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기본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및태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전영미 ( Young Mi Chun ),박선희 ( Sun Hee Park ),박상연 ( Sang Youn Park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9 No.2

        본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은 나이, 학년, 심폐소생술에 대해 들어본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Lee와 Park (2010)의 연구에서는 1년 이내 교육유무에 따라 심폐소생술의 지식 차이가 있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는 2009년부터 초등학교 5,6학년의 보건교육이 의무 재량화(Health Education Forum, 2008)됨에 따라 심폐소생술의 교육 기회가 이전보다 증가하여 초등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정도와 교육에 따른 지식에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Jeon (2008)의 연구에서는 지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가 없었고,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Ahn과 Cho (2009)의 연구에서는 심폐소생술 교육제공자, 심폐소생술 교육 후 경과 기간, 심폐소생술 교육 후 평가방법, 교육 이수증 또는 자격증 소지 유무에 따라 차이를 보여 각 연구마다 다른 결과를 보였다. 이를 종합해 보면, 각 연구들이 교육과 관련된 변수를 통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지식을 측정한 것으로 대상자의 나이와 환경 및 개인적 경험에 따라 결과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각 대상자별 특성에 맞는 심폐소생술 교육프로그램을 제작하고 교육기회를 확대하여 심폐소생술에 대해 올바른 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겠다.태도에서는 교육경험과 심폐소생술에 대해 들어본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심폐소생술에 대해 많이 들어본 경우가 몇 번 들어본 경우보다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Lee와 Park (2010)의 연구에서는 정보습득, 정보습득방법, 심폐소생술 경험유무, 1년 내 교육유무, 향후 교육의향, 교육희망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Park, Kim과 Cha (2010)는 학년, 성별, 종교유무, 교육경험에서 유의하게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부 유사하였다. 이와 같이 태도에 유의한 변수는 각 연구마다 측정도구와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을 인식한 경우 태도가 긍정적임을 알 수 있으므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준에 맞는 알기 쉽고 체계화 된 교육이 필요할 것이다.자기효능감에서는 종교유무, 교육경험, 심폐소생술에 대해 들어본 정도가 유의하였다. Park 등(2010)의 연구에서는 학년, 성별, 교육경험이 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Lee와 Park (2010)의 연구에서도 1년 내 교육유무, 정보습득유무, 정보습득방법 등에 따라 자신감에 차이를 보여 본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 이는 성인에 비해 초등학생은 동기유발이나 교육의 연속성 유지가 쉽고(Park et al., 2006), 교육에 대한 이해도나 관심도, 지식, 술기 평가에서 고등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낸 것(Kwon, 2005) 등으로도 설명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교육효과의 지속성과 높은 자기효능감 유지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교육 일정을 통한 반복학습이 중요할 것이다.기본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정도는 평균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는데, 이를 100점 만점으로 환산했을 때 55.8점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 대상자와 특성이 유사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Lee와 Park (2010)의 연구에서는 남학생 78.6점, 여학생 75.2점으로 본 연구결과와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차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가 개정된 2010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것으로 아직 변경된 부분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거나 이전에 알고 있던 지식과 혼동되어 생긴 결과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이전에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았던 학생이더라도 2010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변경된 부분에 중점을 둔 재교육이 필요하겠다.기본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점수는 평균이상이었으나 표준 점수로 환산하여 비교했을 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Lee & Park, 2010; Park et al., 2010) 결과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에 있어서도 평균수준을 보여 선행연구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태도나 자기효능감은 주관적인 것으로 대상자의 개별적인 상황이나 경험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기본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실기 수행능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Kim (2008)의 연구결과를 고려한다면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지속적인 학습이 궁극적으로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세 변수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태도는 자기효능감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Lee와 Park (2010)과 Park 등(2010)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Park 등(2008)의 연구에서도 지식, 태도, 수행자신감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를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정확한지식을 가질 수 있도록 대상자 수준에 맞는 교육이 요구된다.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 종교, 심폐소생술에 대해 들어본 정도, 지식으로 나타났다. 즉, 심폐소생술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심폐소생술에 대해 들어 본 경험이 많을수록,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점수가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게 나타났고, 종교는 없는 경우가 자기효능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연구한 선행연구가 없어서 직접적인 비교는 할 수 없지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Lee와 Park (2010)의 연구에서는 태도가 심폐소생술 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고하였고, Park 등(2010)은 태도와 인식을 수행자신감의 영향요인으로 보고하여 본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과 Lee (2011)는 심폐소생술 실습교육이 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킨다고 하였다. 이를 종합해 보면, 초등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육을 통해 심폐소생술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고 개정된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갖도록 하며 심폐소생술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knowledge and attitude on self efficacy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n the fifth and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42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26 to August 27, 2013 using a questionnair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WIN 19.0 using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actors affecting on self efficacy to CPR were attitude (β=.54), religion (β=-.16), recognition (β=.15) and knowledge (β=.13). These factors explain 47.0% of the variance in self efficac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attitude to CPR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effica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customized programs and further research by using 2010 guideline are needed to develop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KCI등재

        혈액투석환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과 영향 요인

        전영미(Chun, Young-Mi),박상연(Park, Sang-You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연구는 혈액투석환자의 증상경험 정도, 건강관련 삶의 질과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한 1개의 대학병원과 2개의 투석전문병원에 등록되어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 102명이었 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4월부터 5월까지이었고, 자료분석은 SPSS/WIN 18.0을 활용하여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단계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 대상자가 경험하는 증상 중 피로가 가장 높았고, 피부건조, 가려움 순이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 정도는 3점이었고, 영향요인은 가족의 월수입과 증상정도이었으며, 설명력은 42.2%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혈액투석 대상자들에 대한 사회복지 차원의 지원 확대와 대상자의 증상경험과 증상정 도를 완화해줄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개발 및 간호중재법의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피로와 가려움, 수면 장애는 혈액투석환자가 주로 호소하는 증상으로서 이를 경감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xperience symptoms and severity of hemodialysis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ach symptom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This research involved 102 patients who were receiving hemodialysis at one university hospital and two Kidney Center in D city. Data collection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May 2014.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SPSS/WIN 18.0 using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Fatigue was the highest among symptoms on hemodialysis patients and dry skin, itching was in order. Factors affecting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were income and symptoms level. These factors explain 42.2% of the variance i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apply for nursing interventions to alleviate the experience symptoms and severity and expand support in social service perspective in hemodialysis patients. Especially, we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for relieving fatigue, itching, and sleep disorders of hemodialysis patients.

      • KCI등재

        폐경 전 성인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전영미(Chun, Young-Mi),이선희(Lee, Sun-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12

        본 연구는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를 조사하고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연구로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폐경 전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BMI, 나이, 걷기운동이었고 설명력은 11.7%이었다. 이중 가장 큰 영향력이 있는 것은 BMI로 저체중, 정상, 과체중에 따라 골밀도 수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가 50대에 비해 골밀도 감소가 유의하게 나타났고, 걷기운동에서는 3일 이하 운동이 골밀도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폐경 전 여성인 경우 골밀도 유지를 위해 과도한 다이어트를 지양하고 올바른 체형인식을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최대 골질량 형성기인 20 대 여성을 대상으로 적절한 영양과 운동 및 생활습관을 위한 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한 추후 연구를 제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on Premenopausal Women. This study made use of the data from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2011).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ctors with an effect on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were the body mass index, age, and walking exercise. These factors explain 11.7% of the variance in the BMD. In addition, the bone density of people in their 20s was lower than those in their 50s. Walking exercise for less than 3 days showed that the BMD had decreased significantly. In conclusion, to maintain a normal BMD on premenopausal women, it is important to avoid an excessive diet and recognize the correct body im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the appropriate diet and lifestyle should be developed for women in their 20'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아로마 손 마사지가 호스피스 환자의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박희옥 ( Hee Ok Park ),전영미 ( Young Mi Chun ),곽수영 ( Su Young Kwak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13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9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aroma hand massage with hand massage without aroma on well-being of hospice patients.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design.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May to December, 2012. Sixteen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roma hand massage) and thirteen were paticipated in the control group (hand massage without aroma). The essential oil for aroma therapy was composed with 1% of Lavender and Bergamot. The aroma hand massage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hand massage for the control group were provided at 9 pm once a day for five days in a row.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well-being were measured. To test the effect of aroma therapy a t-test was used with SPSS WIN 18.0.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on well-being between aroma hand massage only group and hand massage group (t=1.90, p=.068). Conclusion: To develop aroma therapy to improve well-being for hospice patients, does not show that hand massage with aroma oil is superior them hand massage only for hospice patients. we recommend further studies to consider patients` preferences to aroma essential oil, aroma concentration and the time to provide aroma therapy need to be assessed.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의 산전관리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요구도에 관한 연구

        박희옥(Park, Hee-Ok),박미라(Park, Meera),전영미(Chun, Young-Mi)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증가하고 있는 중국, 베트남을 비롯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산전관리 교육요구도 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이들을 위한 산전관리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D시 1개의 다문화센터를 이용하는 71명의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2014년 3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수행되었다. 산전관리 교육요구도 는 불임, 남녀생식구조, 산전교육, 예방접종, 건강문제 관리방법 등의 내용을 포함한 1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혼이주 여성은 신생아 안전관리 및 응급대처법, 예방접종, 건강문제관리, 신생아 정상발달과정, 신생아 관리법 등 주로 신생아 발달 과정을 이해하고 이들의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에 교육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국적에 따른 산전관리 교육요구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세부항목 중 불임에 대한 교육요구도에서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이 중국과 기타 국적 출신의 결혼이주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5.53, p<.05). 따라서, 향후 결혼 이주여성을 위한 산전관리 프로그램을 개발 할 시 신생아 성장발달 과정과 이들 간호방법이 가장 우선시 되어 프로그램 내용 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 needs related to prenatal care program in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o suggest the meaningful data in developing prenatal care program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in a multi-cultural center, D-city from 2014 Mar to 2015 April and a total of 71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ducation needs related to prenatal care programs were investigated using a questionnaire including infertility, human reproductive structures, prenatal educations, vaccinations, health problems managements and so on. Scores in education needs related to prenatal care programs were high in newborn baby safety managements, vaccinations, health care managements, newborn baby normal developments and newborn baby care managements. In addition, education needs related to fertility in the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were higher than the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China and others (F=5.53, p<.05). Th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tents of an educational program needs to focus on newborn baby normal developments and nursing care management for them.

      • KCI우수등재

        병원 교육전담간호사가 인지한 신규간호사 필수 간호술기와 실습 교육 개선방안

        권소희(So-Hi Kwon),김수현(Su Hyun Kim),정선영(Sun Young Jung),모문희(Moon Hee Mo),전영미(Young Mi Chun),홍선연(Sun Yeun Hong),이우숙(Woo Sook Lee),박주영(Juyoung Park),박지현(Jihyun Park),이현주(Hyoun Ju Lee),손정태(Jung Tae Son)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21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32 No.2

        본 연구는 병원 교육전담간호사가 신규간호사 교육 경험을 통해 인지한 필수 간호술기와 간호학 실습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설문조사의 혼합연구방법을 이용하여 탐색하였다. 총 119개의 간호술기 중에서 교육전담간호사 전원이 매우 중요하다고 평가한 간호술기가 23개였다. 또한 교육전담간호사들은 신규간호사가 실무적응의 어려움을 보이는 원인을 무균술을 포함한 기본 원칙의 준수와 조작의 미숙, 대상자 상황 이해의 어려움, 낯선 상황에서의 미숙한 대처, 간호사로서 태도의 미흡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신규간호사의 임상실무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교육에서 간호전문직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사고력 증진 교육 강화와 더불어 임상실무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임상 실습의 교육 체계 개선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임상의 요구와 대학의 현실을 반영하는 실습내용과 방법을 구성하는데 있어 유용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essential nursing skills recognized by 6 clincal nurse educators through new graduate nurse education experiences and ways to improve nursing practice education using a mixture of focus group interviews and surveys. Of the total 119 nursing skills, 23 skills were evaluated as very important by all participants. In addition, clincal nurse educators pointed out that new graduate nurses fail to comply with basic principles such as the aseptic technique and that the manipulation of medical devices is immature. Clincal nurse educators recognized that new graduate nurses did not understand the patient’s situation well, that they were immature in dealing with unfamiliar situations, and that their attitude as a professional nurse was inappropriate. In order to improve the practical adaptability of new graduate nurs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ducation system and develop programs for clinical practice education.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a useful criterion for building practical content and methods of nursing education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