking lots are colorless, whereas the key doorways and pillars are painted in colors with high level of brightness to create a bright and vibrant atmosphere. Particularly, the arrangement of white and yellow has been identified to be difficult to recognize even for the general public, and it is even more difficult for the elderly to distinguish. The simulation work corresponding to the vision of the elderly has shown a dropped visibility and a change in colors. Also, in similar arrangements of colors, it turned out that they are difficult to recognize explicitly if they are us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Given that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is on the increase and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s realized in the overall society, the need for the understanding of appropriate Environment color guidelines of different types of people has been identified.

      • KCI등재

        가족동거 고령가구의 맞춤형 주택개조 거주 후 평가 연구

        이연숙 ( Lee Yeunsook ),전은정 ( Jun Eunjung ),조승연 ( Cho Seungyeon ),박민아 ( Park Minah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우리나라는 지속된 저출산 고령화로 급속한 인구구조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기대수명 증가와 저출산 가속화가 결합되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동공급 감소, 노후빈공 심화, 부양부담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 고령화를 미리 겪고 있는 선진국은 고령자들이 살던 지역에서 계속 거주하는 aging in place를 장려하는 정책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고령자의 주거욕구에 부합하며,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aging in place를 위해서는 고령자의 신체기능 저하를 보완할 수 있는 주택개조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족과 함께 사는 고령자 가구 세 사례를 대상으로 제한된 비용 내에서 고령자 맞춤형 주택개조를 시행한 후 거주자가 3개월 간 거주한 싯점에서 개조에 대한 만족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주택개조 선행연구가 미미하고 더욱이 양적 연구에 선행되어야하는 질적 기초연구가 부재한 상황에서, 주택개조가 거주자의 생활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통찰하고 탐구하는 것에 의의를 두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년 이상의 노후주택에서 동생과, 아들 손자와, 그리고, 배우자와 동거하는 고령자 가구 세 사례를 선정하여 현장관찰조사, 설문지를 동반한 심층 면담 방법으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사례들은 제한된 에상하에 거주자의 요구와 상황을 반영하여 최근 개조를 한 주택이다. (결과) 조사 대상자들은 성북구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로 세 사례의 대상자 모두 장애는 없으나 만성적인 질병을 가지고 있었다. 주택 개조 항목은 각 대상주택과 거주자의 현재 상황과 요구, 한정된 금액에 맞추어 개조 항목이 실행되어, 개조에 대한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사례마다 맞춤형으로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사례별 해당되는 항목에 적절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대상 주택 모두 주택개조 결과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상에 안전하고 편안하며 편리한 행위적 측면과 거주공간의 자율적 통제력과 지속적 거주 가능감 등 심리적 만족을 드러내었다. (결론) 주택개조는 취약계층 거주자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하고, 요양시설로의 입소를 지연 혹은 예방하여 가족 및 국가의 부담을 줄일수 있는 실질적이고 경제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고령 가구가 다양해지는 가운데, 주택개조의 실행과 거주자의 삶에 대한 영향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은 상황에서 진행된 선험적인 사례로서 이후 다양한 가구 사례들에 대한 연구들과 함께 맞춤형 개조를 발전시키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recent years, Korea has been experiencing rapid demographic changes owing to a low birthrate and an aging population. Aging in place has emerged as an ideal 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Accordingly, housing modification that can compensate for the decline in physical function of the elderly by reducing environmental press level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ging-friendly customized home modifications on residents' life and life satisfaction three months after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focusing on the household type living with their families.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an insight into the impact of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on elder residents’ lives under the circumstance of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ree households where the elderly have been living with brothers, sons and grandchildren, and spouses, respectively, in old houses for more than 20 years were selected. These houses were actually modified according to the consensused customized plan respecting residents’ needs within the limited budgets provided.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field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Results) All three subjects had chronic diseases without officially known disabilities. Modification plans were made uniquely to each house based on housing conditions and residents’ situations and needs differences. There were differences in modification according to the current condition and limited budgets among the three houses. A list of questionnaires to measure satisfaction after living for three months after completion of the housing renovation was also developed in relation to the modified features. The results showed that all target household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the home modification, not only safety, comfort, and convenience to use, behaviorally, but also increased perception on autonomous control of their living space and on expectation of staying in their residences psychologically.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empirical evidence that aging-friendly customized home modification is cost-effective in two ways. One is by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life quality of vulnerable residents and the other is possibly in delaying and preventing admission to nursing facilities, having economic effect on reducing the burden of the n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at a time when Korea is facing population aging risk especially housing welfare crisis with limited research on home modifications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 living in diverse situations. Thereby, this study can provide insights to understand the real situation and realistic approach for future direction. While the population is rapidly aging, it also reveals diversity in elderly households.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diverse types of elderly households and houses need to be explored to form the basis for future policy and research.

      • KCI등재
      • 폐기물매립지 배출경로별 매립가스 배출특성 사례 연구

        유재관 ( Jaikwan Ryou ),전은정 ( Eunjung Jun ),김문정 ( Moonjeong Kim ),김시원 ( Siwon Kim ),박정현 ( Junghyun Park ),이호연 ( Hoyeun Lee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폐기물매립지에서 매립된 폐기물의 혐기성분해과정에서 발생하는 매립가스는 주요 성분인 메탄(CH<sub>4</sub>), 이산화탄소(CO<sub>2</sub>)와 수분, 황화수소(H<sub>2</sub>S) 등의 미량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매립가스 중 메탄은 신재생에너지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반면, 이산화탄소와 더불어 온실가스로서 관리해야 하는 대상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매립가스 중 황화수소는 매립지 주요 악취물질로 적절한 매립가스 제어를 통한 매립장 환경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매립가스는 복토재료, 복토두께, 가스포집정 설치 형태, 기상조건, 매립된 폐기물의 종류 및 양 등의 인자에 의해 다양한 배출특성을 가진다. 매립장 환경관리 및 매립가스 자원화 사업을 위해 합리적인 매립가스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매립지 현장에서의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매립가스 배출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S매립지를 대상으로 최근 14년간(2005년~2018년) 수행한 매립가스 배출량 현장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매립지 운영형태, 배출경로, 시간경과 및 계절적 영향에 따른 매립가스 배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매립지 운영형태는 매립이 종료된 매립장(사용종료 매립장 2개(Site1-운영기간 1992~2000년, Site 2-운영기간 2000년~2018년), 사용 중인 매립장(Site3-운영기간 2018~)으로 분류하였고, 배출경로는 강제포집, 간이소각기, 표면발산의 세 경로로 구분하여 매립가스 배출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시간경과에 따른 배출특성의 변화경향 및 계절적 변동분석도 실시하였다. 다만, Site3의 매립장은 매립초기 단계로 표면발산만을 측정하였으며, 악취 물질인 황화수소 억제를 위하여 건설폐기물과 생활폐기물을 분리하여 매립을 진행 중이다. 매립가스 배출특성을 분석한 결과, 사용종료 매립장(Site 2)의 경우, 강제포집효율은 90%로, 통상적으로 매립종료시 또는 최종복토시 매립가스 회수율(80~95%) 범위에 해당하였다. 조사대상 매립장이 최종복토 상태가 아닌 매립장임을 감안하면, 가스포집·이송시설 및 복토면의 관리상태가 양호하며, 매립이 진행중인 매립장의 경우 분리매립으로 인한 황화수소 억제효과는 있는 것으로 판단되나, 추가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노숙인을 위한 일본 공공 구호시설 ‘오사카자강관 하기’의 계획 특성

        박재현(Park, Jaehyun),이연숙(Lee, Yuensook),전은정(Jun, Eunjung),박민아(Park, Minah)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8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1

        In modern society, as a side effect of radical development, the vulnerable population such as homeless has increased. Although quality of life is important, the vulnerable can become a burden on government as a risk factor for social safety. In Japan, which has experienced social problems through economic development before Korea, the homeless support policy was established by the local autonomy. Kamagasaki in Osaka city is a typical declining area, and the poverty-stricken people are concentr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 permanent relief facility for the homeless in Osaka. More specifically, it is to analyze physical space and management characteristics of ‘Osaka Jikyokan Hagi-Hikifune’. Field visi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ere utilized for research methods.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by using recorders and cameras.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by researchers for two hours in a seminar format at the site, and the facility was observed for one hour through guidance. As results, in order to ensure that vulnerable populations do not go to nursing homes and stay in the community independently, Japan has established such facilities to cope with the future welfare crisis. As it is a newly constructed, it is universally designed, and unit-care system is operated which considers both residents and managers. Also, the facility is providing services mandatory. Osaka Jikyokan Hagi-Hikifune is a common residential facility in the form of a group home.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esenting the direction for solving future housing welfare problems by analyzing the new concept of public relief facilities.

      • KCI등재

        해외 고령친화 주택디자인 가이드라인 특성 분석

        황윤서 ( Hwang Yoonseo ),이연숙 ( Lee Yeunsook ),임예지 ( Lim Yeaji ),전은정 ( Jun Eunj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인구 고령화는 글로벌 현상으로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노인의 안전과 자립생활을 지원해주는 고령친화적인 환경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천 지침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제시·적용되고 있다. 한국의 고령화는 OECD 국가 중 가장 빠른 증가 속도를 보이며 2025년 고령인구가 20%가 넘는 초고령사회를 진입을 앞두고 있어 고령자 주거복지정책에 대한 시급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보다 앞서 고령화를 겪어온 해외 선진국의 최근 개발된 고령친화 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의 주요 특성을 살펴보고 한국적 현실에 맞는 주거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최근 개발된 해외 고령친화 가이드라인의 내용분석 연구로서 이를 위해 미국(HomeFit Guide), 호주(Livable housing Design), 아일랜드(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의 고령친화 주택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대상으로 디자인 주요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WHO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 8대 분야 중 주거공간 지침에 해당하는 ‘housing checklist’를 분석 틀로 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모든 국가는 Aging in place(AIP)의 실현을 위해 노인의 취약한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주택계획 요소는 물론 다양한 모든 사람이 생애주기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역 내 거주 가능한 주택(AIP)으로서의 시장가치(Affordability)를 중시하였다. 미국의 ‘HomeFit Guide’는 거주 노인의 입장에서 부담없이 기존 주택 개조 및 유지관리할 수 있는 측면에서 중점을 두었고, 호주의 ‘Livable housing Design Guidelines’와 아일랜드의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는 신축 주택계획 및 시공 시 추후 거주자의 요구에 맞출 수 있는 개조의 용이성 측면에서 더 세심한 노력이 있었다. 특히 아일랜드의 경우 주택에 원격 의료 및 모니터링 기술을 도입하여 일상생활 및 돌발상황 관리 서비스가 가능하게 하였다. (결론) 고령친화 주택의 보편화와 주택개조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각 지역 특성을 고려한 접근과 노인 주거복지 관련 정부관계자, 정책담당자, 주택계획 전문가 및 노인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또한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지원으로 정보 교류 및 모니터링 등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발적 참여 증진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global phenomenon of population aging has prompted numerous countries to adopt and implement specific practice guidelines, aiming to cultivate an age-friendly environment conducive to the safety and independent living of the burgeoning older adult population. Among OECD nations, South Korea stands out with the fastest-growing aging population, poised to transition into a super-aged society with a projected elderly population of over 20% by 2025. This demographic shift urgently necessitates the formulation of housing welfare policies tailored to the specific needs of older adults in Korea. Consequently, this study endeavors to scrutinize the key attributes of recently developed age-friendly housing design guidelines from advanced nations that have confronted the challenges of aging before Korea. The goal is to furnish foundational data for the creation of housing models aligned with the distinctive realities of the Korean context. (Method) Employing a content analysis approach, this study delves into recently formulated age-friendly guidelines from overseas. The focus extends to housing design guidelines from the United States (HomeFit Guide), Australia (Livable Housing Design), and Ireland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 The primary design characteristics are subjected to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housing checklist,' aligned with the residential space guidelines among the eight areas outlined in the WHO Age-Friendly City Guidelines. (Results) The analysis reveals a consensus across nations on the imperative consideration of housing planning elements geared towards accommodating the vulne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emphasizing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AIP).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habitable housing, responsive to changes in the life cycle, is underscored, with an added emphasis on market value, particularly affordability. The 'HomeFit Guide' from the United States places a premium on enabling older adults residents to remodel and maintain existing homes without undue burden. In contrast, Australia's 'Livable Housing Design Guidelines' and Ireland's 'Universal Design Guidelines for Homes in Ireland' exhibit a meticulous focus on facilitating ease of modification during the planning and construction of new housing. Notably, Ireland introduces remote medical and monitoring technology into homes, enhancing daily life and emergency management services. (Conclusions) To propagate senior-friendly housing on a universal scale and invigorate the housing renovation market, there is a pressing need for a nuanced approach that consider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 education program targeting government officials, policymakers, housing planning experts, and older adults, related to senior citizen housing welfare, is paramount. Additionally, promoting voluntary participation is highlighted, facilitated through information exchange and monitoring supported by an easily accessible platform.

      • KCI등재
      • Thioltransferase의 전사 돌연변이 ttd3 유전자의 Complementation에 의한 Cloning

        전은정,김대명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2006 産業科學硏究 Vol.23 No.2

        Thioltransferase is an oxidoreducatse that cleaves various disulfides and induced in response to stress conditions including oxidative, osmotic and heat stress. In our previous study, we have isolated temperature sensitive mutants that cannot induce the thioltransferase gene in Schizosaccharomyces pombe. In the present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one of these mutants, ttd3. The mutant showed significantly high percentage of the non-septated cells as compared to the wild type. The ttd3 gene was cloned by the complementation of its growth defect. The clone contains one open reading frame that encodes putative steroid reductas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raise an interesting question that the putative steroid reductase might be involved in thioltransferase transcription and septum 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