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 문화텍스트를 통한 도시문화비교융합연구 - 채만식, 조정래, 왕안이, 장애령의 작품에 나타난 타자공간과 욕망의 표상을 중심으로 -

        전영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7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77 No.-

        The essay’s is a study about urban culture space of transitional period on Korean- Chinese modern novel texts through of east asia’s perspective. It was made the other space when city culture space birth during transitional period time. I can read history and local in literature texts’ space, watch and think it in present’s local. It is a try to break up and integrate two academic field ‘culture and city sociology’ So the essay start text’s space ‘Gunsan and Shanghai’, but the end is present reality space. I try to comparative two city culture and establish ‘dialectic space and image relationship’, It is a experimental academic essay at these points. We confirmed freedom and substantiality, are being ourself at local. Shanghai and Gunsan people have sadness ‘settlement and colonial’, but they try to become a real independent guy in the snobbish others. they could became it through of constructive desire and dialectic thought. They understood their desires belong to the others in imaginary space, make relationship the past and now thought at this moment. We try to return catastrophic reality made by modern capitalistic society to become real history through of ‘independent thinking’ We should have positive local identity through of historical remorse and proud. Past is connected now continuously. literature and space, city and local are channel ‘past and now’ We can become independence guy of historical awareness when we watch life and history for memory’s subject, future rather than now. 본 연구는 동아시아적 관점에서 ‘한·중 양국의 문학텍스트를 통해 근대이행기 도시문화공간을 연구’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비롯되었다. 이는 문학텍스트 공간 안에서 나타나는 역사와 장소를 현재의 장소 안에서 바라보고 과거와 현재의 사유를 매개하여 문학과 도시사회학이라는 두 학문의 경계를 해체하고 융합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그런 점에서 본 논문은 텍스트의 공간인 군산과 상하이에 초점을 맞춰 문제를 제기하고 답을 찾기 위한 여정을 시작하지만 결국 현재의 군산과 상하이에서 해결책을 찾고자 했다. 텍스트와 현실의 장소 안에서 변증법적인 공간과 이미지의 관계를 정립하고 도시문화를 비교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실험적인 논문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이 자유와 실재성의 깊이를 확인하면서 자신을 스스로 위치시키는 실재적인 곳은 바로 장소였다. 상하이와 군산은 조계와 식민이라는 아픔을 가지고 있었지만, 속물적 타자들 안에서 진정한 주체가 되고자 했던 이들은 건설적인 욕망과 변증법적 사유를 통해 주체가 될 수 있었다. 상상화된 이미지로 만들어진 신화적 공간에서 자신들이 가진 욕망이 타자화된 것이었다는 것을 인식하는 순간 이들은 과거에 있었던 것과 그 과거를 지각하는 현재의 사유를 관계맺음으로써 변증법적 이미지 관계를 새롭게 정립했다. 우리는 이제 타자가 아닌 ‘주체로서 사유하기’를 통해 근대자본주의 사회가 만들어 낸 파국적 현실들을 원 역사로 되돌리도록 노력해야 한다. 식민·조계라는 과거를 아파하는 것으로 끝내지 않고 역사적 반성과 자긍심을 통해 긍정적인 장소감과 정체성을 가져야 한다. 과거는 현재에도 계속되고 있다. 문학과 공간, 도시와 장소는 과거와 현재를 긴밀하게 이어주는 통로이다. 이 안에서 삶과 역사를 기억의 대상으로 바라볼 때, 역사의 결을 거슬러 바라볼 때 현재보다는 미래를 바라보는 역사적 인식의 주체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한·중 근현대 소설텍스트에 나타난 국가폭력과공간의 주체성 연구: 『한강』과 『형제』를 중심으로

        전영의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9 No.-

        Natural lives are calculated and controled by mechanism of national power and authority of capitalism on modern society. we have interested in life political problem, special national authority problem, government problem about the people after that time. comparative and analysis about Han River and Brothers that speak special national authority's problem from 1960' to 1980' have value at this point. We can find victims are caused by national violence but can't find assaulters in the present. the essay starts from my curiosity what is a invisible equipment and mechanism of national violence so the essay has a research object “A study of National Violence and Space's Identity about Korean & Chinese Modern Novels” on Han River and Brothers. Homo sacer who are called ‘a Red’ or ‘hyeon ban’, they were society members but except. they were exceptional condition, but they got out of life-equipment in one's own way and they became post independent subject. A person was made a puppet of the others, he thought it is consideration about the others. but he got out of grotesque mind and body through independent choice “suicide” for the first time. the other person had a lot of wealth and took pity on the others, he thought it was consideration, but after his brother's death, he reflected on his conduct, was conscious of his-self, he severed pasted himself, he was looking for real self-consideration. the other person had a authority of knowledge through education, and shares it to another homo sacer, and he severed pasted himself, made a reverse used microscopic authority equipment “capital and alumnus of his college” and he watched national violence in Gwangju, he went to there for prevented occurred another homo sacer. his behavior was “post independent subjected behavior”. when self-consideration is considered oneself and get out of oneself, his behavior was self-consideration, and he became a human of post independent subjected and made a base of post independent subjected society. they became post independent subjected through self-consideration, they created heterotopia through dialectical process, they were conscious of identity quality of space. it will be a post independent subjected space, democratic political space beyond a fixed society. we can called the special quality of space is “a quality of identity” at this point Natural lives are calculated and controled by mechanism of national power and authority of capitalism on modern society. we have interested in life political problem, special national authority problem, government problem about the people after that time. comparative and analysis about Han River and Brothers that speak special national authority's problem from 1960' to 1980' have value at this point. We can find victims are caused by national violence but can't find assaulters in the present. the essay starts from my curiosity what is a invisible equipment and mechanism of national violence so the essay has a research object “A study of National Violence and Space's Identity about Korean & Chinese Modern Novels” on Han River and Brothers. Homo sacer who are called ‘a Red’ or ‘hyeon ban’, they were society members but except. they were exceptional condition, but they got out of life-equipment in one's own way and they became post independent subject. 근대에 이르러 자연생명이 국가권력의 메커니즘과 자본주의 권력 안에서 계산되고 통제되기 시작하면서 생명정치 문제, 주권권력 특유의 문제, 인간에 대한 통치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런 점에서 1960-1980년대 주권권력특유의 문제를 이야기하는 『한강』과 『형제』는 비교·분석해 볼만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국가폭력으로 인한 피해자는 존재하되 가해자는 존재하지 않은 현실 속에서 본 연구는 '국가폭력으로 만든 보이지 않는 장치들은 무엇인지, 어떤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되며 민중들을 순종하는 신체를 만드는지 알아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필자의 호기심에서부터 출발하고 있다. 이런 점들을 고려하여 볼 때 본 연구는 『한강』과 『형제』를 텍스트로 하여 「한·중 근현대 소설텍스트에 나타난 국가폭력과 공간의 주체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가진다. 빨갱이, 현반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호모 사케르들은 사회의 일원으로 포함되어 있으면서도 배제된 자들이었다. 이렇게 예외상태에 놓였던 인물들은 각자 자기들 나름의 방식으로 생명장치에서 벗어나 구속된 주체가 아닌 탈주체로 거듭났다. 항상 타인에 의해 조종당하면서도 그것을 타인에 대한 배려라고만 생각했던 자는 처음으로 ‘자살’이라는 주체적인 자기선택을 통해 그로테스트한 정신과 육체에서 벗어났다. 개혁개방 후 부를 획득하고 일부를 타인에게 베풀며 그들에 대한 배려를 행한다고 생각했던 자는 형제의 죽음 이후 스스로에 대한 반성과 자각을 통해 난잡했던 과거의 자신을 끊어내고 진정한 자기 배려가 무엇인지 탐색하게 되었다. 또 다른 자는 교육을 통해 다른 벌거벗은 생명들에게 지식이라는 권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자본과 학연이라는 미시권력장치들을 역이용하여 과거와 자신을 단절하였다. 광주에서 일어난 국가폭력을 직시하고 또 다른 호모사케르들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광주로 내려가는 탈주체적 행동을 보였다. 자기배려가 자기를 배려하는 것이자 동시에 자기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라 할 때 이들의 행동은 자기배려를 통해 본인들도 탈주체화 되면서 동시에 이 사회에 탈주체가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었다. 자기배려를 통해 하나의 탈주체가 된 이들은 변증적 과정의 반복을 통해 헤테로토피아(절대적 타자의 공간)를 생성하고 이 안에서 자신들이 위치한 공간의 특성을 타자성이 아닌 주체성으로 새롭게 인지하였다. 이러한 인지공간은 고착화되어가고 있는 생명정치의 정태성과 폐쇄성을 넘어 어떤 중심에도 특권을 부여하지...

      • KCI등재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문화교육으로서 한 중 소설 비교읽기* -4.19와 문화대혁명을 중심으로-

        전영의,엄영욱 한국중국문화학회 2019 中國學論叢 Vol.0 No.62

        The article purpose is Reading Chinese translation text as a Korean integrated education for Chinese students . Although number of foreign students has increased rapidly to the economic growth of Korea,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and the popularity of Korean popular culture like K-pop at domestic universities but the problems of their curriculum have been found in many places. Korean literary education through novel text has an important place in Korean studies, but literary education is often exclud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Chinese students already have background knowledge of Korean translation novels through Chinese novels. They can get the learning effect as the Korean language study. Second, they can compared with Korean national violence and Chinese national violence through ‘Red Revolution’ and understand about Korean-Chinese understanding of the times,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Third, they are able to study the theory of literature itself. also It was the educational purpose pursued by the humanities. Chinese students develop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by studying the Brothers which are translated into Korean, and we can se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national violence by comparing Korea s ‘4.19’ with China s ‘Cultural Revolution’ After comparing people, background, dynamics of the space where they are located, we can raise awareness of the historical and social problems of both countries. It is possible to study subjects memories of space, change of local meaning, the formation of urban space or individual space in the text in the specific space where national violence occurs. In this way, the method of learning Korean integrated education through Brothers of the Chinese translation novels makes an opportunity to look at national violence in the Korean-Chinese space of the 1960s and 1970s. It has a subjective perspective from subordination to the nationality of the modern nation-state. This is an educational effect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reading a Chinese translation novel as a Korean language integrated education.

      • KCI등재

        한인 이주현상 안에서 바라본 제국의 해체와 다중의 아우또노미아

        전영의 한중인문학회 2020 한중인문학연구 Vol.67 No.-

        The article is based on the purpose of humanistic consideration of the ‘Dissolution of Empire and Multitude of Autonomia in Korean Migration Phenomenon’ from the end of last JoSeon Dynasty to the before liberation. I analyzed texts that are Arirang, Black flower, Song of wind from the post-modern perspective and not from the empire's perspective, And it was an attempt to study through multiple autonomy theories. Arirang, Black flower, Song of wind fourteen texts have the same mater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but Migrant place and space are different. so it was meaningful to find out how they are being changed from the masses to the multitude, and what survival strategies colonized others have to build autonomous, resist power in. Autonomia succeeded or failed to carry on with identity as a multitude in the text. But they change from the mass to the multitude through vitality who are struggled people to survive in the Korean migrant phenomenon, Hawaii, Mexico migrant workers and they pursued a common desire through common social behavior. Autonomia’s vitality is realistic movement by imagine, love, desire, It was a united and social identity Norms and rights were created and recreated in the new social relations of the multitude, Empire's power could be destroyed by the multitude through this endless dialectic process, the vitality that is identity of the multitudes can be seen as the resist power as a subject and the absolute intrinsic power to create democracy in this point. 본 연구는 ‘구한말 아메리카 대륙으로 한인 이주’라는 역사적 사실을 1990년대 이후 ‘한국문학’이 어떻게 해석하는지 알고자 하는 호기심에서부터 출발한다. 그동안 디아스포라 담론을 바탕으로 연구되던 이주문학을 ‘제국과 다중’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텍스트를 읽어보려고 시도한 것이다. ‘한인들의 이주현상 안에서 바라본 제국의 해체와 다중의 아우또노미아’에 대해 연구하려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정래의 『아리랑』, 김영하의 『검은 꽃』, 박경숙의 『바람의 노래』 등 세 작가의 총 14편 텍스트를 기본 텍스트로 선정하고, 식민화된 대중이었던 타자들이 다중으로 변화되어가는 모습, 이들의 생존전략과 대항권력, 아우또노미아 실현방법 등을 알아보았다. 실제 한인들이 주류사회로 유입하면서 보여준 다중으로서 모습은 생체정치 안에서 자신들의 구성 권력과 자기 통제 및 자율적 자기생산 권리인 재전유권을 주장하는 아우또노미아 실현이다. 이들은 한인 커뮤니티를 통해 협동을 하고 제국의 소유권에 대항한다. 긍정적 노동 안에서 신체들이 지닌 가치와 생산적 지식을 자가 증식하고 스스로 얻은 자유 안에서 실존적 존재로 나아가려고 노력한다. 반면 텍스트의 인물들은 급격한 대항의 방식을 통해 다중으로서 주체성을 갖고 아우또노미아를 실현하려고 하지만 성공하기도, 실패하기도 한다. 그러나 하와이와 멕시코라는 이국 땅 안에서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치던 이들이 실제건, 텍스트 이건 활력을 통해 대중에서 다중으로 변모하고, 공통되는 사회적 행위를 통해 공통의 욕구를 추구했다는 점은 동일하다. 이들의 활력은 상상, 사랑, 욕구에 의해 추동되는 현실적인 운동이자 연합적이고 사회적인 주체성이다. 다중들의 새로운 사회적 관계 속에서 규범과 권리는 창조ㆍ재창조되고 부단한 변증적 과정을 거친다. 이 안에서 제국의 권력은 다중에 의해 붕괴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다중들의 정체성인 ‘활력’은 주체로서의 대항권력이자 민주주의를 창출하는 절대적 내재성을 가진 힘이다. 이처럼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간 하와이, 멕시코 한인 이주를 디아스포라 담론이 아닌 제국과 다중 담론으로 충분히 새롭게 읽어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